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한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학 개론
베스트
사범대 계열 top100 3주
가격
22,000
22,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머리말 4

1부 한국어학과 한국의 언어문화

1강 한국어교육학과 한국어학 12
1 한국어의 위상 12
2 문법의 역할과 쟁점 16
3 언어학과 언어 능력 28

2강 한국어의 계통과 유형적 특징 39
1 한국어의 계통과 분포 39
2 한국어의 유형적 특징 50

3강 한글과 언어문화 67
1 한국어의 문자 67
2 한국어의 언어문화 81

2부 한국어의 문장과 담화 표현

4강 한국어 문장의 성분과 구조 104
1 문장의 성분 104
2 문장의 구조 119

5강 한국어 문장의 종결과 종류 124
1 문장의 종결 124
2 문장의 종류 128

6강 한국어 문장의 확대 141
1 문장의 접속 143
2 문장의 내포 148

7강 한국어의 시간 표현 160
1 시제의 개념과 특징 160
2 시제 표현과 상 표현 164

8강 한국어의 양태 표현 177
1 양태의 개념과 특징 177
2 양태 표현 181

9강 한국어의 피동 표현과 사동 표현 189
1 피동 표현 189
2 사동 표현 198

10강 한국어의 부정 표현 205
1 부정의 개념 205
2 부정의 종류 208

11강 한국어의 높임 표현 216
1 높임 표현의 개념과 종류 216
2 높임 표현의 실현 방법과 등급 218
3 높임 표현의 사용 조건 231

3부 한국어의 단어, 말소리, 말뭉치

12강 한국어의 형태와 단어 형성 240
1 단어 분석의 단위 240
2 형태소 243
3 단어 251

13강 한국어 단어의 분류 264
1 단어의 분류 기준 264
2 품사의 종류 267

14강 한국어의 말소리 293
1 말소리의 이해 293
2 음운과 음절 298
3 음운 현상 311

15강 한국어 정보화와 말뭉치 334
1 말뭉치의 개념과 말뭉치 언어학 334
2 말뭉치의 활용 339

참고문헌 348
찾아보기 355

저자 소개14

閔賢植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림 강릉대학교 교수,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국립국어연구원 어문규범연구부장으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미래를 여는 국어교육사 1(서울대출판부, 2007.12.30)』,『국어교육 100년사 II(서울대출판부, 2006.08.10)』,『국어교육 100년사 I(서울대출판부, 2006.08.10)』,『신문의 언어문화와 미디어 교육(서울대출판부, 2003.12.20)』,『국어교육을 위한 응용국어학 연구(서울대출판부, 2001.03.30)』,『국어정서법연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림 강릉대학교 교수,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국립국어연구원 어문규범연구부장으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미래를 여는 국어교육사 1(서울대출판부, 2007.12.30)』,『국어교육 100년사 II(서울대출판부, 2006.08.10)』,『국어교육 100년사 I(서울대출판부, 2006.08.10)』,『신문의 언어문화와 미디어 교육(서울대출판부, 2003.12.20)』,『국어교육을 위한 응용국어학 연구(서울대출판부, 2001.03.30)』,『국어정서법연구(태학사)』,『국어문법연구(역락출판사) 2000년 문화부 우수추천도서』,『국어문법의 이해(공저 개문사)』,『글을 어떻게 쓸 것인가(공저 경문사)』,『무슨 말을 어떻게 할 것인가(공저 숙대 츨판부)』,『중세 국어 강독(편저)』외 다수가 있다.

민현식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및 국어교육연구소 겸무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 『15세기 국어 파생법에 대한 연구』(1998), 『어휘 교육론』(2014, 공저), 『한국어 문법 총론 I』(2015, 공저), 『한국어 문법 총론 II』(2016, 공저), 『개정판 우리말 문법론』(2018, 공저), 『한국어학개론』(2020, 공저) 등이 있다.

구본관의 다른 상품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습득 양상 연구 I·II·III」(2010, 2010, 2011), 「한국어 수업 담화 분석을 통한 교사의 문법 용어 사용 사례 연구」(2011),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변이 양상 연구」(2013), 「한국어 교재 평가 항목의 설정을 둘러싼 개념과 원리 고찰」(2013)

김호정의 다른 상품

일본 독협대학 언어문화학과 교수
몽골 국립대학교 아시아학과 교수
중국 북경대학교 한국어학과 졸업. 중국 북경대학교 한국어학과 문학석사. 한국 성루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육학박사. 현재 중국 북경대학교 한국어학과 부교수.

왕단의 다른 상품

한국체육대학교 교양교직과정부 교수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접속문 시간 표현의 교육 내용 조직화 원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한국어교육 영역에서 문법 습득, 교재사와 교재 평가, 교육과정 관련 연구와 교육을 해 왔다. 『한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학 개론』 등의 책과 『초등 징검다리 교과서』, 『온라인 세종학당 사이버 한국어 초급』 등 여러 교재의 집필에 참여하였으며,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습득 연구’ 등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여러 유관 학술 단체의 임원을 맡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일어나고 있는 학교 안의 언어 다양성과 언어 자원을 미래 한국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접속문 시간 표현의 교육 내용 조직화 원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한국어교육 영역에서 문법 습득, 교재사와 교재 평가, 교육과정 관련 연구와 교육을 해 왔다. 『한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학 개론』 등의 책과 『초등 징검다리 교과서』, 『온라인 세종학당 사이버 한국어 초급』 등 여러 교재의 집필에 참여하였으며,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습득 연구’ 등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여러 유관 학술 단체의 임원을 맡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일어나고 있는 학교 안의 언어 다양성과 언어 자원을 미래 한국 사회의 긍정적인 힘으로 만들 수 있는 교사의 역량을 키우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강남욱의 다른 상품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강사 / 서울대학교 교육학박사 / 현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강사

신필여의 다른 상품

국립국어원 학예연구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강사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강사
한남대학교 탈메이지교양교육대학 강사
한성대학교 언어교육센터 강사

품목정보

발행일
2020년 03월 09일
쪽수, 무게, 크기
364쪽 | 616g | 165*235*30mm
ISBN13
9791189946470

출판사 리뷰

예비 한국어 교사의 눈높이에 맞춘 한국어학 개론서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학은 한국어 학습자가 언어를 습득하는 현장을 중심으로 새롭게 재해석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국어학의 체계와 위계를 짚고 따라가는 동시에, 한국어 문법에 관한 내용을 교육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실제적으로 접근하였다.
한국어교육의 목적은 학습자들이 한국어로 자신의 의사를 원활하게 표현하고 상황에 따라 적절한 담화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현장에서 가르치는 문법교육의 단위 역시 구어를 중심으로 한 표현 덩어리가 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으)ㄹ 수 있다’와 같은 형태를 문법 지식으로만 설명하려고 하면 복잡하고 한계가 있다. ‘도/마저/조차/까지/역시’와 같이 유사한 의미를 가진 단어들 중에 무엇을 선택하는 것이 적절한지도 문법적 설명만으로는 쉽게 학습되지 않는다. 그렇기에 한국어교육 현장에서는 문법을 지식이나 규칙으로 가르치기보다 구체적인 맥락에서 사용되는 문장을 단위로 하여 점진적으로 학습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한국어교육의 현장성을 살려 이 책에서도 문법 교육의 내용을 문장 단위부터 제시하였다.

한국어학의 방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다
한국어문법, 한국어학, 한국어교육학 등으로 아우를 수 있는 내용의 범위는 방대하다. 이 책은 교육 현장의 실제적인 요구를 반영하면서도 한국어학을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총 3개의 부로 구성하였다. 1부에서는 살아 있는 한국어의 모습을 포착하고 한국어의 언어문화를 두루 언급한다. 한국어 문법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기 전에 한국어의 특징과 속성을 알아봄으로써 문법에 대한 얼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뒤이어 3부에서는 문장의 구조와 성분, 문장의 종결과 확대를 다루고, 이렇게 문장으로 실현되는 시간 표현, 양태 표현, 피동 표현, 사동 표현, 부정 표현, 높임 표현 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3부에서는 단어와 형태, 음절과 음운 현상을 설명하였으며 한국어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말뭉치 언어학 연구를 소개하였다.

개론부터 심화와 적용까지, 한 학기 강의에 적합한 구성
이 책은 대학에서 한 학기 수업 교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15개의 강(講)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법이 실제 언어생활에 밀착되어 있는 만큼 다양한 예시 문장을 제시하면서 학습자가 알아야 할 내용을 쉽게 설명하였다. 이 중 이론적으로 어려운 내용들은 본문의 흐름에 따라 하단에 별면으로 정리하여 심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적용하기’를 두어 본문의 설명과 관련해 실제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마주할 만한 내용을 사례 중심으로 안내하였다. 그리고 각 강의 마지막에는 ‘생각해 봅시다’를 마련하여 내용의 이해 수준을 확인하거나 확장하도록 하고, 수업 중에 시도해 볼 수 있는 활동과 토론거리를 제시하였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2,000
1 2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