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플라톤전집 Ⅶ
알키비아데스 I·II/힙피아스 I·II/미노스/에피노미스/테아게스/ 클레이토폰/힙파르코스/연인들/서한집/용어 해설/위작들 양장
2019.04.20.
베스트
서양철학 top100 5주
가격
35,000
10 31,500
YES포인트?
1,75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이 상품의 시리즈 8 완결

뷰타입 변경

원전으로 읽는 순수 고전 세계

책소개

목차

옮긴이 서문 5
주요연대표 9
일러두기 12

알키비아데스 I Alkibiades 13
알키비아데스 II Alkibiades deuteros 99
힙피아스 I Hippias meizon 127
힙피아스 II Hippias elatton 181
미노스 Minos 213
에피노미스 Epinomis 237
테아게스 Theages 273
클레이토폰 Kleitophon 299
힙파르코스 Hipparchos 309
연인들 Erastai 329
서한집 Epistorai 347
용어 해설 Horoi 451
위작들 Notheuomenoi 467

정의에 관하여 Peri dikaiou 468
미덕에 관하여 Peri aretes 480
데모도코스 Demodokos 490
시쉬포스 Sisyphos 504
에뤽시아스 Eryxias 515
악시오코스 Axiochos 544

저자 소개2

Platon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으로 서양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명문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20세에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었다.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셨을 때 그의 나이 28세였다. 그 후 여러 곳을 여행하며 견문을 넓히고 기원전 387년에 철학 중심의 종합 학교인 아카데메이아를 세웠다. 소크라테스의 사상과 철학이 담긴 글을 저술하며 그 안에 자신의 철학도 담았다. 「파이돈」 「크리톤」 「향연」 「국가」 「프로타고라스」 등 35편의 저서를 남겼는데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제외하면 전부 대화체 형식으로 되어 있어 『대화편』이라 불린다. 소크라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으로 서양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명문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20세에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었다.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셨을 때 그의 나이 28세였다. 그 후 여러 곳을 여행하며 견문을 넓히고 기원전 387년에 철학 중심의 종합 학교인 아카데메이아를 세웠다. 소크라테스의 사상과 철학이 담긴 글을 저술하며 그 안에 자신의 철학도 담았다. 「파이돈」 「크리톤」 「향연」 「국가」 「프로타고라스」 등 35편의 저서를 남겼는데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제외하면 전부 대화체 형식으로 되어 있어 『대화편』이라 불린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철학을 저술 활동으로 남기지 않았기에 그의 사상을 엿보려면 플라톤의 『대화편』에 의존해야 한다. 초기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짙게 느낄 수 있으며 후기로 갈수록 소크라테스 철학을 근간으로 한 플라톤 철학이 나타난다.

플라톤 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5년 동안 독문학과 고전문학을 수학했으며 북바덴 주정부가 시행하는 희랍어 검정시험 (Graecum)과 라틴어 검정시험(Großes Latinum)에 합격했다. 고전 번역가로 활동하며 그리스 문학과 라틴 문학을 원전에서 우리말로 옮기는 작업에 매진하며 고전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원문의 깊이와 의미를 충실히 전달하면서도, 한국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문장으로 번역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표적인 원전 번역으로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뒷세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5년 동안 독문학과 고전문학을 수학했으며 북바덴 주정부가 시행하는 희랍어 검정시험 (Graecum)과 라틴어 검정시험(Großes Latinum)에 합격했다. 고전 번역가로 활동하며 그리스 문학과 라틴 문학을 원전에서 우리말로 옮기는 작업에 매진하며 고전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원문의 깊이와 의미를 충실히 전달하면서도, 한국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문장으로 번역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표적인 원전 번역으로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뒷세이아』,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 『로마의 축제들』, 아폴로도로스의 『원전으로 읽는 그리스 신화』, 『아이스퀼로스 비극 전집』, 『소포클레스 비극 전집』, 『에우리피데스 비극 전집』, 『아리스토파네스 희극 전집』, 『메난드로스 희극』, 『그리스 로마 에세이』, 헤로도토스의 『역사』, 투퀴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전쟁사』, 크세노폰의 『페르시아 원정기』, 플라톤의 『국가』 『법률』 『소크라테스의 변론/크리톤/파이돈/향연』 『고르기아스/프로타고라스』,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정치학』 『수사학/시학』 등 다수가 있으며, 주요 저서로 『그리스 비극의 이해』 등이 있다

천병희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9년 04월 20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560쪽 | 972g | 160*230*38mm
ISBN13
9788991290822

출판사 리뷰

[평생 스승을 기리며 삶과 철학을 재구성한 플라톤]
플라톤의 대표 저작인 『국가』에서 이데아론을 주장하는 이도 소크라테스일까? 그럴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 플라톤은 스승이 죽자 메가라(그리스 남부의 도시로 학문·예술의 중심지)의 신전에 은신해 있다 아테네로 돌아온다. 곧이어 아카데메이아를 세우는데, 이때부터의 대화편에서 플라톤은 소크라테스를 아카데메이아의 사상과 원칙을 대변하는 인물로 삼는다. 『국가』는 이 시기를 대표하는 대화편인 것이다. 그레고리 블라스토스(Gregory Vlastos)는 “이런 작업을 통해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옮겼다기보다는 그것을 새로 만들어냈다.”고 평가한다. 플라톤은 스승의 행적과 말씀을 곧이곧대로 옮기는 데서 벗어나, 스승의 사상을 좀더 ‘다듬거나’ 보완했다. 스승의 사상을 근본적으로 뒤집지는 않은 채 말이다.

[천병희의 플라톤 번역은 1972년으로 거슬러 올라가]
천병희의 『국가』 번역은 197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세계의 대사상’이라는 시리즈를 출간하던 한 출판사가 급한 일정으로 번역을 의뢰했는데, 그 텍스트가 바로 『국가』였다. 당시 1~5권은 박종현 교수가, 6~10권은 천병희 교수가 번역했다. 세월이 흘러 1997년에 박 교수의 주역(註譯) 『국가·정체』가 나온 바 있고, 천 교수의 『국가』는 2013년에야 출간되었다. 그리스 철학의 정점은 누가 뭐래도 플라톤의 『국가』인데, 우리는 두 거장이 그리스어 원전을 우리말로 옮긴 두 권의 『국가』를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이보다 1년 앞서 천병희는 『소크라테스의 변론/크리톤/파이돈/향연』(플라톤전집 1권)을 옮긴다. 앞서의 『국가』 부분 번역을 제외하면 이것으로 플라톤 대화편 번역사업의 첫 삽은 뜬 셈이다. 그러던 것이 이듬해 『국가』(플라톤전집 4권)(2013년)를 번역하면서부터 1년에 책을 기준으로 두세 권씩의 대화편 번역을 꾸준히 이어간다.
『파이드로스/메논』(2013년), 『고르기아스/프로타고라스-소피스트들과 나눈 대화』(2014년), 정치가/소피스트』(2014년), 이온/크라튈로스』(2014년), 뤼시스/라케스/카르미데스-초기 대화편들』(2015년) 그리고 2016년에는 『플라톤의 다섯 대화편-테아이테토스/필레보스/티마이오스/크리티아스/파르메니데스』를 펴내고, 한 해가 저물 무렵 마침내 『법률』(2016년)까지 번역하는데, 『법률』은 그가 옮긴 22번째 플라톤의 대화편이면서 분량만이 아니라 내용에서도 『국가』와 비교되는 역작이었다, 이러다 천병희라는 한 번역가가 플라톤전집을 완역하게 되는 것은 아닐까, 기대를 모으기 시작했다. 플라톤이 저술했다고 알려진 대화편은 34편 가량인데, 위작(僞作)이 확실하다고 판명된 것을 빼고 거의 대부분의 플라톤의 대화편을 이미 번역한 상태였다. 조용히 시작된 그러나 예사롭지 않은 ‘사건’이었다. 『에우튀테모스』, 『에우튀프론』 등 천병희가 ‘번역한’ 대화편보다는 ‘번역하지 않은’ 대화편들을 헤아리는 일이 더 수월한 상황이었다.

[한 사람이 플라톤전집을 완역하는 것은 아닐까, 기대]
물론 천병희는 어디에서도 플라톤전집 완역을 약속한 바 없다. 다만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것은 팔십대를 바라보는 노학자가 최근 10년 가까이 플라톤 대화편 번역에 ‘올인’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천병희는 왜 하필 플라톤 대화편에 집중하느냐는 질문에 대답했다. “나는 다른 일 안 하고 이것만 하니까. 다른 사람들은 잘 모르겠고, 내게 주어진 시간 동안…….” 플라톤전집을 기대하게 된 답변이다.
2019년 4월, 처음으로 선보이는 「에우튀프론」, 「에우튀데모스」, 「메넥세노스」가 포함된 7편의 대화편을 묶은 플라톤전집 2권과 함께 아직 번역되지 않은 플라톤 대화편과 플라톤이 직접 쓴 용어해설 편지글, 위작을 엮은 플라톤전집 7권을 동시에 펴냄으로써, 마침내 천병희의 플라톤전집 완간되기에 이른 것이다.

[어렵다는 철학서가 술술 읽히는 힘은 무엇일까?]
천병희의 대화편들은 무엇보다 잘 읽힌다는 점에서 독자의 사랑을 받고 있다. 철학 전공자의 번역처럼 깨알 같은 주석은 없지만 본문이 술술 읽힌다는 점을 누구나 인정한다. 플라톤의 대화편은 문학작품으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옮긴이가 문학 전공자인 점이 어렵다는 철학서를 술술 읽을 수 있게 하는 건 아닐까? 플라톤 대화편 말고도 『일리아스』 『오뒷세이아』를 비롯한 50여 편에 이르는 그리스로마의 고전들을 원전 번역한 내공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천병희의 대화편은 전공자들 또는 진지한 독자들의 전유물처럼 여기던 플라톤의 대화편을 일반 독자들도 읽게 만든다.
옛날 부자들의 재산 규모를 표현할 때, 그의 땅을 밟지 않고는 근동의 사람들이 자기 집에 갈 수 없었다는 식의 수사가 동원되었다. 고전과 지식의 영토이지만 서양 고전을 탐독하려는 독자라면 번역가 천병희를 거치지 않고는 자신의 집을 만들기 힘들게 되었달까, 이런 수사가 등장해도 무방할 듯하다.

[위작도 플라톤의 철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될 것]
"플라톤전집에서 위작까지 다 옮긴 것은 위작도 플라톤의 철학 체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천병희는 플라톤전집 서문에서 7권을, 굳이 위작(僞作) 논란에서 자유롭지 않은 것까지 번역해서 펴내는 이유를 이렇게 밝히고 있다.
플라톤전집 7권은 「알키비아데스」 I·II, 「힙피아스」 I·II, 「미노스」, 「에피노미스」, 「테아게스」, 「클레이토폰」, 「힙파르코스」, 「연인들」, 「서한집」, 「용어 해설」, 「위작들」을 수록하고 있다.
부제가 ‘사람의 본성에 관하여’인 「알키비아데스I」에서 소크라테스는 알키비아데스라는 장래가 유망한 젊은이를 상대로 질문을 던진다. 알키비아데스가 스스로 자신의 무지를 깨닫게 하는 과정인데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의 진미를 느낄 수 있다. 「알키비아데스II」의 부제는 '기도에 관하여'다. 옮긴이 서문에 따르면, 수록 작품 중 「알키비아데스II」, 「연인들」, 「악시오코스」, 「미덕에 관하여」, 「용어 해설」, 「데모도코스」, 「에뤽시아스」, 「정의에 관하여」, 「미노스」, 「시쉬포스」는 플라톤의 위작이라고 분류한다. 그러나 「힙피아스II」(아름다움에 관하여)은 아마도 플라톤이 쓴 것 같고, 「알키비아데스I」, 「에피노미스」(새벽회의 또는 철학자에 관하여), 「힙파르코스」(이득을 사랑하는 사람), 「힙피아스I」(아름다움에 관하여), 「클레이토폰」, 「테아게스」(지혜에 관하여)는 플라톤의 위작인 것 같다.
또한 편지들 중에서 여섯 번째~여덟 번째는 플라톤이 쓴 것 같고 두 번째, 세 번째는 위작인 것 같으며, 나머지는 위작이다. 여섯 번째 편지는 ‘플라톤이 헤르메이아스와 에라스토스와 코리스코스의 행운을 빌다’이다. 이들은 플라톤의 제자들이다. 일곱 번째 편지는 ‘플라톤이 디온의 친족과 동료의 행복을 빌다’이다. 플라톤이 쉬라쿠사이를 처음 방문한 기원전 388~387년에 디온은 20살쯤 되었다. 여덟 번째 편지도 일곱 번째 편지와 수신인이 같다.
위작들(Notheuomenoi)에 수록된 확실한 위작들은 「정의에 관하여」(Peri dikaiou), 「미덕에 관하여」(Peri aretes), 「데모도코스」(Demodokos), 「시쉬포스」(Sisyphos), 「에뤽시아스」(Eryxias), 「악시오코스」 (Axiochos)까지 모두 6편이다.

리뷰/한줄평7

리뷰

10.0 리뷰 총점

한줄평

10.0 한줄평 총점
선택한 상품
31,500
1 3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