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1부. 개발 함정
1장. 가치 교환 체계 2장. 가치 교환 체계에서의 제약 3장. 프로젝트 대 프로덕트 대 서비스 4장 프로덕트 중심 조직 5장. 우리는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를까? 2부.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 6장. 나쁜 프로덕트 매니저의 전형 7장. 훌륭한 프로덕트 매니저 8장. 프로덕트 매니저의 커리어 경로 9장. 팀 조직하기 3부. 전략 10장. 전략이란 무엇일까? 11장. 전략의 간극 12장. 바람직한 전략 틀 만들기 13장. 회사 차원의 비전과 전략적 의도 14장. 프로덕트 비전과 포트폴리오 4부.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과정 15장. 프로덕트 카타 16장. 방향 이해하고 성공 지표 설정하기 17장. 문제 탐구 18장. 해결책 탐구 19장. 해결 방안 개발과 최적화 5부. 프로덕트 중심 조직 20장. 성과지향적 의사소통 21장. 보상과 장려책 22장. 안전과 학습 23장. 예산 정책 24장. 고객 중심 25장. 마케틀리, 프로덕트 중심 기업으로 거듭나다 후기. 개발 함정에서 벗어나 프로덕트 중심 기업으로 거듭나기 부록. 프로덕트 중심 기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6개 질문 |
Melissa Perri
권혜정의 다른 상품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기능으로 가치를 만들어가야 할 기업이 기능 출시 자체에만 급급해지는 원인은 무엇일까? - 확장 가능한 방향으로 프로덕트 조직을 꾸릴 방법은 무엇일까? - 프로덕트 계획이 기업의 비전과 경제적 성과에 부합하도록 프로덕트 전략을 수립할 방법은 무엇일까? - 반복적인 프로덕트 프레임워크를 통해 적절한 가치 창출 기회를 모색하고 추구할 방법은 무엇일까? - 산출물이 아닌 성과에 집중하는 문화를 일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지은이의 말 지난 10년 동안 프로덕트 매니저, UX 디자이너, 개발자, CEO, 기업가, 컨설턴트, 고문, 교사, 학생이라는 많은 역할을 맡아왔다. 내게 가장 중요한 역할은 학생이었다. 지금까지 내가 배워온 것이 얼마나 되는지 생각하면 저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이 책에서 그 배움을 공유하게 돼 기쁘지만 아직도 배울 것이 너무나 많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때로는 부담스러운 프로덕트 매니지먼트라는 영역에서 이 책이 독자들의 길잡이가 돼준다면 좋겠다. |
“기업 전체가 프로덕트에 집중할 때 얼마나 놀라운 결과가 나올 수 있는지 보여주는, 보기 드물고 배짱 있는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지침서다.” - 데이브 핑크 (Dave Pinke) (Practising Law Institu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