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0년 01월 03일 |
---|---|
쪽수, 무게, 크기 | 328쪽 | 152*225*30mm |
ISBN13 | 9791185614069 |
ISBN10 | 1185614060 |
출간일 | 2020년 01월 03일 |
---|---|
쪽수, 무게, 크기 | 328쪽 | 152*225*30mm |
ISBN13 | 9791185614069 |
ISBN10 | 1185614060 |
『사지통속고(史誌通俗攷)』 ― 1923년 상해 임시정부에서 펴낸 독립운동가 정윤의 한국고대사 『사지통속고(史誌通俗攷)』는 독립운동가 일우(一雨) 정윤(鄭潤, 1898~1931)의 저서이다. 이 책은 1923년 중국 상해 삼일인서관(三一印書館)에서 출간되었으며, 상해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지낸 조완구(趙琬九, 1881~1952)가 교열(校閱)을 보았고, 상해임정 제2대 대통령을 지낸 국학자인 백암(白巖) 박은식(朴殷植, 1859~1925)이 서문(序文)을 썼다. 『사지통속고』란 역사를 세상에 널리 통하도록 연구한다는 뜻으로, 실제로 저자는 우리 역사가 시작한 이래 씌어진 중국과 한국의 온갖 역사서들과 풍속, 문화, 지리서 등 총 66종의 전문서들을 연구하여, 앞선 역사가들이 밝힌 바 없는 우리 민족의 나라 이름 33개, 임금 이름과 사람 이름 27개, 산 이름과 강 이름 26개의 어원(語源)과 역사, 문화, 풍속의 근거들을 처음으로 이 세상에 제시하였다. 기존 역사서와 달리 저자는 고유한 우리말의 기원에 주목하여, 우리와 인종적 갈래가 동일한 몽골족과 만주족의 언어인 몽골어와 만주어, 옥저어(沃沮語), 고구려 방언, 및 한국어의 비교연구 또한 깊이 있게 진행하여 이들 여러 언어와의 역사·문화·지리적 공감 요소들을 많이 발견해 내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런 점들로 볼 때, 이 책은 우리 국학사에 길이 남을 불후(不朽)의 가치를 지닌다 할 것이다. |
[우리국학총서를 펴내며] 『사지통속고(史誌通俗攷)』 해제 『사지통속고(史誌通俗攷)』 서문 1 『사지통속고(史誌通俗攷)』 서문 2 『사지통속고(史誌通俗攷)』 저자 서언(?言) 제1편 나라이름(국호國號) 1. 한나라(단국檀國 또는 한국韓國) 부(附) - 검터(왕검성王儉城) 2. 부위나라(扶餘國) 부(附) - 부위의 닷섭울(부여오경, 扶餘五京) 부(附) - 부위의 닷자란(扶餘五加) 3. 위(濊)의 쉬나라(徐國) 비고(備考: 참고 사항) 4. 수위나라(胥餘國) 비고(備考) 5. 마한(남한南韓 또는 馬韓) 6. 신한(동한東韓 또는 신한辰韓) 7. 가한(분한分韓 또는 변한弁韓) 부(附) - 세한의 테울(삼한범위三韓範圍) 8. 고리나라(고리稿離 또는 고려高麗) 부(附) - 구리(句麗)의 한섭울(환도성丸都城) 9. 새나라(新羅) 부(附) - 지린나라(?林國) 10. 뻬지나라(백제국百濟國) 부(附) - ‘뻬지’의 땅이름: 백제 지명(百濟地名) 부(附) - 뻬지의 두겁섭울: 백제이왕경(百濟二王京) 부(附) - 뻬지의 닷갈피(百濟五方) 11. 주신나라(숙신국肅愼國) 12. 워지나라(옥저국沃沮國) 부(附) - ‘워지’의 사람이름: 옥저인명(沃沮人名) 13. 이뤼나라(읍루국?婁國) 14. 한울나라(대진국大震國) 부(附) - 한울나라 닷섭울(대진국오경大震國五京) 15. 치딴(契丹: 요遼) 부(附) - 요오경(遼五京) 16. 검나라(金國) 부(附) - 검나라 닷섭울: 금국오경(金國五京) 17. 멍우(몽올蒙兀 또는 몽골蒙古) 18. 센삐(鮮卑) 19. 만주(滿洲) 20. 섬나라(島國) - 제주도 21. 모다말(총론總論) 제2편 임검이름(王號)과 사람이름(人名) 1. 한검(단군檀君 또는 환검桓儉) 부(附) - ‘한검’의 뒷임검: 환검후제왕(桓儉後帝王) 부(附) - 한검수두(천신교당天神敎堂) 부(附) - 수수(경배敬拜) 부(附) - 배: 포(布), 복(腹), 리(梨), 주(舟) 2. 커한(대왕大王) 3. 퍽거세(赫居世) 4. 줘린멍(주몽朱蒙) 5. 해뫼쉬(解慕漱) 6. 마리한(수왕首王 또는 마립간麻立干) 7. 임검(이사금尼師今) 8. 얼굿다(아골타阿骨打) 9. 얼지(乙支) 10. 어바지(아보기阿保機) 부(附): 어(阿) 11. 뻬리(패륵貝勒) 12. 후뻬리(홀필열忽必烈) 13. 커수원(개소문蓋蘇文) 14. 눌하치(노아합적奴兒哈赤) 부(附) - 말차지(典馬官) 부(附) - 어룬(존장尊長) 15. 애신쑈뤄(애신각라愛新覺羅) 16. 나반(那般)과 아만(阿曼) 제3편 뫼물(산수山水) 1. 희마리뫼(백두산白頭山) 부(附): 한울땅 그림(진단도震檀圖 또는 천지도天地圖) 2. 푸룬 뫼(청구靑邱) 3. 둥무뫼(동모산東牟山) 4. 마리뫼(마니산麻尼山) 5. 새고개(조령鳥嶺) 6. 한낫뫼(한라산漢拏山) 7. 쑹아리물(송화강松花江) 부(附): 투먼물갈래(도문강변圖們江辨) 부(附): 회령고(會寧考) 8. 압누에물(압록강鴨綠江) 부(附): 요하변(遼河辨) 9. 누에물(눈강嫩江) 10. 한물(한강漢江) 11. 얼물(신수神水) 부(附): 검물(神水) 12. 어리추커(人耳河) 13. 한울못(뇌택雷澤 또는 천지天池) 14. 배물(패수浿水) 15. 뒤막가람(두만강豆滿江) 부(附): 쏘하리(소합리蕭哈里) 16. 시큰늡(흥개호興凱湖) 부(附): 불해산성(山城) 17. 뫼냥물(목릉하穆陵河) 18. 예물(濊水) 19. 후한물(忽汗河) 부(附): 엇곳탑(영고탑寧古塔 또는 육처탑六處塔) 20. 뻬지바다(백제해百濟海 또는 발해渤海) 부록 부록 1. 한족(桓族)은 한족(桓族)끼리 살아야 부록 2. 대서국(大徐國) 옛터에서 부록 3. 『사지통속고(史誌通俗攷)』에 인용된 사서(史書)와 전적(典籍)들 부록 4. 정윤(鄭潤) 선생 연보(年譜) 부록 5. 『사지통속고(史誌通俗攷)』의 내용상 특색 요약 찾아보기 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