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속담·속담 공부법
속담, 도대체 넌 뭐냐? | 재미있게 속담을 공부하고 싶다면, 이렇게! 오늘은 어떤 속담을 공부할까? 01 시작이 반이다 | 02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 | 03 방귀 뀐 놈이 성낸다 04 말 한마디에 천 냥 빚도 갚는다 | 05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 06 금강산도 식후경 07 때리는 시어머니보다 말리는 시누이가 더 밉다 | 08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09 서투른 목수가 연장 탓한다 | 10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11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 | 12 입에 쓴 약이 병에는 좋다 | 13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14 빈 수레가 요란하다 | 15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 | 16 가지 많은 나무에 바람 잘 날 없다 17 엎친 데 덮친 격이다 | 18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 19 낙숫물이 댓돌을 뚫는다 20 공든 탑이 무너지랴 | 21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 22 쥐구멍에도 볕 들 날 있다 23 아닌 밤중에 홍두깨 | 24 첫술에 배부르랴 | 25 작은 고추가 더 맵다 26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른다 | 27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 28 굼벵이도 구르는 재주가 있다 29 고생 끝에 낙이 온다 | 30 서당 개 삼 년이면 풍월을 읊는다 | 31 등잔 밑이 어둡다 속담 찾아보기 |
글박은교
관심작가 알림신청박은교의 다른 상품
‘꿩 먹고 알 먹듯’ 속담 익히기
소년한국일보의 기사에 따르면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는 속담은 배워서 아는데, ‘낫’은 모르는 어린이들이 많다고 합니다. 속담은 선조의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때와는 많이 다른 환경 속에서 살고 있는 어린이들에게는 속담에 사용된 소재들이 낯설게 느껴지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속담을 단어 외우듯이 익히기보다는 선조의 삶에 대한 관심을 통해 현재에 맞게 속담을 해석하고 활용하면서 익힐 수 있다면 어휘력 향상뿐만 아니라 역사와 생활 전반에 대한 이해까지 ‘꿩 먹고 알 먹듯’ 속담을 통해 다양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을 것입니다. 속담 외우지 말고, 생활 속에서 찾아서 익히면 재미까지 플러스! 속담은 우리 선조의 생활 속에서 얻어낸 경험이나 교훈을 담아낸 짧은 글입니다. 그래서 우리 속담 속에는 선조의 생활을 반영하는 농사ㆍ농기구와 관련된 말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삶의 환경이 많이 달라진 지금,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는 속담은 잘 알면서도 ‘낫’이 어떻게 생겼는지 모르는 어린이가 많다고 합니다. 속담은 영어 혹은 외국어의 단어나 숙어처럼 단순히 외워야 하는 숙제가 아닙니다. 속담은 짧은 문장 속에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는 글입니다. 속담이 어떻게 생기게 되었는지, 조상들은 어떤 생활을 했는지에 대해 생각하면서, 우리의 생활에서는 어떻게 쓰일 수 있는지까지 생각하면서 익혀 나간다면, 단순히 어휘력 향상과 국어 공부 능력을 높이는 것 외에도 많은 생활의 지혜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나, 오늘은 첫술에 배부른 속담왕》은 평범한 친구, 석구가 속담과 친해져가는 과정을 생활 속 동화로 엮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동화 속에 나오는 속담은 비슷한 뜻을 가진 다른 속담과 함께 다양하게 익힐 수 있도록 하고, 그와 더불어 새로 배운 속담을 친구들과의 대화 속에서는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지에 대한 예시까지 두고 있어서, 속담 속의 어려운 단어를 익히는 것에서부터, 속담 활용법까지 완벽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