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3·1운동과 국제사회
양장
가격
40,000
40,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독립기념관 학술연구총서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책소개

목차

총론 : 한국근현대사에서 ‘국제정세와 3·1운동’ 이해 | 신주백

제1부 3·1운동 전후 국제회의와 한국독립운동

ㆍ 파리강화회의와 약소민족의 독립문제 | 전상숙
1. 머리말
2. 미국과 일본의 제1차 세계대전 참전과 극동문제
3. 러시아혁명과 윌슨의 ‘민족자결’, 그리고 파리강화회의
4. 파리강화회의에서 식민지·약소민족의 독립문제와 한국
5. 맺음말

ㆍ 뉴욕 소약국민동맹회의와 재미 한인의 독립운동 | 홍선표
1. 머리말
2. 1917년 소약국민동맹회의의 개최와 박용만의 참가활동
3. 1918년 제2차 소약국민동맹회의와 재미 한인의 선전·외교활동
4. 맺음말

ㆍ 1922년 원동민족혁명단체대표회와 한국독립운동 | 반병률
1. 머리말
2. 대회 개최의 배경
3. 대회 개최 이전 한국독립운동의 상황
4. 대회의 준비
5. 대회의 진행과 논점들
6. 대회와 한국독립운동
7. 맺음말

제2부 국제정세의 변동과 해외 한인의 3·1운동

ㆍ 중국 관내 신한청년당과 3·1운동 | 정병준
1. 머리말
2. 신한청년당의 창당과 이념적 지향
3. 여운형의 청원서 제출과 김규식의 파리행
4. 3·1운동의 주역들 : 국내외로 파견된 신한청년당의 밀사들
5. 맺음말 : 3·1운동 이후의 신한청년당

ㆍ 일제의 ‘요시찰’ 감시망 속의 재일한인유학생의 2·8독립운동 | 윤소영
1. 머리말
2. 일제의 ‘요시찰’ 감시망 속의 재일한인유학생
3.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와 ‘데모크라시’에 열광하는 청년들
4. 2·8독립운동의 시동
5. 2·8독립운동의 준비와 결행
6. 맺음말

ㆍ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파리한국대표부’와 김규식의 외교활동 | 이장규
1. 머리말
2. 한국대표부의 對 파리강화회의 활동
3. 국제사회의 후원과 연대 활동
4. 맺음말

제3부 타자의 눈으로 바라본 3·1운동

ㆍ 독일 외무부 보고서를 통해 본 독일 정부의 3·1운동 인식 | 황기우
1. 머리말
2. 청도(교주만)와 독일의 동아시아 전략
3. 교주만 문제와 3·1운동
4. 3·1운동에 대한 최초의 독일 외무부 보고서 R18897
5. 3·1운동에 대한 독일 외무부의 새로운 인식
6. 맺음말

ㆍ 러시아 내전기 외교관 류트쉬의 기록으로 본 3·1운동 | 홍웅호
1. 머리말
2. 류트쉬의 고종 사망에 대한 보고와 조선 인식
3. 류트쉬의 3·1운동에 대한 기록
4. 맺음말

ㆍ 일본신문에 나타난 3·1운동과 손병희론 | 윤소영
1. 머리말
2. 3월 상순의 보도 논조
3. 손병희에 대한 폄훼 보도 재검토
4. 3월 중순 이후 보도 논조
5. 요시노 사쿠조(吉野作造)의 손병희와 천도교론
6. 맺음말

논문출처
찾아보기

저자 소개9

辛珠柏

성균관대학교에서 「만주지역 한인의 민족운동 연구(1925~1940)」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HK연구교수,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소장, 국무총리실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 위원, 교육부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의 전임연구원이며 성공회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한국 근현대사를 민족운동사, 학술사, 군사사, 역사교육사의 맥락에서 연구하면서도 ‘지역으로서의 동아시아’라는 시선도 놓치지 않고 있다. 저서로 『만주지역 한인의 민족운동사(1920~45)』(아세아문화사, 1999), 『역사화해와 동아시아형 미래 만들기』(선인, 201
성균관대학교에서 「만주지역 한인의 민족운동 연구(1925~1940)」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HK연구교수,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소장, 국무총리실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 위원, 교육부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의 전임연구원이며 성공회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한국 근현대사를 민족운동사, 학술사, 군사사, 역사교육사의 맥락에서 연구하면서도 ‘지역으로서의 동아시아’라는 시선도 놓치지 않고 있다. 저서로 『만주지역 한인의 민족운동사(1920~45)』(아세아문화사, 1999), 『역사화해와 동아시아형 미래 만들기』(선인, 2014), 『한국 역사학의 기원』(휴머니스트, 2016), 『한국 역사학의 전환』(휴머니스트, 2021), 『일본군의 한반도 침략과 일본의 제국 운영』(동북아역사재단, 2021) 등이 있다.

신주백의 다른 상품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식민지시대 국내 좌파 지식인에 관한 연구: 사회주의당조직 활동을 중심으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사상통제정책의 역사성: 반공과 전향」, 『일제시기 한국 사회주의 지식인 연구』, 『조선총독정치 연구』, 『한국인의 근대 국가관, ‘민주공화국’ 재고』, 『한국 근대 민족주의와 변혁이념, 민주공화주의』 등이 있다. 현재 광운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로 있다.

전상숙의 다른 상품

한양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미주지역 독립운동사에 관심을 두고 있다. 현재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책임연구위원, 대한민국 공군역사자문위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강사로 활동 중이다. 주요 논저 『서재필·개화 독립 민주의 삶』(2009) 『동암 장효근의 삶과 민족운동』(2010) 『재미한인의 꿈과 도전』(2011) 『재미한인 독립운동의 표상 김호』(2012) Ko reans in Central Europe: To Y-ho, Han Hung-su, and Others(2018) 「한국독립운동을 도운 미국인」(2012) 「관
한양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미주지역 독립운동사에 관심을 두고 있다. 현재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책임연구위원, 대한민국 공군역사자문위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강사로 활동 중이다.

주요 논저
『서재필·개화 독립 민주의 삶』(2009)
『동암 장효근의 삶과 민족운동』(2010)
『재미한인의 꿈과 도전』(2011)
『재미한인 독립운동의 표상 김호』(2012)
Ko reans in Central Europe: To Y-ho, Han Hung-su, and Others(2018)
「한국독립운동을 도운 미국인」(2012)
「관 동대지진 때 한인 학살에 대한 구미 한인세력의 대응」(2014)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공군 건설 계획과 추진」(2015)
「헐버트(Homer B. Hulbert)의 재미 한국독립운동」(2016)
「뉴욕 소약국민동맹회의와 재미 한인의 독립운동」(2017)

홍선표의 다른 상품

潘炳律

미국 주립 하와이대학교 대학원 역사학과에서 「러시아원동과 북간도 지역에서의 한인민족운동(Korean Nationalist Activities in the Russian Far East and North Chientao, 1905~1921)」을 주제로 박사 학위(역사학)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교수이다. 전공 분야는 한국 근현대사이고, 부전공으로 러시아사, 중국 근현대사, 일본 근현대사를 연구하고 있다. 세부 전공 분야는 한국독립운동사, 한인이주사, 해외동포사, 한러 관계사이다. 저서로는 『성재 이동휘 일대기』(1998), 『만주·러시아지역 항일무장투쟁』(2009)
미국 주립 하와이대학교 대학원 역사학과에서 「러시아원동과 북간도 지역에서의 한인민족운동(Korean Nationalist Activities in the Russian Far East and North Chientao, 1905~1921)」을 주제로 박사 학위(역사학)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교수이다. 전공 분야는 한국 근현대사이고, 부전공으로 러시아사, 중국 근현대사, 일본 근현대사를 연구하고 있다. 세부 전공 분야는 한국독립운동사, 한인이주사, 해외동포사, 한러 관계사이다. 저서로는 『성재 이동휘 일대기』(1998), 『만주·러시아지역 항일무장투쟁』(2009), 『국외 3·1운동』(공저, 2009), 『망명자의 수기』(편저, 2013), 『여명기 민족운동의 순교자들』(2013), The Rise of the Korean Socialist Movement: Nationalist Activities in Russia and China, 1905~1921(2016), 『홍범도 장군: 자서전 홍범도 일지와 항일무장투쟁』(2019), 『통합임시정부와 안창호, 이동휘, 이승만: 삼각정부의 세 지도자』(2019), 『세계사 속의 러시아혁명』(공저, 2019), 『항일혁명가 최호림과 러시아지역 독립운동의 역사』(2020) 등 다수가 있다.

반병률의 다른 상품

Jung Byung-joon,鄭秉峻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한국 현대사를 전공했다. 『역사와 현실』 편집위원장, 이화사학연구소장, 한국문화연구원장,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편찬위원,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건립자문위원 등을 지냈다. 한국 현대사 자료를 찾아 세계를 횡단하며, 새로운 자료에 기초한 새로운 이야기를 쓰는 데 긍지를 가지고 있다. 최근 몇 년간은 『김규식 평전』을 쓰고 있다. 여운형, 이승만, 김구, 김규식, 박헌영, 현앨리스, 염동진 등 한국 현대사의 인물들을 통해 시대와 역사를 긴 호흡으로 이해하려 노력하고 있다. 『몽양 여운형 평전』, 『우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한국 현대사를 전공했다. 『역사와 현실』 편집위원장, 이화사학연구소장, 한국문화연구원장,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편찬위원,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건립자문위원 등을 지냈다.
한국 현대사 자료를 찾아 세계를 횡단하며, 새로운 자료에 기초한 새로운 이야기를 쓰는 데 긍지를 가지고 있다. 최근 몇 년간은 『김규식 평전』을 쓰고 있다. 여운형, 이승만, 김구, 김규식, 박헌영, 현앨리스, 염동진 등 한국 현대사의 인물들을 통해 시대와 역사를 긴 호흡으로 이해하려 노력하고 있다.
『몽양 여운형 평전』, 『우남 이승만 연구』, 『한국전쟁』, 『광복 직전 독립운동세력의 동향』, 『독도 1947』, 『현앨리스와 그의 시대』,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의 한반도 관련 조항과 한국정부의 대응』 등의 책을 썼으며, 50여 권의 한국 현대사 자료집을 기획?해제했다. 제47회 한국출판문화상 학술 부문 저술상(2006), 독도학술상(2010), 제36회 월봉저작상(2011), 제56회 한국출판문화상 학술 부문 저술상(2015) 등을 수상했다.

정병준의 다른 상품

숙명여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했다. 일본 오차노미즈여자대학 대학원에서 인문과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위원이다. 대표 저서로 『일본근대의 보도판화는 한국사를 어떻게 왜곡했나?』, 『화혼양재와 한국근대』(공저), 『일본신문 한국독립운동 기사집』(역서), 『일본잡지 모던일본과 조선 1939』(공역서), 『일본잡지 모던일본과 조선 1940(공역서)이 있다. 최근의 연구논문으로는 「가지 와타루(鹿地亘)의 반전반제운동과 조선」, 「인적네트워크를 통해 본 최근우의 활동과 정치사상」, 「양근환의 생애와 독립운동」, 「일제강점기 일본어자료에 나타난 ‘울릉도의 屬
숙명여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했다. 일본 오차노미즈여자대학 대학원에서 인문과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위원이다. 대표 저서로 『일본근대의 보도판화는 한국사를 어떻게 왜곡했나?』, 『화혼양재와 한국근대』(공저), 『일본신문 한국독립운동 기사집』(역서), 『일본잡지 모던일본과 조선 1939』(공역서), 『일본잡지 모던일본과 조선 1940(공역서)이 있다. 최근의 연구논문으로는 「가지 와타루(鹿地亘)의 반전반제운동과 조선」, 「인적네트워크를 통해 본 최근우의 활동과 정치사상」, 「양근환의 생애와 독립운동」, 「일제강점기 일본어자료에 나타난 ‘울릉도의 屬島로서의 독도’ 인식」이 있다.

윤소영의 다른 상품

파리 디드로대학 박사과정중에 있다.
동국대학교 대외교류연구원 연구교수 러시아 모스크바국립대학교 역사학 박사 러시아역사와 한러관계사, 고려인 역사를 연구 중이다.

홍웅호의 다른 상품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관심작가 알림신청

품목정보

발행일
2020년 11월 25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515쪽 | 866g | 152*225*35mm
ISBN13
9791160684117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40,000
1 4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