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묘지 위의 태양
이태동
동서문화사 2019.01.01.
가격
12,000
10 10,800
YES포인트?
6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머리글

1 묘지 위의 태양
색초를 가져온 수녀님 … 19
웃는 얼굴이 아름답다 … 21
우리를 기쁘게 하는 것들 … 25
밤비 오는 소리 … 29
묘지 위의 태양 … 33
어느 우체부의 초상 … 38
수집가의 즐거움 … 43
램프 수집의 변(辯) … 48
시들지 않는 꽃과 여인 … 51
꽃향기는 멀리 가기에 그리움으로 남는다 … 56
국화꽃 향기 … 61
낙엽 … 64
유리 공예 사진 한 장 … 69
마음의 섬 … 73
이상향은 어디에도 없는 것인가 … 78
오래된 사원의 종탑과 스테인드글라스 … 82

2 산책 일기
자연과 함께하는 순간들 … 89
아카시아 산으로 오르는 우리 집 앞길 … 93
산책 일기 … 96
미학적 거리를 위한 소묘 3 … 101
달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각 … 106
삶의 미학적 공간 … 111
인물 사진과 예술가의 초상 … 116
산정(山頂) 부근 … 120
울 밑에 선 봉선화 … 124
옛집 … 127
인간정신의 숲을 찾아서 … 132
순례자의 눈에 비친 종묘(宗廟) … 137
어느 합창단의 마지막 리허설 … 140
금강석 광휘(光輝)와 진주의 빛 … 144
절제의 미학 … 148

3 사색과 경험
서재를 정리하면서 … 157
자기만의 방 … 163
사색과 경험 … 167
삶의 본질은 아름답다 … 171
우수(憂愁) … 175
침묵의 의미 … 180
그림자와 거울 속의 얼룩 … 184
작은 곱사등이 … 187
고독에 대하여 … 191
인간은 왜 사색하는 존재인가 … 195
한 달 간의 불편한 동거 … 199
생의 신비로움은 베일인가 길잡인가 … 204
해후와 연민의 정 … 207
부케의 향기 … 211
멋의 아름다움과 그 내면적 진실 … 215
기다림의 철학 … 219
패터슨 교수님의 부음을 받고 … 223
책갈피에 남겨 놓은 은사님의 노트 … 228
어느 조각가의 장례식 … 232
마지막 수업 … 237

4 겨울의 빛
경험과 풍요로운 삶 … 243
일요일 아침 … 247
뼈가 묻힌 무덤일지라도 달구지는 몰아야 한다 … 251
봄의 문턱에서 … 255
풍요로운 계절, 여름 … 259
은빛 소나기 … 263
결실의 계절, 가을 … 267
가을의 슬픔 … 271
겨울의 빛 … 275
눈 오는 아침에 … 279
12월의 풍경 … 283
도서관에서 시 읽는 즐거움 … 287
평화로운 마음 … 290

책 읽기와 나의 삶 … 294

저자 소개1

李泰東

칼럼니스트·문학평론가. 1939년 경북 청도 출생. 1965년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 졸업. 1970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채플 힐 캠퍼스 대학원 영문학 석사. 1988년 서울대 대학원 영문학 박사학위 취득. 미국 하버드대학 옌칭연구소 초빙연구원 역임. 스탠퍼드 및 듀크대학교 플브라이트 교환교수를 지냈다. 1972년부터 2004년까지 서강대학교 영문과 교수 및 문과대학장을 지냈으며, 현재 서강대 명예교수로 있다. 1976년 『문학사상』에 평론 등단, 서울시문화상 문학부문, 김환태평론상, 조연현문학상, 이종구수필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평론집 『부조리와 인간의식』, 『한국문
칼럼니스트·문학평론가. 1939년 경북 청도 출생. 1965년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 졸업. 1970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채플 힐 캠퍼스 대학원 영문학 석사. 1988년 서울대 대학원 영문학 박사학위 취득. 미국 하버드대학 옌칭연구소 초빙연구원 역임. 스탠퍼드 및 듀크대학교 플브라이트 교환교수를 지냈다. 1972년부터 2004년까지 서강대학교 영문과 교수 및 문과대학장을 지냈으며, 현재 서강대 명예교수로 있다.

1976년 『문학사상』에 평론 등단, 서울시문화상 문학부문, 김환태평론상, 조연현문학상, 이종구수필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평론집 『부조리와 인간의식』, 『한국문학의 현실과 이상』, 『현실과 문학적 상상력』, 『나목의 꿈』 그리고 『한국 현대시의 전통과 변혁』, 수필집 『살아 있는 날의 축복』, 『마음의 섬』, 『묘지 위의 태양』, 칼럼집 『대통령의 눈물』, 엮은책 『아름다운 우리 수필』, 옮긴 책으로는 솔 벨로의 『허조그』, 『오기 마치의 모험』, 도리스 레싱의 『풀잎은 노래한다』, 윌리엄 포크너의 『압살롬, 압살롬!』 등이 있다.

이태동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9년 01월 01일
쪽수, 무게, 크기
300쪽 | 486g | 153*224*20mm
ISBN13
9788949716985

출판사 리뷰

언어의 빛으로 밝힌 삶의 아름다움

‘해가 긴 봄날 토요일, 학교가 일찍 끝나는 집으로 가는 길. 논둑 기슭에 하얗게 핀 찔레꽃 내음. 마을 동구(洞口) 앞 대장간에서 한낮의 정적을 깨뜨리며 들려오는 쇠망치 소리. 이름 없는 풀꽃들이 패랭이꽃과 옹기종기 무리지어 피어 있는 개울가 방죽길. 숲속의 빈터. 깊은 산속에 핀 푸른 도라지꽃을 발견했을 때. 묘지 옆 잔디에 누워 바라다 본, 가파르게 높은 푸르른 하늘 위로 흘러가는 솜털 같은 흰 구름’

이태동이 삶에서 느끼는 기쁨들은 하나같이 소소한 것에서 비롯한다. 그가 생각하기에 삶의 본질은 아름답다. 이 고단한 인생에서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보다 그의 기억 속에는 기쁘고 아름다운 것들이 더 많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때문에 그의 수필은 아름답다. 그는 철학적 사색에서 삶의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데 탁월한 안목을 보여준다. 부끄러운 줄 모르고 앞니 빠진 것을 드러내 보이며 활짝 웃는 어린이의 얼굴에서도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성당 맨 앞자리에 앉아서 영성체를 받고 돌아오는 사람들의 조용한 행렬을 바라보면서 그들로부터 어릴 때 고향 샘터에 물을 길러오던 처녀들이나 젊은 아낙네들의 순박한 모습을 읽어 내기도 한다.

그가 느끼기에 우리의 생은 많은 부분 슬픔으로 가득 차 있다. 그러나 그는 생의 그 처연한 슬픔 속에서도 아름다움을 발견한다. 그가 바라본 생은 ‘유리창에 부서지는 하얀 빛과 정원에 피는 카네이션이나 국화꽃만큼이나 슬프고 아름답다. 버지니아 울프가 비록 강물에 몸을 던졌지만, 그가 누구 보다 생을 사랑했던 것은 삶의 슬픔 속에 담겨진 아름다움 때문이었으리라.’

이태동은 또한 지난 시절 가졌던 화려한 경험이 아닌, 초라하고 작은 경험들에서 삶의 기쁨을 발견한다. 초등학교 시절, 신장염을 앓던 그를 고향 마을에서부터 간이역까지 업어다 주었던 머슴 아저씨의 땀 냄새 나던 따뜻하고도 넓은 잔등을 아직도 기억하는 섬세하고도 다정다감한 마음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그의 글에서 독자는 큰 감동을 받는다. 이처럼『묘지 위의 태양』은 이태동이 사람과 자연을 한없이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봄으로써 그 안에서 건져 올린 기쁨과 경탄, 감사와 애정 가득한 문장들로 찬란히 빛나며 읽는 이의 가슴에 오래도록 깊은 울림을 남긴다.

사색과 성찰의 시간, 깊은 감동과 울림

이 책에서 이태동은 인간의 삶은 신비로운 경험을 통해 탐색하는 자아 발견의 과정이라고 말한다. 인간은 운명적으로 자기 자신을 알기 위해서 살아가도록 만들어졌다. 어른이 되어서도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비밀스러운 삶의 진수(眞髓)와 자기가 태어난 이 세상의 아름다움에 숨어 있는 진리가 무엇인가를 발견하는 것을 가장 큰 기쁨으로 생각한다. 그러므로 그는 인간이 느끼는 가장 우아한 즐거움은 사색과정을 통해 자기와 주변 세계와의 성숙한 인식과정에서 얻어진다고 말한다.『묘지 위의 태양』은 그런 성숙한 인식과정을 고스란히 우리 눈앞에 재현한다. 우리가 우리 자신을 알고 진정으로 감사하고 겸손한 마음으로 눈을 뜨면, 이 세상에는 상상 할 수 없으리만큼 무수한 아름다움이 있음을 독자는 이 책을 읽음으로써 깨닫게 된다.

또한 이 책은 생의 기쁨은 겉으로 드러나는 자연의 아름다운 풍경과 물리적으로 만나는 곳에서만 있는 것이 아니라, 때 묻지 않은 감수성과 직관적인 통찰력으로 신비로운 자연 풍경과 생의 언저리에 보이지 않게 흩어져 있는 도덕적 진실을 또렷하게 나타나는 빛으로 발견했을 때, 우리는 환희에 가까운 기쁨을 느낄 수 있음을 알려준다. 복잡하고 혼란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 가운데는 이따금 나타나는 참된 삶의 진실과 미의 가치가 무엇인가를 인식하고 있는 사람들이 아직 남이 있으리라. 그러한 이들에게『묘지 위의 태양』은 부싯돌로 불을 켜듯 성숙한 불꽃이 되어 그 마음의 방을 백야(白夜)처럼 환하게 가득 비쳐줄 것이다.

“에세이는 비평적 에세이와 창조적 에세이가 있다. 비평적 에세이는 텍스트의 주제를 연구하는 학문적인 것이고, 창조적인 에세이는 자기의 생각을 하나의 예술 형태로서 다시 생각하는 미학을 지니고 있다. 이태동의 창조적인 에세이는 비평적인 미학을 함께 하고 있어 침묵 속의 지적인 울림이 흐르고 있다.
조용한 시간 이태동의 수필을 찾아 읽는 사람들은 그의 에세이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글은「밤비 오는 소리」와「색초를 가져온 수녀님」에서처럼 “스치는 바람에 거문고가 울리 것”과도 같이 섬세한 감성을 보이고 있어 근원적인 것과 만나는 현현(顯現)의 환희를 느끼게 한다.” -이어령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0,800
1 10,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