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이상한 선생님
남북어린이가 함께보는 창작동화 1
이오덕
사계절 2001.03.31.
가격
8,500
10 7,650
YES포인트?
42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사계절 아동문고

책소개

목차

1. 느티나무 이야기(방정환)
2. 멀리 간 동무(백신애)
3. 북악산 높이(박화성)
4. 어린 수문장(이태준)
5. 불쌍한 삼형제(이태준)
6. 자갈돌(이영철)
7. 고구마(현덕)
8. 왕치와 소새와 개미와(채만식)
9. 황소와 도깨비(이상)
10. 자장가(박경식)
11. 미친이(임효원)
12. 한길로 간다(리동섭)
13. 이상한 선생님(채만식)
14. 박달 방망이(정홍교)
15. 토끼와 원숭이(마해송)

저자 소개1

李五德

1925년 11월 4일에 경북 청송군 현서면 덕계리에서 태어나 2003년 8월 25일 충북 충주시 신니면 무너미 마을에서 세상을 떠났다. 열아홉 살에 경북 부동공립초등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시작해 예순한 살이던 1986년 2월까지 마흔두 해 동안 아이들을 가르쳤다. 스물아홉 살이던 1954년에 이원수를 처음 만났고, 다음 해에 이원수가 펴내던 [소년세계]에 동시 ‘진달래’를 발표하며 아동문학가로 첫발을 내디뎠다. 그 뒤 이원수의 권유로 어린이문학 평론을 쓰게 된다. 1973년에는 권정생을 만나 평생 동무로 지냈다. 우리 어린이문학이 나아갈 길을 밝히기 위해 1977년에 어린
1925년 11월 4일에 경북 청송군 현서면 덕계리에서 태어나 2003년 8월 25일 충북 충주시 신니면 무너미 마을에서 세상을 떠났다. 열아홉 살에 경북 부동공립초등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시작해 예순한 살이던 1986년 2월까지 마흔두 해 동안 아이들을 가르쳤다. 스물아홉 살이던 1954년에 이원수를 처음 만났고, 다음 해에 이원수가 펴내던 [소년세계]에 동시 ‘진달래’를 발표하며 아동문학가로 첫발을 내디뎠다. 그 뒤 이원수의 권유로 어린이문학 평론을 쓰게 된다. 1973년에는 권정생을 만나 평생 동무로 지냈다.

우리 어린이문학이 나아갈 길을 밝히기 위해 1977년에 어린이문학 평론집 『시정신과 유희정신』을 펴냈다. 이 책에서 절대 자유의 창조적 정신을 발휘한 어린이문학 정신을 ‘시정신’, 그에 반하는 동심천사주의 어린이문학 창작 태도를 ‘유희정신’이라 했으며, 현실에서 살아가고 있는 어린이의 눈과 마음으로 보고 느끼고 생각할 수 있는 어린이문학의 ‘서민성’을 강조했다. 또한 모든 어린이문학인이 새로운 문명관과 자연관, 아동관에 서지 않고서는 진정한 어린이문학을 창조할 수 없다고 이야기했다. 어린이문학의 발전을 위해 작가들과 함께 어린이문학협의회를 만들었으며, 어린이도서연구회를 만드는 데도 힘을 보탰다.

2003년 작고 전까지 아동 문학 평론가로서 어린이들이 올바른 글쓰기 교육을 하도록 이끌었고,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 ‘어린이문학협의회’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 들을 꾸렸으며, ‘어린이도서연구회’를 여는 바탕이 되었다. 한국 아동문학상과 단재상을 받았으며, 어린이를 사랑하고 아끼고 돌보는 일과 어린이 문학, 우리말 바로잡기에 평생을 바쳤다.

그동안 쓰고 엮은 책으로 『아동시론』, 『별들의 합창』, 『까만 새』, 『시정신과 유희정신』, 『일하는 아이들』, 『삶과 믿음의 교실』, 『이 아이들을 어찌할 것인가』, 『어린이를 지키는 문학』, 『이 땅의 아이들 위해』, 『울면서 하는 숙제』, 『종달새 우는 아침』, 『개구리 울던 마을』, 『거꾸로 사는 재미』, 『삶·문학·교육』, 『우리 문장 쓰기』, 『글쓰기 어떻게 가르칠까』, 『참교육으로 가는 길』, 『농사꾼 아이들의 노래』, 『문학의 길 교육의 길』, 『나무처럼 산처럼』, 『어린이책 이야기』, 『아이들에게 배워야 한다』, 『감자를 먹으며』, 『우리 말 살려쓰기(하나),(둘)』, 『고든박골 가는 길』 등 다수가 있다.

이오덕의 다른 상품

편저자 : 이오덕
1925년 경북 청송 출생으로 1944년부터 주로 농촌 학교에서 어린이들과 같이 살아오다가 1966년 봄에 퇴직했다. 현재는 글쓰기 교육과 어린이 문학 그리고 우리말 바로잡기에 매달려 있다.
그는 단재상을 받았으며 저서로는 『개구리 울던 마을』,『울면서 하는 숙제』,『글쓰기, 이 좋은 공부』,『어린이는 모두 시인이다』,『우리글 바로 쓰기』등이 있다.

품목정보

발행일
2001년 03월 31일
쪽수, 무게, 크기
221쪽 | 355g | 153*224*20mm
ISBN13
9788958281092
KC인증
kc마크 인증유형 : 적합성확인

예스24 리뷰

--- 어린이 도서정보팀
이 책은 남한과 북한, 연변, 세 곳에 흩어져 살고 있는 우리 겨례 어린이들을 위해 쓴 이야기를 모은 책이다. 여기서 일제 시대에 우리 겨레가 어떻게 살았던가, 어린이들은 어떻게 살았던가를 알게 될 것이고, 우리 겨레가 겪었던 고난의 삶이 오늘날에는 또 다른 모양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게 될 것이다.

책 속으로

훌쪽해진 뱃가죽을 축 늘어트리고 뒷다리들은 짝 바리고 앙그라지게 앉아서 젖 빠는 새끼들을 번갈아 내려다보는 그의 어미개의 알른거리는 눈알은 비록 짐성일망정 개에게도 손만 있으면 이 새끼 저 새끼 쓰다듬어 줄 듯이 어머니로서의 따뜻한 애정을 가지고 있는 것같이 보였습니다.

--- p.41

머리통이 그렇게 큰 박 선생님의 얼굴은 어떻게 생겼느냐 하면, 또한 여느 사람과는 많이 달랐다.

뒤통수와 앞이마가 툭 내솟고 내솟은 좁은이마 밑으로 눈썹이 시꺼멓고, 왕방울 같은 두 눈은, 부리부리하니 정기가 있고도 사납고, 코는 매부리코요, 입은 메기 입으로 귀 밑까지 넓죽 째지고 그리고 목소리는 쇠꼬챙이로 찌르는 것처럼 쨍쨍하고.

이런 대갈 장군의 뼘생 박 선생님과 아주 정반대로 생긴 이가 강 선생님이었다.

강 선생님은 키가 크고, 몸집도 크고, 얼굴이 너부릇하고, 얼굴이 검기는 하여도 순하지 사나움이 든 데가 없고, 눈은 더 순하고, 허허 웃기를 잘 하고, 별로 성을 내는 일이 없고, 아무하고나 장난을 잘 하고…… 강 선생님은 이런 선생님이었다.

--- p.175

추천평

남한과 북한, 연변 세 곳에서 나온 창작 동화를 가려 뽑아 엮은 것이다. 일제 시대 비인간적인 억압에 맞서 싸우는 인간상을 그린 리동섭의 <한길로 간다>, 봉건 지배 아래의 비참한 삶을 그린 박경식의 <자장가>, 채만식의 <이상한 선생님>, 마해송의 <토끼와 원숭이>, 이상의 <황소와 도깨비>, 이태준의 <어린 수문장>, 현덕의 <고구마> 같은 뛰어난 단편들이 들어있다.
--- 어린이도서연구회

리뷰/한줄평3

리뷰

8.6 리뷰 총점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