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서장 / 9
1. 식민지 시대 장편소설과 탈식민주의 9 2. 탈식민주의와 리얼리즘 서사의 식민성 18 3. 사회적 상징으로서의 서사 23 제1부 이광수 장편소설과 제국주의에 대한 동일화의 서사 제1장 ‘민족’을 위한 소명의식과 식민지 지식인의 자기기만 ―'무정' / 33 1. 들어가는 말 33 2. ‘민족을 위한’ 소명의식의 자연화 전략 37 3. 식민지 지식인의 자기기만과 원한의 이데올로기 45 4. 맺는 말 51 제2장 자기희생적 삶과 자기 원한 감정―'재생' / 53 1. 들어가는 말 53 2. ‘자기희생적’ 삶의 자연화 57 3. 자기 원한 감정의 내면화 67 4. 맺는 말 75 제3장 금욕윤리와 양반계급에 대한 원한―'흙' / 77 1. 들어가는 말 77 2. 자기희생적 금욕윤리에 입각한 서사의 인식론적 구조 80 3. 양반계급에 대한 원한의 정서적 구조 90 4. 맺는 말 98 제2부 제국주의에 대한 차이화의 서사―염상섭의 '사랑과 죄', '삼대', '무화과' 제1장 사회주의의 이념적 지평과 여성의 타자화―'사랑과 죄' / 103 1. 들어가는 말 103 2. 사회주의 지향의 지평인물을 매개로 한 정체성 찾기 106 3. 여성의 타자화와 민족적 정체성 회복 욕망 111 4. 맺는 말 118 제2장 식민지 정치 현실의 전체화와 사회주의 이념에 대한 강박―'삼대' / 121 1. 보편주의적 근대를 향한 동일화의 서사:'만세전' 123 (1) 식민지 발견의 여행 123 (2) 표상으로서의 ‘조선’과 보편주의적 근대 지향의 욕망 127 2. 식민 제국 일본에 대한 차이화의 서사:'삼대' 132 (1) 식민지 사회, 그 상징으로서의 ‘가족’ 132 (2) 종족적 민족주의와 민족적 정체성 회복의 욕망 142 3. 맺는 말 149 제3장 자본주의 물신성 비판과 사회주의 이념의 부정―'무화과' / 153 1. 들어가는 말 153 2. 물신화된 자본주의적 욕망이 지배하는 세태 비판 157 3. 사회주의 이념의 부정, 민족적 동일성 회복 욕망의 역설 167 4. 맺는 말 178 제3부 제국주의에 대한 대립적 동일화의 서사―이기영의 '고향', '신개지', '봄' 제1장 식민지 현실의 총체화와 사회주의적 이상향의 억압적 승화―'고향' / 183 1. 들어가는 말 183 2. 지평인물의 설정을 통한 서술의 특권화와 계급 대립의 관계 구조 185 3. 사회주의적 이상향의 억압적 승화 206 4. 맺는 말 214 제2장 식민지 물상화 과정 비판과 금욕 윤리의 역설―'신개지' / 219 1. 들어가는 말 219 2. 금욕 윤리에 의한 식민지 근대화 과정의 비판적 서사화 222 3. 근면 노동을 통한 물상화된 농촌 현실 극복 욕망의 역설 231 4. 맺는 말 242 제3장 개화기 세태 풍속 비판과 문명개화 이념의 역설―'봄' / 245 1. 들어가는 말 245 2. 계몽 이념의 서사화와 그 이데올로기적 효과 250 3. 농촌 공동체 ‘민촌’을 향한 동경의 억압적 승화 259 4. 맺는 말 269 제4부 식민지 시기 민족주의 담론과 탈식민주의 제1장 근대 계몽기 민족주의 형성의 아이러니―신채호의 ‘국수’ 이념을 중심으로 / 275 1. 들어가는 말 275 2. 대립의 정치학, 민족주의와 ‘국수’ 보전의 아이러니 280 3. 민족주의의 형이상학, ‘국수’ 이념과 민족 대서사 구축의 욕망 291 4. 맺는 말 302 제2장 1920년대 문화적 민족주의의 역설―이광수의 ‘민족성 개조론’을 중심으로 / 305 1. 들어가는 말 305 2. 다이쇼(大正) 문화주의, ‘민족성 개조론’의 이념적 근거 310 3. ‘민족 개조’라는 ‘대종교’, 근대 금욕윤리의 정치학 320 4. 맺는 말 333 제3장 고전부흥의 기획과 ‘조선적인 것’의 형성 / 337 1. 들어가는 말 337 2. 고전부흥의 기획과 조선학 운동의 제도화 341 3. 고전부흥 기획의 양가적 의미망 350 4. ‘조선의 얼’과 ‘조선적인 것’에 대한 욕망의 아이러니 357 5. 맺음말 363 |
저김병구
관심작가 알림신청김병구의 다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