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1장 작은 희망에게
시시해도 시다 … 11 / 할머니의 시 … 13 / 외롭다는 것 … 14 / 어렵게 씌어진 시 … 16 동주 시인께 … 17 / 가족 … 18 / 작은 희망에게 … 19 / 목련나무우체국 … 20 무너진다는 것과 자기를 지킨다는 것 … 21 / 걱정 마 구름 … 22 / 슬픔을 대하는 지혜 … 24 벼랑에서 … 25 / 고백 … 26 / 새처럼, 은 새의 입장에서 어떻게 들릴까? … 27 오늘 … 28 / 나와 만난 내가 또 다른 나를 꿈꾼다면 … 29 / 꽃받침에 대하여 … 30 봄 … 31 / 여름 … 32 / 너를 위해 나는 바람 … 34 내가 처음 글쓰기에 재미를 붙였을 때 … 36 / 아무것도 안 하는 날 … 38 2부 넘어지면 하늘을 보자 그해 여름 은어라는 물소리가 있었다 … 43 / 우울한 날의 처방전 … 44 꽃이 날아 간다 … 45 / 나팔꽃 담장 … 46 / 감자가족 … 48 / 동구 안팎 … 50 낭만소년의 달리기 … 52 / 달밤 … 53 / 내 말들은 다 어디로 사라졌나 … 54 교과서가 맛있어지면 좋은 이유 … 55 / 오늘의 일용할 시 … 56 오늘의 일용할 시 2 … 58 / 오늘의 일용할 문장 … 59 우리 집에 왜 왔니 … 60 / 나는 정말로 공부가 하고 싶다 … 61 학교에서 … 62 / 질문의 방법 … 63 / 꽃밭에서 … 64 / 내가 어린 소녀였을 때 … 66 종이봉투 잠옷 … 68 / 넘어지면 하늘을 보자 … 69 3부 하늘나라 우체국 노랑리본 약속 … 73 / 2014-0416-304 … 74 / 꿈꾸는 교실 … 76 어른들에게 고함 … 78 / 내가 만약 대통령 후보가 된다면 … 80 무슨 민주주의가 이래? … 82 / 좋을 때 … 83 / 자기소개 … 84 미지의 너에게 … 86 / 하지 않을래 … 87 / 나의 야망 … 88 / 안녕, 주인공 … 90 나의 한 달 … 92 / 경청 … 93 / 새로운 아이 … 94 / 우리들의 푸른푸른 말하기 … 96 푸른 잎 우산 아래 푸른 빗방울처럼 … 97 / 시로 한 걸음 … 98 수련 … 99 / 빛에 대해 쓴다고 말하는 것은 아마도 … 100 시인의 말 … 102 |
저김선우
관심작가 알림신청Seon Woo Kim,金宣佑
김선우의 다른 상품
시시해도 시다 - 시는 말로 지어지는 나의 삶
“남들한텐 시시해도 나한텐 시시하지 않으니까!” 시집의 첫 번째에 놓인 시 「시시해도 시다」는 유독 다른 사람의 평가에 민감한 우리들에게 남이 시시하다 해도 나에게 시시하지 않으면 ‘특별한 의미’가 된다는 것을 일러준다. 시인에 따르면 “말은 사라지니까 글자를 만들고 시를 쓰게 된 것(「할머니의 시」)”이므로, 나의 이야기를 말로, 글로 그리고 시로 표현하는 것이 곧 ‘나의 시’가 되는 것이다. 그것은 오롯이 나만의 것이다. 그래서 특별한 나의 시는 다른 이들의 평가와 무관하다. 그러므로 이제는 다른 사람들의 잣대에서 자유로워지기를, 그리고 스스로의 존재 자체의 소중함을 간직하기를 시인은 제안한다. 그리고 그런 시간들은 ‘아무것도 안 하는 날’ 찬란하게 피어난다. 오늘 하루 아무것도 안 했다면 / 엄청 어려운 일을 해낸 거야! // 시도 그래 / 아무것도 안 하기와 비슷해 // 격렬히 / 아무것도 안 한 만큼 / 찬란하게 피어나지 // 아무것도 안 해서 / 안 하도록 해서 / 세상의 평화를 꿈꾸지 -「아무것도 안 하는 날 - 시놀이」 중에서 ‘푸른푸른 말하기’로 시작되는 나와 너의 이해와 사랑 자신이 그 자체로 특별하고 소중한 존재임을 확인하기 위해 시인은 ‘말’을 하라고 한다. ‘구경꾼처럼 떠드는 남의 이야기’(「내 말들은 다 어디로 사라졌나」) 말고 진짜 나의 이야기를 떠들어대자는 말이다. 그래야 나의 삶에서 구경꾼이 아닌 주인공이 될 수 있다. 아침마다 ‘안녕, 주인공!’(「안녕, 주인공!」) 하며 스스로에게 인사해보자. 그렇게 불러내 삶의 ‘주인공’이 된 내가 될 때 타인에 대한 이해도 가능해진다. “모르면 경쟁상대일 뿐일 텐데 / 말하면서 너가 되어가는 / 남이 아닌 친구가 많아지는 / ……/ 말하면서 나와 다른 세상이 점점 더 많아지는 / 끄덕이며 이해하며 존중하며”(「우리들의 푸른푸른 말하기」) 서로 말하는 것. 그것은 이름을 불러주면 꽃이 되어 다가오는 ‘의미’처럼, ‘푸른푸른 말하기’를 통해 서로의 ‘의미’가 된다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이렇게 될 때 비교와 경쟁의 자리에 비로소 이해와 사랑이 놓일 수 있게 된다. ‘나’로 바로 서고 ‘너’를 이해하고 나서야 ‘사랑’을 배우는 것이다. 너를 이겨야만 내가 거길 갈 수 있다면 나는 그냥 너의 손에 예쁜 꽃 한 송이 건네주고 딴 데로 갈래 …… 비교 없이 경쟁 없이 사랑하면서 살래 - 「새로운 아이」 중에서 시인이 전해주는 슬픔과 아픔을 마주하는 자세 사랑하고 이해하며 자라나는 과정은 아픔과 슬픔을 동반하기 마련이다. 나의 우울과 슬픔 그리고 아픔을 말할 수 없을 때, 시인은 그것을 표현하고 마주하는 방법에 대하여 나긋하게 알려준다. 걱정이 있으면 “119를 부르듯 걱정 마 구름”(「걱정 마 구름」)을 부르고, 슬픔이 오면 슬픔을 껴안고, 슬픔을 이겨내는 방법에 대해 알려준다(「슬픔을 대하는 지혜」). 우울한 날은 우울한 대로 ‘씨앗잠, 태아잠’을 푹 잔 후 (「우울한 날의 처방전」) 누군가에 의하지 않고 오로지 나 스스로가 안녕? 하고 일어나도록 한다. 누가 깨운 것이 아닌 스스로 태어나고 싶고 일어나고 싶을 때 스스로의 힘으로 안녕? 할 수 있는 것, 그것이 바로 ‘통증은 있었지만 퍽 괜찮은 성장’(「달밤」)의 힘이 될 수 있다. 그렇게 성장하는 청소년들은 어른으로 자라기 위한 미완성의 과정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롯이 그대로 아름다운 꽃이 된다. 여기는 경유지가 아니다. …… 나는 날마다 꽃핀다. 내 말을 완전히 이해하는 나의 태양과 함께 다른 사람이 보기에 덜 핀 꽃이어도 나는 여기에서 완전하다 - 「오늘」 중에서 말의 힘, 시의 힘 시인은 「오늘의 일용할 시」 연작을 통해 시가 주는 힘과 역할을 다시 생각해 보게 한다. “‘오늘의 시’에서 위로받은 날”이라고 고백한 것처럼, 시의 역할은 바로 위로와 용기를 주는 것이 아닐까. ‘아무것도 안 하는 날’ 부담 없이 펼쳐본 시집 『아무것도 안 하는 날』을 통해 학교, 학원, 집을 맴돌며 진짜 나를 공부할 수 없어 힘들고 외로운, 그리고 슬픈 대한민국의 청소년들에게 저마다 다르게 꽃피우시라고 따뜻한 위로와 용기가 되기를 바라본다. “마음 가는 대로 취향 따라 그저 맘껏 이 시편들을 즐기고 누리시길! ‘아무것도 안 하는’ 어느 날, 저마다 다른 어떤 페이지를 펼쳐 놓고 저마다 다른 꿈의 발전소를 가동시키는 벗들을 상상합니다. 네, 향유! 그렇게 다 다르게 누리시면 됩니다. 다 다르게 꽃피면 됩니다.” - 「시인의 말」중에서 십 대 청소년들이 『아무것도 안 하는 날』을 읽고 추천하는 ‘푸른푸른’ 말하기 성적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고 힘들었는데 이 시집을 읽으니 위로가 되었다. 나를 조금 더 사랑해야겠 다. -김완경(17세) 우리의 고민을 하찮은 변명거리로 치부하지 않는 따뜻한 어른을 만난 것 같다. -박근원(18세) 시의 울림이 마음에 깊이 스며들어 따뜻한 햇빛을 받는 느낌이다.-양수빈(17세) 상처받은 내 마음을 조용히 안아 주는 시이다. -유리(18세) 재밌고 공감되는 시가 많아서 나와 같은 10대들이 읽으면 좋을 것 같다.-유서진(18세) 편안하게 읽을 수 있지만 그 내용이 결코 가볍지만은 않다. 오래 고민하지 않아도 이해할 수 있고 내 삶의 주체가 나임을 알게 해 주는 시집이다. -이시언(18세) 왠지 나의 현실을 다 안다며, 괜찮다며, 너만 그런 것이 아니라며 토닥거려 주는 것 같았다. -최윤영 (18세) 평소에 시를 많이 읽어 보지 못했는데 이 시집을 읽으며 시의 매력을 알게 되었다. 내가 어떻게 살 아왔는지 생각해 보고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시가 많다. -한승희(18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