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책머리에
출전 지도 서론 제1절 상해 한인 역사의 흐름 제2절 선행 연구의 검토 제3절 문제 제기와 논의 제4절 본서의 구성 및 자료 제1부 장소와 공간의 문화사 제1장 상해 한인과 조계 공간 1. 머리말 2. 상해 조계와 한인사회의 형성 3. 프랑스조계의 한인들과 공공조계 4. 조계 공간에 대한 심상지리 5. 맺음말 제2장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기 청사의 광경 1. 머리말 2. ‘하비로 321호’ 청사의 위치 비정 3. ‘하비로 321호’ 청사와 임시정부의 광경 4. 맺음말 제3장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신년축하회 문화 1. 머리말 2. 1920년 첫 신년축하회 3. 1921년 두 번째 신년축하식 4. 맺음말 제4장 독립운동가 안태국의 순국과 장의 1. 머리말 2. 안태국의 상해행과 순국 3. 안태국 장례식의 거행 4. 맺음말 제5장 상해 한인예배당 삼일당의 역사와 위치 고증 1. 머리말 2. 삼일당과 상해 한인 3. 삼일당 위치 고증 4. 맺음말 제2부 개인과 사회의 생활사 제1장 독립신문 만평 ?군소리?의 상해 독립운동과 한인 생활문화에 대한 풍자 1. 머리말 2. 상해 독립운동과 일제 밀정에 대한 풍자 3. 한인들의 생활문화에 대한 비평 4. 맺음말 제2장 상인독립군 김시문의 생활사 1. 머리말 2. 일제강점기 김시문의 상해 이주 3. 일제강점기 김시문의 상해 생활 4. 일제 패망?신중국 수립과 김시문의 상해 생활 5. 맺음말 제3장 상해 한인사회의 위생의료 생활 1. 머리말 2. 공공 위생의료 3. 개인 위생의료 4. 맺음말 제4장 상해 고려인삼 상인들의 생활사 1. 머리말 2. 재중 한인과 고려인삼 3. 상해의 한인 고려인삼 상점 4. 상해의 한인 고려인삼 행상 5. 맺음말 제3부 이산과 기원의 교육사 제1장 인성학교의 설립과 운영 1. 머리말 2. 인성학교의 설립 배경 3. 인성학교의 설립 4. 인성학교의 운영 5. 인성학교와 상해 한인 6. 맺음말 제2장 인성학교의 학생 활동 1. 머리말 2. 학예 활동 3. 운동회 개최 4. 기념일 활동 5. 소년 운동 6. 맺음말 제3장 인성학교의 유지운동과 폐교 1. 머리말 2. 인성학교유지회의 조직 3. 인성학교유지회의 재조직 4. 맺음말 제4장 광복 후 인성학교의 재개교와 변천 1. 머리말 2. 인성학교 재개교의 배경 3. 인성학교의 재개교와 운영 4. 인성학교의 변천 5. 맺음말 결론 참고문헌 中文自序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