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개정판 서문
초판 서문 제I부 무엇이 질적연구방법인가? 제1장 왜 질적연구방법인가? 1. 일상생활과 수치 그리고 그 무엇 2.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3. 질적연구방법이란? 4. 질적연구방법은 대안적 연구방법인가? 5. 책의 구성 제2장 현지조사와 문화기술지 1. 현지조사의 특성 2. 현지조사의 여러 연구 기술들 3. 해석적 연구로서의 현지조사 4. 현지조사에 영향을 주는 세 가지 요소 5. 현지조사를 준비하며 6. 문화의 경계 넘기 제II부 질적연구는 어떻게 하는가? 제3장 참여관찰 1. 현지에 들어가기 2. 참여관찰의 목적 3. 참여관찰의 효용성 4. 참여관찰 선정 기준 5. 참여관찰의 기술 제4장 연구자와 제보자 1. 라포 2. 제보자 선정 제5장 연구자의 정체성 1. 연구자의 정체성 I: 인종, 민족, 계급 2. 연구자의 정체성에 대한 자기성찰 II: 젠더 제6장 현지조사의 역사적 맥락 1. 식민주의 인류학 2. 인류학과 역사적 맥락 3. 현지조사에서 역사적 맥락 잡기 제7장 인터뷰 1. 인터뷰의 역사 2. 인터뷰의 종류 3. 인터뷰의 성격 4. 인터뷰 진행 5. 미래의 인터뷰 제8장 초점집단인터뷰 1. 초점집단인터뷰란? 2. 초점집단인터뷰의 성격 3. 초점집단인터뷰의 장·단점 4. 초점집단연구의 다양한 적용 5. 초점집단인터뷰의 실행 제9장 생애사 1. 인간의 생애에 관한 연구 유형 2. 생애사 연구의 역사 3. 생애사 4. 구술생애사 인터뷰를 어떻게 하는가? 제10장 윤리적 문제들 1. 연구 참여자의 동의 2. 사생활 존중 3. 현지민의 신원 보호 4. 기타 윤리적 문제들 제11장 문화기술지적 자료 정리 1. 문화기술지적 자료란? 2. 문화기술지적 자료의 종류와 정리 제12장 해석, 글쓰기 그리고 평가 1. 질적 자료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2. 문화기술지 쓰기 3. 질적연구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제III부 질적연구의 새 지평 제13장 글로컬 문화 연구 1. 전지구화 속의 문화 연구 2. 글로컨 문화 연구방법 모색 3. 글로컨 문화 연구 사례들 4. 탈식민 시대 글로컬 문화 연구에서 자기 성찰 제14장 사이버 문화 1. 정보사회와 사이버 문화 2. 사이버 문화에 대한 인류학적 논의들 3. 사이버 문화를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4. 사이버 문화기술지 제15장 참여와 실천 1. 응용인류학과 참여, 실천 2. 개발사업과 인류학적 참여 3. 교육인류학과 대안교육 4. 질적연구방법과 여성의 권력화 5. 실천으로서의 구술사 6. 참여와 변혁을 향한 문화기술지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