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엮은이의 말 _ 가랑비에 옷 젖듯 천천히 물드는
1부 기울어진 젠더 교육의 현실 남중생 언어생활 관찰기 | 안정선 10대 남자들의 말 | 서한울 학교 성교육 잔혹사 | 먼저놀아본언니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았던 젠더 감수성 | 오창민 공동체가 성폭력을 직시하려면 | 신민하 “나는 젠더의식이 부족한 교사다” | 박상옥 ‘집에서 논다’는 말이 사라지는 그날 | 정아은 억압받는 존재들의 언어 | 이라영 2부 공생의 기술, 젠더 감수성 교육 타고나는 성, 만들어지는 성 | 장희숙 자연스러운 성적 대화를 꿈꾸며 | 이성경 아버지와 아들을 위한 성교육이 필요합니다 | 박신영 남성이 왜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하냐면 | 박정훈 남학교에서 ‘메갈쌤’이 던지는 질문 | 최승범 자기답게 살아가는 힘, 젠더 교육 | 서한솔 마을에서 열리는 아빠들의 페미니즘 공부 | 좌담 |
저박상옥
관심작가 알림신청박신영의 다른 상품
저박정훈
관심작가 알림신청박정훈의 다른 상품
저서한솔
관심작가 알림신청서한솔의 다른 상품
저서한울
관심작가 알림신청저신민하
관심작가 알림신청저안정선
관심작가 알림신청안정선의 다른 상품
저오창민
관심작가 알림신청저윤이희나
관심작가 알림신청저이라영
관심작가 알림신청LEE Ra-Young
이라영의 다른 상품
저이성경
관심작가 알림신청이성경의 다른 상품
저장희숙
관심작가 알림신청장희숙의 다른 상품
정아은의 다른 상품
저최승범
관심작가 알림신청최승범의 다른 상품
쉬는 시간이면 복도에 넘실거리는 ‘검은 혀’의 행렬이 이어진다. ㅆ, ㅈ, 개- 이런 말들을 앞뒤에 달고 사는, 언어인지 포효인지 모를 소리를 내뱉는 그들과 부대끼는 일이 힘들다. 최근 그들은 된소리와 거센소리에 더해 엄마욕(패드립)까지 한다. 동성 친구들끼리도 ‘~년’이라 부르면서 여성혐오로 가득한 말을 내뱉는다. 내 가 가슴을 치며 통성기도를 해야 할 지경이다. “내 탓이요, 내 탓이요, 그동안 저는 무엇을 가르쳤을까요.”
---「남중생 언어생활 관찰기」중에서 앞으로 남자아이들을 페미니스트로 키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남성 롤모델’의 역할이 중요하다. 선생님이, 아버지가 페미니스트라면, 어려서부터 보고 배운 것이 있는 아이들은 쉽게 여성혐오적 미디어에 휩쓸리지 않을 터다. 무엇보다 그들이 주변 여성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관계 맺는 방식을 보면서 ‘건강한’ 남성성을 보고 배울 수 있을 것이다. (…) ‘남자어른’들이 먼저 변화하면 ‘남자아이들’도 바뀐다. 페미니스트가 아닌 것을 부끄러워 해야 하는 세상에서는 여성을 대상화하거나 억압하는 남성이 자라날 수 없을 것이다. ---「남성이 왜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하냐면」중에서 아이들 성교육을 잘 하고 싶다는 마음은 결국 나 자신을 성장시키고 있다. 내가 경험한 지난날의 수치심을 직시하고 그때의 나를 치유할 수 있는 힘이 생겼다. 여성의 몸에 대해, 남성의 몸에 대해 공부하고 서로 지켜야 할 성 예절은 무엇인지, 건강한 관계란 무엇인지 묻고 또 물으며 내 안의 젠더 감수성을 쌓고 있다. 공부할수록 나의 몸과 마음을 있는 그대로 더 사랑하게 되는 것 같다. 억압하고 감춰온 이야기를 당당하고 자연스럽게 말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지만 분명 필요한 일이다. 이렇게 중요한 공부를 왜 이제야 하고 있는지 아쉽지만, 아이들 덕분에 나는 지금부터라도 조금 더 자유로운 사람이 되어가고 있다. ---「자연스러운 성적 대화를 꿈꾸며」중에서 세상이 바뀌려면 더 많이 가진 쪽이 더 불편해져야 한다. 성별 권력구도에서는 여전히 기득권을 가진 쪽은 남성이다. 불편함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지금 쥐고 있는 것들을 좀 더 내려놓아야 한다. 관성이 쌓인 어른들에게는 쉽지 않은 일일 것이다. 그러나 10대는 성인에 비해 공감 능력이 탁월하고, 편견이 적으며, 정의감이 강하다. 변화 가능성이 큰 만큼 개선의 여지가 많다. 교사가 새로운 시각, 다른 목소리를 소개하는 것만으로도 학생 스스로 깨우쳐 길을 터나가는 경우가 많다. ---「남학교에서 ‘메갈쌤’이 던지는 질문」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