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식민지 시대 민족 계몽 담론과 근대 장편소설의 탈식민성 연구
양장
김병구
역락 2017.12.27.
가격
30,000
30,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목차

서장 / 9
1. 식민지 시대 장편소설과 탈식민주의 9
2. 탈식민주의와 리얼리즘 서사의 식민성 18
3. 사회적 상징으로서의 서사 23

제1부 이광수 장편소설과 제국주의에 대한 동일화의 서사
제1장 ‘민족’을 위한 소명의식과 식민지 지식인의 자기기만 ―'무정' / 33
1. 들어가는 말 33
2. ‘민족을 위한’ 소명의식의 자연화 전략 37
3. 식민지 지식인의 자기기만과 원한의 이데올로기 45
4. 맺는 말 51
제2장 자기희생적 삶과 자기 원한 감정―'재생' / 53
1. 들어가는 말 53
2. ‘자기희생적’ 삶의 자연화 57
3. 자기 원한 감정의 내면화 67
4. 맺는 말 75
제3장 금욕윤리와 양반계급에 대한 원한―'흙' / 77
1. 들어가는 말 77
2. 자기희생적 금욕윤리에 입각한 서사의 인식론적 구조 80
3. 양반계급에 대한 원한의 정서적 구조 90
4. 맺는 말 98

제2부 제국주의에 대한 차이화의 서사―염상섭의 '사랑과 죄', '삼대', '무화과'
제1장 사회주의의 이념적 지평과 여성의 타자화―'사랑과 죄' / 103
1. 들어가는 말 103
2. 사회주의 지향의 지평인물을 매개로 한 정체성 찾기 106
3. 여성의 타자화와 민족적 정체성 회복 욕망 111
4. 맺는 말 118
제2장 식민지 정치 현실의 전체화와 사회주의 이념에 대한 강박―'삼대' / 121
1. 보편주의적 근대를 향한 동일화의 서사:'만세전' 123
(1) 식민지 발견의 여행 123
(2) 표상으로서의 ‘조선’과 보편주의적 근대 지향의 욕망 127
2. 식민 제국 일본에 대한 차이화의 서사:'삼대' 132
(1) 식민지 사회, 그 상징으로서의 ‘가족’ 132
(2) 종족적 민족주의와 민족적 정체성 회복의 욕망 142
3. 맺는 말 149
제3장 자본주의 물신성 비판과 사회주의 이념의 부정―'무화과' / 153
1. 들어가는 말 153
2. 물신화된 자본주의적 욕망이 지배하는 세태 비판 157
3. 사회주의 이념의 부정, 민족적 동일성 회복 욕망의 역설 167
4. 맺는 말 178

제3부 제국주의에 대한 대립적 동일화의 서사―이기영의 '고향', '신개지', '봄'
제1장 식민지 현실의 총체화와 사회주의적 이상향의 억압적 승화―'고향' / 183
1. 들어가는 말 183
2. 지평인물의 설정을 통한 서술의 특권화와 계급 대립의 관계 구조 185
3. 사회주의적 이상향의 억압적 승화 206
4. 맺는 말 214
제2장 식민지 물상화 과정 비판과 금욕 윤리의 역설―'신개지' / 219
1. 들어가는 말 219
2. 금욕 윤리에 의한 식민지 근대화 과정의 비판적 서사화 222
3. 근면 노동을 통한 물상화된 농촌 현실 극복 욕망의 역설 231
4. 맺는 말 242
제3장 개화기 세태 풍속 비판과 문명개화 이념의 역설―'봄' / 245
1. 들어가는 말 245
2. 계몽 이념의 서사화와 그 이데올로기적 효과 250
3. 농촌 공동체 ‘민촌’을 향한 동경의 억압적 승화 259
4. 맺는 말 269

제4부 식민지 시기 민족주의 담론과 탈식민주의
제1장 근대 계몽기 민족주의 형성의 아이러니―신채호의 ‘국수’ 이념을 중심으로 / 275
1. 들어가는 말 275
2. 대립의 정치학, 민족주의와 ‘국수’ 보전의 아이러니 280
3. 민족주의의 형이상학, ‘국수’ 이념과 민족 대서사 구축의 욕망 291
4. 맺는 말 302
제2장 1920년대 문화적 민족주의의 역설―이광수의 ‘민족성 개조론’을 중심으로 / 305
1. 들어가는 말 305
2. 다이쇼(大正) 문화주의, ‘민족성 개조론’의 이념적 근거 310
3. ‘민족 개조’라는 ‘대종교’, 근대 금욕윤리의 정치학 320
4. 맺는 말 333
제3장 고전부흥의 기획과 ‘조선적인 것’의 형성 / 337
1. 들어가는 말 337
2. 고전부흥의 기획과 조선학 운동의 제도화 341
3. 고전부흥 기획의 양가적 의미망 350
4. ‘조선의 얼’과 ‘조선적인 것’에 대한 욕망의 아이러니 357
5. 맺음말 363

저자 소개1

충북 영동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성장했다.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진학하여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고, 2005년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대학에 교수로 임용되어 현재까지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 『식민지 시대 민족 계몽 담론과 근대 장편소설의 탈식민성 연구』(2017)가 있고, 공저로 『현대소설 플롯의 시학』(1999), 『최서해 문학의 재조명』(2002), 『조선적인 것의 형성과 근대문화담론』(2007) 등이 있다.

김병구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7년 12월 27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384쪽 | 710g | 160*233*30mm
ISBN13
9791162441121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30,000
1 3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