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소득공제 EPUB
교사 교육과정을 디자인하다
eBook

교사 교육과정을 디자인하다

[ EPUB ]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 판매지수 108
정가
10,500
판매가
10,500(종이책 정가 대비 42% 할인)
구매 시 참고사항
  • 2020.4.1 이후 구매 도서 크레마터치에서 이용 불가
{ Html.RenderPartial("Sections/BaseInfoSection/DeliveryInfo", Model); }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20년 06월 25일
이용안내 ?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PC(Mac)
파일/용량 EPUB(DRM) | 72.14MB ?
ISBN13 9791163460909

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프롤로그</br>교육과정 개발, ‘집밥’과 같지 않을까?</br></br><b>1장. 교사 교육과정 (Teachers’ curriculum)</b></br></br> 1. 교사 교육과정의 개념</br> 2. 교사 교육과정의 필요성</br> * 나의 교사 교육과정에 나를 담고 싶다!</br></br><b>2장. 교사 교육과정의 오해와 진실</b></br></br> 1. 학급 교육과정과 뭐가 다른가요?</br> 2. 교사, 혼자서/마음대로 만들면 되나요?</br> 3. 중등은 이미 교사 교육과정이다?</br> * 우리는 왜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에서 ‘교사’를 배제하였는가?</br></br><b>3장. 교육과정 이해하기</b></br></br> 1.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br> 2. 역량을 기반한 국가 교육과정이란?</br> 3. 교육과정 대강화와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br> 4. 성취기준 해석하기</br> 5. 교육과정 통합 유형</br> 6. 교사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br> 7. 과정 중심 평가를 위한 교사 교육과정</br> 8. 교사 교육 철학 가지기</br> * 전문직으로서의 교사, 교육과정 전문가로 거듭나기!</br></br><b>4장. Step by step 교사 교육과정</b></br></br> 1. 교사 교육과정 개발 준비하기</br> 2. 교육과정 계획하기</br> 3. 수업 만들기</br> 4. 교사 교육과정 실천 및 피드백</br> * Fisher & Frey(2008): 학생 주도? vs 교사 주도?</br></br><b>5장. 교사 교육과정 실행의 예</b></br></br> 1. 교육과정 계획하기</br> 2. 교사 교육과정 실행 사례 - 학교 공통 주제형</br> 3. 교사 교육과정 실행 사례 - 주제별 통합형</br> 4. 교사 교육과정 실행 사례 - 학교 교육과정 연계형</br> 5. 교사 교육과정 실행 사례 - 진로 선택 과목형</br> 6. 교사 교육과정 실행 사례 - 초등 전담 교사형</br> 7. 동 학년과 함께하는 교육과정, 이런 방법은 어떨까요?</br> * 벽 속의 구멍 프로젝트: 학생의 자기 주도성</br></br><b>6장. 교사 교육과정: 해외 사례</b></br></br> 1. 뉴질랜드: 역량 기반 교육과정</br> 2. 캐나다: 모두를 위한 교육</br> 3. 일본: 앎과 삶의 교육과정</br> 4. 싱가포르: 공동체성을 기반으로</br> * 미래의 학교: 새로운 고등교육 모델, 미네르바 스쿨</br></br><b>7장. 시끌벅적 교육과정: 교육과정 이슈들</b></br></br> 1. ‘국가 교육과정’은 없어져야 할까요?</br> 2. 핵심 개념, Less is more? </br> 3. 창체가 ‘시체’가 된 사연!</br> 4. 성취기준을 모두 평가해야 하나요?</br> 5. ‘학생의 의견을 반영한다’는 것의 의미</br> 6. ‘교육과정을 지원한다는 것’의 의미</br> 7. 초등학교 주요 교과서: 2022년부터 검정 체제 전환</br> 8. 현행 ‘교육과정 진도표’의 문제점</br></br>에필로그</br>참고문헌

저자 소개 (8명)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b>교육 공동체의 성장을 위한</br>차별화된 ‘교사 교육과정’!</b></br></br>‘교사 교육과정’은 현재 학교 현장과 교육정책에서 가장 ‘핫한’ 이슈 중 하나다. 주어진(Mandated) 교육과정이 아니라 만들어 가는(Making)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교육 현장에서 점차 힘을 얻고 있는 것이다. 다양한 흥미와 적성을 가진 아이들을 개별적 특성에 맞게 가르치기 위해, 미래의 역량 있는 사람으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교사가 전문성을 가져야 하고, 자신만의 교육과정을 디자인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 『교사 교육과정을 디자인하다』는 이러한 현장의 질문과 고민을 바탕으로 기획되었다. </br></br> 교사 교육과정은 기존 교과서 중심 수업에 대한 비판과 ‘교육과정 개발자’로서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는 사회적 흐름 속에서 대두되었다. 교사 교육과정을 정의하면, “‘교육과정 문해력’을 기반으로 국가 교육과정의 범위 내에서 학교 주체(학생, 학부모 등)의 요구를 반영해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가 일체화되도록 개발한 교육과정”을 뜻한다. 교사 교육과정에는 교사의 교육철학과 문해력이 필수적이며, 무엇보다 교육의 중심에 ‘학생’을 두는 관점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교사의 교육과정 자율권을 발휘할 수 있고, 학생 중심의 교육을 지향할 수 있으며, 공동체성에 기반을 둔 교육과정이 만들어질 수 있다. 교육은 결국 교사와 학생에 의해 교실에서 구현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br></br><b>미래사회로의 변화 속에서 </br>교사와 교육과정은 어떠해야 하는가? </b></br></br>1장에서는 교사 교육과정의 개념과 필요성을 다루고, 2장에서는 교사 교육과정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을 살펴본다. 이어진 3장에는 교육과정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 문해력, 역량 기반 국가 교육과정, 성취기준 해석,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교사 교육과정 등의 내용이 담겼다. 4장인 ‘Step by step 교사 교육과정’은 교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단계별 내용을 담았으며, 교육과정 계획부터 수업 만들기, 교사 교육과정 실천 및 피드백 단계를 통해 직접 실습/체크를 해볼 수 있다. 더불어 5장에서는 교사 교육과정이 실행되었던 실제 프로젝트 사례 중심으로 구성했고, 6장에서는 뉴질랜드, 캐나다, 일본, 싱가포르에서 진행된 교사 교육과정의 해외 사례를 살펴본다. 마지막 7장에서는 최근 교육과정 이슈를 담아, 교육과정과 관련된 다양한 논의를 두루 섭렵할 수 있도록 했다. </br></br> 학교 현장에서 미래교육을 향한 다양한 노력이 선행되고 있는 지금, 교사 교육과정은 교사와 학생, 나아가 교육 공동체를 위한 변화의 자양분이 될 것이다. 교육정책의 흐름이 아닌 교사 자신을 위한 교육과정, 교사가 가르치는 모든 학생의 성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운영 방법을 찾는 교사라면, 이 책을 통해 그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