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0년 11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312쪽 | 504g | 142*223*20mm |
ISBN13 | 9788994655871 |
ISBN10 | 8994655875 |
발행일 | 2020년 11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312쪽 | 504g | 142*223*20mm |
ISBN13 | 9788994655871 |
ISBN10 | 8994655875 |
추천의 글 1 어린이가 즐거워하는 사회 수업을 위하여 추천의 글 2 오늘도 좋은 사회 수업을 위해 고민하는 선생님께 프롤로그 어린이를 사회 수업의 조연에서 주인공으로 PART1. 사회 수업은 왜 어려울까? 1 어린이의 삶과 너무 먼 사회 수업 2 선생님, 사회 수업의 목표가 뭐예요? 3 사회 수업은 왜 몰입이 안 될까? 4 초등교육, 그중에서도 사회 수업 PART2. 어린이가 주인공이 되는 사회 수업 1 놀이와 모험이 있는 사회 수업 2 어린이 시민이 만들어가는 사회 수업 3 장소에서 시작하는 어린이 지리 4 ‘나’에서 시작하는 어린이 역사 5 생활교육과 함께 가는 사회 수업 PART3. 어린이가 주인공인 사회 수업 함께 만들기 1 우리 반 친구가 좋아하는 학교 장소는? 2 우리 학교 사용설명서 3 우리나라 역사 속 어린이 이야기 4 조선시대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 5 우리 학교 길 이름은 우리가 만들어요! 6 내가 좋아하는 음식의 여행기 7 행복한 햄버거를 만들어요! 8 아동의 권리를 지켜주세요! 9 우리 동네 어린이 중심지 선정하기 10 우리는 이럴 때 싸우고, 이렇게 화해해요! 에필로그 사회 수업으로 어린이의 삶 들여다보기 |
학부생일 때 가장 기대가 되는 과목은 사회였다.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는 사회라는 과목은 가르치는 나도, 배우는 아이들도 흥미진진하고 재미있을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막상 현장에 나와보니 도리어 사회는 아이들이 가장 싫어하는 과목 중 하나였다. 아이들이 부담을 느끼고(심지어 역사가 아닌 일반사회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 4학년 아이들도 사회를 싫어한다), 재미없어 하는 과목이란 걸 알게 되니 나 역시 사회 수업이 어렵고 부담스럽게 느껴졌다. 결국 다른 많은 과목들과, 여러 가지 학급 운영 및 행정 업무에 치여서 사회는 '적당히 버티며 넘어가는' 과목이 되어버렸다. 이 책을 읽게 된 계기였다.
현직 교사로서 단연 가장 도움이 되었던 부분은 파트3 '어린이가 주인공인 사회 수업 함께 만들기'였다. 실제 수업과 관련된 성취기준과 핵심역량, 간단한 수업 흐름, 활동지뿐만 아니라 실제 학생들이 하기 쉬운 질문까지 자세하게 담아내고 있어서 아직 해보지 않은 차시에 대해서도 가늠해볼 수 있었다. 또 당장 닥쳐온 차시들에 대한 아이디어도 적잖이 떠올릴 수 있었다. 또한 사회 수업을 주제로 하는 책이지만 '우리는 이럴 때 싸우고, 이렇게 화해해요!'는 도덕, '행복한 햄버거를 만들어요!'는 실과와 연관지어서도 수업을 할 수 있는 등 타교과를 가르침에 있어서도 유용한 사례들이 수록되어 있다고 본다.
코로나 시국에서 학생이 주인공이 되는 수업을 하기가 참 쉽지가 않다. 가뜩이나 심리적 장벽이 높은 사회라는 과목을 교사 중심의 전달식 수업으로 할 때가 많으니 아이들의 배움이 극대화 되지 못 하고 있는 게 당연할지도 모른다. 아직 남은 한 달 가량의 학기 동안 이 책에서 새로이 알게 된 여러 가지 활동과 교수법을 통해 더욱 배움이 풍부하게 일어나는 수업을 만들도록 노력해야겠다.
우리반 아이들이 제일 싫어하는 과목은 작년에도, 올해도 사회시간이다.
지역화교과와 함께 공부하는 중학년은 그나마 괜찮은데, 고학년으로 갈수록 개념은 심화되고 아이들은 지식전달 중심의 수업을 지루해한다. 역사를 배우는 학기에는 안 그래도 낮은 의욕이 바닥을 기어서 무엇이 문제인가 고민하는 나날이 계속되었다.
이 책은 교실현장에서 사회 교과의 선호도가 낮은 까닭을 분석하고 배움중심 사회수업을 구성하는 방법과 예시를 제공한다.
어른의 눈으로 구성한 사회교과서는 아이들의 삶과 유리되어있고, 사회과에서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적용하는 경험을 하기 어렵다. 민주시민의 자질을 함양할 수 있는 의미있는 사회수업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놀이수업으로 몰입을 유도하는 방법과 어린이의 관점으로 사회수업을 진행하는 방법이 있다.
자신의 경험과 비교하고 직접 활동하는 사회수업을 통해 우리반 아이들의 시민성을 키우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다짐하게 된 아주 좋은 독서였다.
어린이가 주인공이되는 사회 수업 이야기는 초등학교 사회 수업에 대한 고민과 이를 해결 할 실제적인 수업 실천 방법이 들어 있다. 사회 수업 시간이 지루하고, 어려운 까닭에 대해 이론적 고찰과 실제적인 사례를 다루었다.
책은 총 세파트로 나누었는데, 첫장인 사회 수업은 왜 어려울까? 에서는 사회 수업의 목표와 미국, 우리나라 사회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사회 수업의 본질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우리나라 사회 수업의 목표는 민주시민의 자질인데, 이는 우리나라 교육 목표와도 같다. 좀 추상적으로 생각했는데 사회 수업의 목표를 생각해보고,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화를 정리해 두어 사회 수업 목표의 변화를 알 수 있었다. 사회 수업은 가장 정치적 사회적 변화에 민감한 과목으로서 변화되는 모습을 반영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몰입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해서도 실려 있다.
두번째 장은 어린이가 주인공이 되는 사회 수업인데, 사회수업이 어린이 생활에 동떨어지지 않고, 놀이나 모험, 그리고 심리적인 장소, 나의 개념을 실었다. 또한 요즘 이슈가 되는 회복적 생활 교육도 담아 수업을 할 때 반영하면 사회 수업이 학생들 흥미에 맞게 진행될 것 같다.
세번째 장에서는 어린이가 주인공인 사회 수업 함께 만들기로, 10가지 사례가 실려 있다. 앞에서 사회 수업에대한 이론과 개념을 반영하여 학생들이 실제 주인공이되고, 학생들의 삶이 수업 주제가 되도록 하여 학생이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있는 흥미로운 주제였다. 실제 프로젝트 학습으로 진행하고 바로 수업에 투입해도 좋을 것 같았다.
항상 사회 수업은 멀게 느껴지고, 정적인 활동이 많았는데, 이 책을 통해 사회도 재미있게 몰입하여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흥미로운 수업이 될 것 같다. 덕분에 사회 수업에 자신이 생겼고, 아이들도 전보다 더 재미있게 사회 시간에 참여하게 되었다. 주변 선생님들께 권하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