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근대, 인간, 소설, 속악
1부 러시아 근대 문학의 형성 1 근대, 인간, 환상: 푸시킨의 「스페이드 여왕」 1) 푸시킨과 「스페이드 여왕」 2) 「스페이드 여왕」 ㈀ 기법으로서의 환상 ? 환상과 실제, 시학적 망설임 ㈁ 세계(페테르부르크)와 인간(게르만) ? 선과 악, 윤리적 망설임 ㈂ 환상(농담)에서 현실(진담)로, 시(운문)에서 소설(산문)로 2 우리는 왜 이토록 속물인가: 고골의 『페테르부르크 이야기』 1) 고골의 딜레마와 죽음의 침상 2) 페테르부르크 이야기 ㈀ 세계 속의 인간 ? 「넵스키 거리」, 「코」 ㈁ ‘작음’의 희비극 ? 「외투」, 「광인 일기」 ㈂ 근대, 예술, 종교 ? 「초상화」 3 ‘나’의 발견: 레르몬토프의 『우리 시대의 영웅』 1) 요절한 천재 시인 레르몬토프와 소설 2) 『우리 시대의 영웅』 ㈀ 대상-객체로서의 페초린 ? 「벨라」, 「막심 막시므이치」 ㈁ ‘밖’에서 ‘안’으로, 다시 ‘밖’으로 ? 「페초린의 일지」 ㈂ 레르몬토프 - 페초린과 시대정신으로서의 권태와 환멸 2부 러시아 문학의 황금시대 4 돈키호테가 되고 싶었던 햄릿: 투르게네프의 『아버지와 아들』 1) 지주 귀족 작가 투르게네프 2) 『아버지와 아들』과 바자로프 8 ㈀ 잡계급 의학도 바자로프와 니힐리즘 ㈁ 바자로프의 사랑 ? 낭만주의 대 반(反)낭만주의 ㈂ 햄릿 - 돈키호테 바자로프의 죽음 ? 니힐리스트의 최후의 실험 ㈃ 부자(父子), 그리고 바자로프 ? 부정과 배반의 운명 5 죄와 벌, 그리고 구원: 도스토예프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1) 인간 도스토예프스키: 가난, 유형, 간질, 도박 2)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 부친 살해와 카라마조프시나 ? 표도르 카라마조프 ㈁ 드미트리(미탸)의 모험과 수난, 에피퍼니 ㈂ 이반의 이론과 실제 ? 반역, 「대심문관」, 살부 ㈃ 어둠-무(無)의 육화로서 스메르댜코프 ㈄ 알료샤의 에피퍼니와 기적에 대한 시험 ? 기적을 보지 않고도 믿을 수 있는가 6 생활의 발견, 결혼의 생리학: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 1) 톨스토이 백작과 소설가 톨스토이 2) 『안나 카레니나』 ㈀ 오블론스키 공작 집안과 결혼의 생리학 ㈁ ‘위대한 순간’과 열정 ? 안나의 입장에서 ㈂ 열정의 법칙과 생활의 법칙 ? 브론스키의 입장에서 ㈃ 카레닌을 위하여 ? 석조 페테르부르크의 상징 ㈄ 위대한 순간과 그 이후 ? 안나의 자살과 그 이후 ㈅ 가정의 행복 ? 레빈과 키티, 혹은 톨스토이와 소피야 7 우수의 윤리학: 체호프의 단편 소설과 희곡 1) 「어느 관리의 죽음」과 작가 체호프 2) 소설가 체호프 ㈀ ‘삶 공포증’ 혹은 ‘진부함’의 공포 ㈁ 지식인 소설과 진부함의 공포 ? 「문학 선생」, 「상자 속의 사나이」 ㈂ 체호프의 우수 ? 「검은 수사」 3) 극작가 체호프와 「벚꽃 동산」 ㈀ 체호프의 드라마투르기 여정 ㈁ 희극 「벚꽃 동산」 참고 문헌 찾아보기 |
저김연경
관심작가 알림신청김연경의 다른 상품
#러시아문학#근대문학
#푸시킨#고골#레르몬토프#투르게네프#도스토예프스키#톨스토이#체호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