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0년 06월 12일 |
---|---|
쪽수, 무게, 크기 | 440쪽 | 1046g | 188*240*23mm |
ISBN13 | 9788931556742 |
ISBN10 | 8931556748 |
발행일 | 2020년 06월 12일 |
---|---|
쪽수, 무게, 크기 | 440쪽 | 1046g | 188*240*23mm |
ISBN13 | 9788931556742 |
ISBN10 | 8931556748 |
Chapter 01. 웹 브라우저가 메시지를 만든다 - 웹 브라우저의 내부 탐험 Story 01. HTTP 리퀘스트 메시지를 작성한다 ① 탐험 여행은 URL 입력부터 시작한다 ② 브라우저는 먼저 URL을 해독한다 ③ 파일명을 생략한 경우 ④ HTTP의 기본 개념 ⑤ HTTP 리퀘스트 메시지를 만든다 ⑥ 리퀘스트 메시지를 보내면 응답이 되돌아온다 Story 02. 웹 서버의 IP 주소를 DNS 서버에 조회한다 ① IP 주소의 기본 ② 도메인명과 IP 주소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이유 ③ Socket 라이브러리가 IP 주소를 찾는 기능을 제공한다 ④ 리졸버를 이용하여 DNS 서버를 조회한다 ⑤ 리졸버 내부의 작동 Story 03. 전 세계의 DNS 서버가 연대한다 ① DNS 서버의 기본 동작 ② 도메인의 계층 ③ 담당 DNS 서버를 찾아 IP 주소를 가져온다 ④ DNS 서버는 캐시 기능으로 빠르게 회답할 수 있다 Story 04. 프로토콜 스택에 메시지 송신을 의뢰한다 ① 데이터 송·수신 동작의 개요 ② 소켓의 작성 단계 ③ 파이프를 연결하는 접속 단계 ④ 메시지를 주고받는 송·수신 단계 ⑤ 연결 끊기 단계에서 송·수신이 종료된다 〈확인퀴즈〉 |COLUMN| [사실은 어렵지 않은 네트워크 용어] - 쾌걸 리졸버 Chapter 02. TCP/IP의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만들어 보낸다 - 프로토콜 스택과 LAN 어댑터의 탐험 Story 01. 소켓을 작성한다 ① 프로토콜 스택의 내부 구성 ② 소켓의 실체는 통신 제어용 제어 정보 ③ Socket을 호출했을 때의 동작 Story 02. 서버에 접속한다 ① 접속의 의미 ② 맨 앞부분에 제어 정보를 기록한 헤더를 배치한다 ③ 접속 동작의 실제 Story 03.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① 프로토콜 스택에 HTTP 리퀘스트 메시지를 넘긴다 ② 데이터가 클 때는 분할하여 보낸다 ③ ACK 번호를 사용하여 패킷이 도착했는지 확인한다 ④ 패킷 평균 왕복 시간으로 ACK 번호의 대기 시간을 조정한다 ⑤ 윈도우 제어 방식으로 ACK 번호를 관리한다 ⑥ ACK 번호와 윈도우를 합승한다 ⑦ HTT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Story 04. 서버에서 연결을 끊어 소켓을 말소한다 ① 데이터 보내기를 완료했을 때 연결을 끊는다 ② 소켓을 말소한다 ③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정리한다 Story 05. IP와 이더넷의 패킷 송·수신 동작 ① 패킷의 기본 ② 패킷 송·수신 동작의 개요 ③ 수신처 IP 주소를 기록한 IP 헤더를 만든다 ④ 이더넷용 MAC 헤더를 만든다 ⑤ ARP로 수신처 라우터의 MAC 주소를 조사한다 ⑥ 이더넷의 기본 ⑦ IP 패킷을 전기나 빛의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⑧ 패킷에 3개의 제어용 데이터를 추가한다 ⑨ 허브를 향해 패킷을 송신한다 Story 06. UDP 프로토콜을 이용한 송·수신 동작 ① 수정 송신이 필요없는 데이터의 송신은 UDP가 효율적이다 ② 제어용 짧은 데이터 ③ 음성 및 동영상 데이터 〈확인퀴즈〉 |COLUMN| [사실은 어렵지 않은 네트워크 용어] - 소켓에 나사를 돌려 끼우는 것은 전구인가요, 프로그램인가요· Chapter 03. 케이블의 앞은 LAN 기기였다 - 허브와 스위치, 라우터의 탐험 Story 01. 케이블과 리피터, 허브 속을 신호가 흘러간다 ① 하나하나의 패킷이 독립된 것으로 동작한다 ② LAN 케이블은 신호를 약화시키지 않는 것이 핵심이다 ③ '꼼'은 잡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다 ④ 리피터 허브는 연결되어 있는 전체 케이블에 신호를 송신한다 Story 02. 스위칭 허브의 패킷 중계 동작 ① 스위칭 허브는 주소 테이블로 중계한다 ② MAC 주소 테이블을 등록 및 갱신한다 ③ 예외적인 동작 ④ 전이중 모드에서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실행한다 ⑤ 최적의 전송 속도로 보내는 자동 조정 ⑥ 스위칭 허브는 복수의 중계 동작을 동시에 실행한다 Story 03. 라우터의 패킷 중계 동작 ① 라우터의 기본 ② 경로표에 등록된 정보 ③ 라우터의 패킷 수신 동작 ④ 경로표를 검색하여 출력 포트를 발견한다 ⑤ 해당하는 경로가 없는 경우에 선택하는 기본 경로 ⑥ 패킷은 유효 기한이 있다 ⑦ 큰 패킷은 조각 나누기 기능으로 분할한다 ⑧ 라우터의 송신 동작은 컴퓨터와 같다 ⑨ 라우터와 스위칭 허브의 관계 Story 04. 라우터의 부가 기능 ① 주소 변환으로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이용한다 ② 주소 변환의 기본 동작 ③ 포트 번호를 바꿔쓰는 이유 ④ 인터넷에서 회사로 액세스한다 ⑤ 라우터의 패킷 필터링 기능 〈확인퀴즈〉 |COLUMN| [사실은 어렵지 않은 네트워크 용어] 허브와 라우터 - 이름을 바꾸면 가격도 변할까요· Chapter 04. 액세스 회선을 통해 인터넷의 내부로! - 액세스 회선과 프로바이더의 탐험 Story 01. ADSL 기술을 이용한 액세스 회선의 구조와 동작 ① 인터넷의 기본은 가정이나 회사의 LAN과 같다 ② 사용자와 인터넷을 연결하는 액세스 회선 ③ ADSL 모델에서 패킷을 셀로 분할한다 ④ ADSL은 변조 방식으로 셀을 신호화한다 ⑤ ADSL은 파를 많이 사용하여 고속화를 실현한다 ⑥ 스플리터의 역할 ⑦ 전화국까지의 여정 ⑧ 잡음의 영향 ⑨ DSLAM을 통과하여 BAS에 도달한다 Story 02. 광섬유를 이용한 액세스 회선(FTTH) ① 광섬유의 기본 ② 싱글모드와 멀티모드의 차이 ③ 광섬유를 분기시켜서 비용을 절감한다 Story 03. 액세스 회선으로 이용하는 PPP와 터널링 ① 본인 확인과 설정 정보를 통지한다 ② 이더넷에서 PPP 메시지를 주고받는 PPPoE ③ 터널링 기능에 의해 프로바이더에 패킷을 전달한다 ④ 액세스 회선 전체의 동작 ⑤ IP 어드레스를 할당하지 않는 언넘버드 ⑥ 인터넷 접속용 라우터에서 프라이비트 주소를 글로벌 주소로 변환한다 ⑦ PPPoE 이외의 방식 Story 04. 프로바이더의 내부 ① POP와 NOC ② 건물 밖은 통신 회선 등으로 접속한다 Story 05. 프로바이더를 경유하여 흐르는 패킷 ① 프로바이더끼리의 접속 ② 프로바이더끼리 경로 정보 교환하기 ③ 사내 네트워크에서 자동 등록하기 ④ IX의 필요성 ⑤ IX에서 프로바이더끼리 접속하는 모습 〈확인퀴즈〉 |COLUMN| [사실은 어렵지 않은 네트워크 용어] - 이름은 서버, 본질은 라우터 Chapter 05. 서버측의 LAN에는 무엇이 있는가· - 방화벽과 캐시 서버의 탐험Story 01. 웹 서버의 설치 장소 ① 사내에 웹 서버를 설치하는 경우 ② 데이터센터에 웹 서버를 설치하는 경우 Story 02. 방화벽의 원리와 동작 ① 패킷 필터링형이 주류이다 ② 패킷 필터링의 조건 설정 개념 ③ 애플리케이션을 한정할 때 포트 번호를 사용한다 ④ 컨트롤 비트로 접속 방향을 판단한다 ⑤ 사내 LAN에서 공개 서버용 LAN으로 조건을 설정한다 ⑥ 밖에서 사내 LAN으로 액세스할 수 없다 ⑦ 방화벽을 통과한다 ⑧ 방화벽으로 막을 수 없는 공격 Story 03. 복수 서버에 리퀘스트를 분배한 서버의 부하 분산 ① 처리 능력이 부족하면 복수 서버로 부하 분산된다 ② 부하 분산 장치를 이용해 복수의 웹 서버로 분할된다 Story 04. 캐시 서버를 이용한 서버의 부하 분산 ① 캐시 서버의 이용 ② 캐시 서버는 갱신일로 콘텐츠를 관리한다 ③ 프록시의 원점은 포워드 프록시이다 ④ 포워드 프록시를 개량한 리버스 프록시 ⑤ 트랜스페어런트 프록시 Story 05. 콘텐츠 배포 서비스 ① 콘텐츠 배포 서비스를 이용한 부하 분산 ② 가장 가까운 캐시 서버의 관점 ③ 리피터용 서버로 액세스 대상을 분배한다 ④ 캐시 내용의 갱신 방법에서 성능의 차이가 난다 〈확인퀴즈〉 |COLUMN| [사실은 어렵지 않은 네트워크 용어] - 통신 회선이 LAN이 되는 날 Chapter 06. 웹 서버에 도착하여 응답 데이터가 웹 브라우저로 돌아간다 - 불과 몇 초인 '긴 여행'의 끝 Story 01. 서버의 개요 ①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차이점 ② 서버 애플리케이션의 구조 ③ 서버측의 소켓과 포트 번호 Story 02. 서버의 수신 동작 ① LAN 어댑터에서 수신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② IP 담당 부분의 수신 동작 ③ TCP 담당 부분이 접속 패킷을 수신했을 때의 동작 ④ TCP 담당 부분이 데이터 패킷을 수신했을 때의 동작 ⑤ TCP 담당 부분의 연결 끊기 동작 Story 03. 웹 서버 소프트웨어가 리퀘스트 메시지의 의미를 해석하여 요구에 응한다 ① 조회의 URI를 실제 파일명으로 변환한다 ② CGI 프로그램을 작동하는 경우 ③ 웹 서버로 수행하는 액세스 제어 ④ 응답 메시지를 되돌려 보낸다 Story 04. 브라우저가 응답 메시지를 받아 화면에 표시한다 ① 응답 데이터의 형식을 보고 본질을 판단한다 ② 브라우저 화면에 웹 페이지를 표시하여 액세스를 완료한다 〈확인퀴즈〉 |COLUMN| [사실은 어렵지 않은 네트워크 용어] - 게이트웨이는 다른 세계로 통하는 입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