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9년 06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456쪽 | 864g | 176*248*30mm |
ISBN13 | 9788992486286 |
ISBN10 | 8992486286 |
발행일 | 2019년 06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456쪽 | 864g | 176*248*30mm |
ISBN13 | 9788992486286 |
ISBN10 | 8992486286 |
서문 … 5 제1장 역사가 미개에서 문명으로 나아가다: 전설 시대, 하(夏), 상(商), 서주(西周) · 개천벽지(開天闢地)와 여와조인(女?造人) … 26 · 삼황(三皇)의 전설 … 31 · 염제(炎帝)와 황제(黃帝) … 36 · 요(堯)·순(舜)·우(禹)의 선양(禪讓) … 44 · 가천하(家天下)를 창건한 하 왕조 … 50 [전문 테마] 이리두(二里頭) 문화 유적과 하(夏) 문화 … 56 · 성탕(成湯)이 상(商)을 건립하다 … 61 · 반경(盤庚)의 은(殷)으로의 천도와 무정중흥(武丁中興) … 67 · 여걸 장군 부호(婦好) … 73 · 주왕(紂王)의 망국(亡國) … 79 · 작은 나라 주(周)의 굴기 … 83 · 무왕(武王)이 상(商)을 멸망시키다 …91 · 주공(周公)의 섭정 … 96 · 공화행정(共和行政) …102 · 견융(犬戎)이 주(周)를 멸망시키다 … 106 제2장 강호(强豪)들의 패권 다툼과 제자(諸子)들의 쟁명: 춘추전국(春秋戰國) · 춘추오패(春秋五覇) … 112 · 노자(老子)와 도가(道家) 철학 … 123 · 유학(儒學)의 종사(宗師) 공자(孔子) … 127 · 『시경(詩經)』 속의 세계 … 135 · 병성(兵聖) 손무(孫武) … 139 [전문 테마] 차전(車戰)과 전차(戰車) … 144 · 전국칠웅(戰國七雄)의 변법도강(變法圖强) … 150 · 확대되는 패권 다툼 전쟁: 계릉부터 장평까지 … 156 · 묵자(墨子)와 묵가(墨家) … 162 · 맹자(孟子)와 순자(荀子) … 167 · 한비(韓非)와 법가(法家) … 172 · 종횡(縱橫)의 책략이 천하를 움직이다 … 176 · 여불위(呂不韋)가 제왕을 매점하다 … 182 제3장 통일 다민족 국가의 성대한 기초를 다지다: 진(秦)·한(漢) · 진왕(秦王)이 천하를 평정하다 … 190 · 사구의 변[沙丘之變] … 199 · 대택향(大澤鄕)의 함성 … 206 · 초(楚)·한(漢)의 쟁투와 유방(劉邦)의 완승 … 213 [전문 테마] 먼지투성이 지하의 군단(軍團) … 222 · 여후(呂后)의 칭제(稱制: 섭정) … 228 · 문경의 치[文景之治] … 234 · 한 무제의 대일통(大一統) … 239 · 서역을 소통시키고, 사주지로를 열다 … 250 · 한나라와 흉노의 화친과 전쟁 … 257 · 왕망(王莽)의 탁고개제(托古改制) … 264 · 광무제(光武帝)의 득농망촉(得?望蜀) … 268 · 외척과 환관의 권력 농단 … 274 · 도처에서 황건(黃巾)이 일어나다 … 280 제4장 분열했다가 다시 합쳐지는 굴곡의 역정: 삼국(三國)·양진(兩晉)·남북조(南北朝) · 삼국이 정립(鼎立)하여 풍모와 재능을 겨루다 … 288 · 매우 짧았던 서진(西晉)의 통일 … 298 · 팔왕(八王)의 난과 서진의 와해 … 302 · 십육국의 분쟁과 동진의 편안(偏安) … 307 · 대치하는 동안에 교체되다: 북위의 굴기와 유송(劉宋)의 건립 … 316 · 송(宋)·제 (齊)·양(梁)·진(陳): 남조의 흥망성쇠 … 324 [전문 테마] 문벌사족(門閥士族)의 발생과 쇠락 … 334 · 양위(兩魏)의 병립에서부터 북주(北周)가 제(齊)를 멸망시키기까지 … 340 [전문 테마] 풍부하고 다채로운 북조의 석굴 예술 … 351 · 자각(自覺)해 간 삼국·양진·남북조의 문학 … 357 제5장 눈부신 태평성세와 영토가 분할되는 혼란한 난국: 수(隋)·당(唐)·오대(五代) · 양견(楊堅)이 수(隋)를 건립하고 새 정치를 확립하다 … 366 · 수 양제(煬帝), 2세(世)의 망국 … 372 · 정관의 치[貞觀之治] … 378 · 여황 무측천(武則天) … 386 · 개원성세(開元盛世) … 396 · 안사(安史)의 난 … 403 [전문 테마] 찬란한 당대의 서법(書法) … 409 · 시선(詩仙)과 시성(詩聖) … 415 · 번진(藩鎭)의 할거와 헌종(憲宗)의 삭번(削藩) … 420 · 우이당쟁(牛李黨爭) … 426 · 환관의 전횡과 감로(甘露)의 변(變) … 430 [전문 테마] 진기한 법문사(法門寺) 지궁(地宮) … 436 · 황소(黃巢)의 봉기 … 438 · 양(梁)·당(唐)·진(晉)·한(漢)·주(周), 혼란한 오대십국 … 4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