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_ 머릿속에 갇힌 지식이 아니라 내게서 살아 움직이는 불교
1장 진리를 사는 사람 무엇이 당신을 괴롭히고 구속하는가? 이 아이를 살려낼 약이 없습니까? 나, 벼락에도 멍들지 않는 허공 나의 시작은 어디이고 끝은 어디인가? 2장 영원한 것은 없다 공이란 무엇인가? 무상한 현실을 바르게 아는 것이 열반이다 극락은 어디이고 지옥은 어디인가? 누가 그대를 절망케 하는가? 비난의 화살, 꽃이 되다 3장 나는 누구인가? ‘교수가 지게 진다’의 오류 시방삼세 제망찰해, 나 아닌 것 없다 언어에 따라 세계는 다르게 보인다 공과 화두 4장 순간순간을 진실되게 산다는 것 찬바람 속 벌거숭이 겨울나무 별은 다시 올려 보내겠습니다 온몸으로 법을 설한다 윤회와 아뜨만과 공 채워도 차지 않는 욕망에 대하여 그러나 늦지 않았다 5장 부처님 마음은 어떤 것일까? 내가 하는 모든 행위는 그냥 사라지지 않는다 개개인의 세계가 형성되는 구조 기복불교의 두 얼굴 ‘있는 그대로 보는 것’과 화두, 그리고 유식 미운 놈이 실제로 있을까? 화내는 타인은 바로 나다 6장 어떻게 자유로워질 것인가? 눈으로 소리를 들을 때 비로소 온몸으로 안다 나에 대한 집착이 멈추지 않는 한 해탈은 없다 깨달음에 이르기 위한 필수품, 지혜와 복덕 빈손으로 오지 않고 빈손으로 가지 않는다 자유를 향한 사무치도록 뼈저린 자각 에필로그_ 아는 대로 행해지지 않는 교리는 절름발이에 불과하다 |
저김사업
관심작가 알림신청
“부작용 없는 진정한 행복을 누리라”
우리 시대의 새로운 명저이자 미래의 고전! 이 책의 구성은 간결하다. 불교 교리의 고갱이만을 추려 우리의 일상적인 이야기로 풀어냈다. 감동적이기까지 한 이야기는 온전히 마음에 스며들어 눈이 되고 귀가 되고 혼이 된다. 선(禪)을 바탕에 깔고 연기(緣起)·공(空)·유식(唯識)의 핵심을 모두 보여주며, 정곡을 찌르는 일상적인 실례를 통해 그 핵심이 자연스럽게 삶에 배어들게 한다. 글쓰기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누구라도 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퇴고 과정을 수십 번 거치며 낱말 하나하나 신중하게 골라 썼다. 책 속에 갇힌 불교가 아니라 언제라도 꺼내 쓸 수 있는 살아있는 불교가 되도록 한 과정이었다. 저자는 말한다. “자신의 진실을 왜곡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잘 알아,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올바른 삶을 살아서 부작용 없는 진정한 행복을 누리라고 가르치는 것이 불교다.” 이 책이 인문서인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읽는 순간 ‘앎’에서 그치지 않고 바로 내 삶에 적용하여 자신의 사고와 생활방식을 진단하고 바로잡을 수 있다는 점에서 ‘자기계발서’이기도 하다. 삶을 이롭게 이끄는 힘을 자신 안에서 찾게 만드는 책을 진정한 인문서라고 할 때, 이 책은 우리 시대 새로운 명저이자 미래의 고전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문(文)·사(史)·철(哲) 인문학 공부의 끝에서 만나게 되는 필연적인 의문에 대한 답! 부처님은 인생은 고(苦), 즉 괴로움이라고 했다. 진취적이며 혈기왕성한 젊은이라면 그 말이 이해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누구나 살다보면 느낀다. 숱한 방황과 도전, 성취와 좌절, 웃음과 탄식 사이를 넘나들며 절실한 물음이 가슴 밑바닥에서부터 차오르는 때가 있다. “도대체 삶이란 무엇인가?” 그래서 누구나 한번쯤은 인문 고전을 탐독하고 선현들의 가르침에 귀를 기울여보지만, 의문은 좀처럼 풀리지 않는다. 불교 공부를 시작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그런 과정을 거치며, 불교를 통해 삶의 이치와 원리를 이해하며 괴로움에 속박되지 않는 삶을 갈구한다. 하지만 쉽지 않다. 머리로는 간신히 이해해도, 막상 실제 삶으로 돌아오면 그 가르침과 지혜를 적용하기 어렵다. 왜 그런가. 부처님은 생로병사의 괴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출가했고,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었다. 그야말로 인생, 삶 분야의 최고 전문가라고 할 수 있다. 부처님은 당시 대중의 언어(빨리어)로 당신의 깨달음을 아주 쉽게 설법했고, 누구나 그 말을 이해하고 삶에 적용해 각자의 괴로움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불교가 후대로 전해지면서 부처님이 신격화되고 불교교리 또한 집단지성의 힘으로 더욱 심오하고 난해해졌다. 불교사상은 ‘팔만대장경’이라는 말에서도 유추되듯 한없이 방대해졌고 철학적 사유의 개념으로 변모됐다. 결국 삶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이 도리어 더욱 복잡하고 어지러운 결과를 낳게 된 것이다. 이를 반영하듯 수많은 불교서적이 고전어로 쓰인 경전을 번역하거나 난해한 사상을 풀이하는 데 그치고 있다. 또는 단지 쉬운 위로와 힐링을 내세우며 본질은 외면한 채 그럴싸한 껍데기로 치장만 할 뿐이다. 이 책은 이러한 갈증을 해소한다. 불교의 진면목을 직시하며 우리의 실제 삶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어떻게 해야 부처님의 가르침이 삶 속에 그대로 적용되어 괴로움을 해결하고 자유롭게 살 수 있는가를 분명하게 제시한다. 문학, 역사, 철학 등 모든 인문학은 바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답이다. 그러므로 그 끝은 종교적 물음에 닿게 되며, 이 책은 불교의 답이기도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