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으른 사람이 어떻게 게을러지는지, 하루를 어떤 식으로 보내면서 생활 패턴이 망가지는지, 성실하게 살려는 시도를 하다가 왜 실패하는지, 실패했을 때 얼마나 진득거리는 감정을 느끼는지, 주변의 성실한 사람들과 비교할 때 어떤 기분이 드는지에 대해서는 잘 압니다. 그런 주제에 관해서라면 몇 십 년간 게을렀던 제 삶을 참고로 해 남들보다 자세히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았어요. 습관화된 게으름에서 벗어나 첫발을 떼기 위해 어떤 마음가짐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도, 게으르지 않은 사람보다는 더 잘 이야기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 p.5
그 뒤로 나는 행주만은 제대로 꽉꽉 짜게 되었지만, 그 일은 이상하게도 잊히지 않았다. 어쩌면 별거 아닐 수 있는 이 기억이 이렇게 선명한 이유는 뭘까?아마 그 사건으로부터, 나의 ‘게으름 패턴’을 처음으로 자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각종 집안일부터 공부, 문서 처리에 이르기까지 나는 늘 행주를 설겅설겅 짜는 것처럼 일했다.
--- p.25
이 책은 위와 같이 단기간에 자신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강력한 외부 요인도 없고, 그렇다고 주변에서 나를 관리하거나 잡아줄 사람도 없는, 오로지 혼자서 스스로를 바꿔나가고 가꿔야만 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입니다.
--- p.36
우리는 처음부터 24시간을 생산적으로 살려고 하면 안 됩니다. 24시간 전체를 잘 운용하기 위해 매 순간을 신경 쓰는 일은 아직 벅찹니다. 아래의 네 가지 구간만 신경 써서 관리해주는 걸 1차 목표로 삼으면 됩니다. 나머지 시간대들은 그럭저럭 잘 흘러가게 됩니다.
--- p.51
간혹 오늘 계획을 못 끝냈다고 욕심내서 새벽까지 계속 하는 분들이 있는데 ‘오늘’이란 뜻은 자정, 밤 12시까지입니다. 다시 강조합니다. ‘오늘’은 밤 12시까지입니다! 이때까지 하지 못한 일은 과감하게 포기하고, 다음날 일어나서 새로운 기분으로 새로운 계획을 짜세요.
--- p.66
제가 생각할 때 열심히 사는 사람들이 열심히 살 수 있는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어쩌다 보니(유년기·성장기의 주변 환경 or 유전) 성실히 사는 게 습관이 되어서 점점 강한 빈도의 일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길러졌거나(관성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혹은 여러 번 성공의 경험을 겪으며 성취감이라는 내적인 동기를 찬찬히 쌓아왔거나. 우리가 어쩌다 보니 성실히 살게 되는 건 불가능한 일이니, 그나마 할 수 있을 것 같은 성취감 쪽을 공략해 보아요.
--- p.85
한 가지 팁은, 목표를 세울 때 ‘완성, 끝내기, 마스터하기, 완벽하게, 잘하기’ 이런 표현들을 지양하는 것입니다. 우리의 심약한 마음에 상당히 부담이 됩니다. 대신 ‘대충, 일단, 조금이라도’ 등의 헐렁헐렁한 단어들을 애용해주세요.
--- p.106
설거지를 지금 바로 하는 것은 이력서를 지금 당장 쓰는 것과 아무런 연관이 없을 것 같죠. 행주를 야무지게 빨아서 물을 꾹 짜는 것과 리포트를 잘 끝내는 것은 완전히 다른 차원의 일 같아 보이구요. 하지만 삶의 태도는 생각보다 넓은 부분에서 일관되게 적용됩니다.
--- p.107
제가 겪어본 바에 의하면, 게으르고 부지런함은 마음가짐의 문제가 아니라 몸과 습관의 문제에 더 가까운 것 같았어요. 오늘 수영 이론서에서 팔을 돌리고 발장구를 치는 법을 자세히 읽고, 내일부터 수영을 잘 해보자고 마음먹어도 몸이 절대 한 번에 잘 움직이지 않잖아요. 계속 물 먹어가면서 어설프게 깔판 잡고 발장구라도 계속 쳐보고, 그렇게 몇날 며칠 반복해서 움직이는 폼이 점점 익숙해지다 보면 어느새 몸이 뜨는 거죠.
--- p.161
제 주변의 열심히 사는 친구들도 컨디션이 안 좋거나, 마음이 너무 안 내키거나 하면 가끔 모든 걸 툭 놓아버리는 때도 있습니다. 그렇게 열심히 사는 친구들도 매일 성실히 살지는 못하는데, 오랜 게으름이 몸에 밴 우리가 자주 덜컹거리는 건 당연한 일 아닐까요?
--- p.169
“타고난 천성이란 게 분명히 있고, 그걸 아예 버릴 순 없어요. 오른손잡이가 당장 왼손잡이가 될 수 없는 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하지만, 내가 아무리 오른손잡이래도 왼손 쓰는 법을 어느 정도 살아가는 데 필요한 만큼은 익힐 순 있겠죠. 아주 잘하진 못하더라도 말이에요.”
--- p.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