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개정2판을 내며 · 5
제2판 머리말 · 7 1장 고고학사 연구하기 · 17 고고학사를 보는 시각들·21 | 사회적 맥락·32 | 고고학 해석·41 | 도전·52 | 2장 고전고고학과 문헌고고학 · 55 고대 세계에서 과거에 대한 관심·56 | 중세 유럽에서 역사를 보는 시각·63 | 르네상스시대의 호고주의·67 | 고전고고학의 발달·74 | 이집트학과 아시리아학·80 | 기타 초기 고고학적 행위·86 | 결론·89 3장 호고주의와 고고학 · 91 북유럽의 호고주의·92 | 석기 인식·102 | 계몽주의·107 | 학문적 호고주의·115 | 호고주의와 낭만주의·119 | 신대륙: 17~18세기 인디언의 과거에 대한 인식·123 | 호고주의의 막다른 길·126 4장 선사고고학의 시작 · 129 상대편년과 톰센의 삼시대체계·130 | 스칸디나비아 고고학의 발달과 확산·136 | 인류의 기원과 서유럽의 선사고고학·144 | 구석기고고학의 성립·153 | 진화에 대한 반응·161 | 북아메리카의 고고학: 마운드빌더 논쟁·163 | 결론·169 5장 제국주의와 단선진화론 · 171 인종주의의 등장·172 | 존 러복의 종합·176 | 미국의 식민주의 고고학·181 | 오스트레일리아 선사고고학의 전개·192 | 뉴질랜드의 고고학·196 | 아프리카 인종주의 고고학의 전개·199 | 제국주의와 단선진화고고학의 유산·210 6장 문화사고고학 · 213 종족성에 대한 초기의 관심·214 | 전파론·218 | 몬텔리우스와 유럽 선사시대의 종합·224 | 고고학 문화의 개념·232 | 문화사고고학의 탄생: 구스타프 코시나·235 | 차일드와 『유럽 문명의 여명』·240 | 유럽 고고학과 민족주의·247 | 아시아의 민족주의 고고학·259 | 아프리카와 멕시코의 고고학·271 | 미국의 문화사고고학·274 | 기술 발전: 발굴법과 방법론의 성장·286 | 고고학 이론과 문화사고고학·297 | 결론·304 7장 초기 기능과정고고학 · 307 환경적 기능과정주의·308 | 사회인류학·312 | 차일드의 경제적 접근·315 | 소비에트 고고학·318 | 마르크스주의 고고학자로서의 차일드·334 | 그레이엄 클라크·342 | 미국의 초기 기능주의·349 | 연결적 접근: 월터 테일러·354 | 생태 및 취락 고고학·359 |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과 세계 고고학·367 | 결론·370 8장 과정주의와 탈과정주의 · 373 신진화론·374 | 초기의 신고고학·379 | 과정고고학의 발전·393 | 과정고고학의 분화·403 | 탈과정고고학의 등장과 전개·426 | 탈과정고고학의 다양한 접근·437 | 대륙 유럽의 대안들·457 | 인류학 이론과 고고학·459 9장 실용적 종합 · 463 경쟁하는 접근들·464 | 이론적 수렴·475 | 중범위적 이론·485 | 상위이론·495 10장 고고학의 의의 · 505 상대주의의 도전·505 | 고고학의 발달·508 | 고고학과 다른 사회과학의 관계·513 | 주관성에 맞서·515 참고문헌을 위한 글 · 523 참고문헌 · 558 옮긴이 풀어쓰기 · 612 옮긴이의 말 · 624 찾아보기 · 626 |
저브루스 트리거
관심작가 알림신청역성춘택
관심작가 알림신청성춘택의 다른 상품
고고학 이론과 방법론의 역사를 폭넓고 균형 잡힌 시각으로 논의한 책이다. 고고학의 역사는 새롭고 놀라운 자료의 등장보다는 학문하는 관행적 자세와 방법, 곧 자료를 인식하고 분류하고 해석하는 기존의 방식에 도전하고 새로운 이론과 방법론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전개되어 왔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이 책은 고고학사 연구를 독립된 고고학의 분과로 발전시켰다는 평을 받을 만큼 학계에 미친 영향이 크다.
『고고학사』는 공간적으로는 서유럽과 북아메리카, 북유럽, 러시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그리고 아시아까지 전 세계 고고학의 역사와 현재의 다양한 모습을 논의하고 있다. 시간적으로도 고대와 중세의 고고학적인 관심과 행위에서 시작하여 근대 학문으로서 고고학의 성립과 발전, 20세기 중후반의 경향, 그리고 2000년대 이후의 최신 흐름까지를 망라하고 있다. 독자들은 이 책을 읽음으로써 고고학 이론과 방법론의 역사와 함께 최근의 경향까지 섭렵할 수 있다. 브루스 트리거는 1989년 고고학의 역사를 본격적으로 다룬 저서 A History of Archaeological Thought를 처음 출간했고, 17년 후인 2006년 거의 새로운 저술이라 할 만큼 내용을 대폭 수정한 제2판을 펴냈다. 우리나라에서는 초판의 번역본인 『고고학사』(학연문화사)가 2002년 출간되었다. 그 후 2010년 제2판의 번역본 『브루스 트리거의 고고학사』(사회평론)가 발행되었다. 이 책은 계약 기간의 만료로 몇 년 전 절판되었는네, 일정한 수요와 고고학계의 재출간 요구에 따라 사회평론아카데미가 이번에 개정2판 『고고학사』를 펴내게 된 것이다. 다시 책을 내면서 내용의 잘못을 바로잡고 문장도 가다듬었으며, 표지도 수정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