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이전

작가파일

노명우
국내작가 인문/사회 저자
직업
사회학자, 교수
작가이미지
노명우
국내작가 인문/사회 저자
아주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생들에게 사회학을 가르치는 교수이자, 이러다 잘될지도 모르는 연신내 골목길의 독립 서점인 ‘니은서점’을 열고 세상에 알려져야 마땅한 좋은 책을 소개하는 마스터 북텐더다. 그러다 내친 김에, 세계적인 석학은 되지 못했지만 교양 있는 사람이라도 되고자 시민과 함께 공부하는 ‘생각학교’를 만들었다. 테오도르 아도르노가 언제나 닮고 싶은 학자이며 지그문트 바우만처럼 노인이 되어서도 글을 쓰고 싶기에 누군가 대표작을 물어보면 아직 출간되지 않은 다음 책이라고 말한다.

2002년 『계몽의 변증법을 넘어서―아도르노와 쇤베르크』로 첫 책을 출간한 이후, 고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려는 노력을 담은 『계몽의 변증법―야만으로 후퇴하는 현대』 『호모 루덴스, 놀이하는 인간을 꿈꾸다』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노동의 이유를 묻다』를 썼고 『발터 벤야민과 메트로폴리스』 『변증법적 상상력』을 번역했다.

시각문화와 예술사회학 그리고 미디어 이론과 관련해 『텔레비전, 또 하나의 가족』 『아방가르드』 『두번째 도시, 두번째 예술』 등을 썼고, 『구경꾼의 탄생』을 번역했다.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관찰하고 해석하는 이른바 자전적 사회학을 위해 『혼자 산다는 것에 대하여―고독한 사람들의 사회학』 『세상물정의 사회학』 『인생극장』 『노명우의 한 줄 사회학』을 썼고, 지그문트 바우만의 『사회학의 쓸모』를 번역했다. 골목길의 작은 독립 서점 니은서점의 책상에서 『이러다 잘될지도 몰라, 니은서점』을 썼고, 생각학교를 구상하여 이 책 『교양 고전 독서』를 썼다.
베를린 자유대학 사회학 박사
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작가의 전체작품

작가의 추천

  • 여기 한 연구자가 있다. 그는 자신이 걸어왔던 연구자로서의 삶을 기록했다. 그 연구자가 기록한 연구의 역사는 다름 아닌 ‘좋은 삶’에 도달할 방법을 고민하는 동시대의 한 개인의 역사이기도 하다. 연구자의 역사-기록이되, 동시에 ‘좋은 삶’을 고민하는 개인의 이야기-기록이기도 한 이 책에서 우리는 학문과 ‘좋은 삶’의 고대적 연관성을 되살릴 수 있는 희망의 불씨를 찾아낼 수 있다. 삶과 연구가 분리되지 않는 이 연구자를 보라.
  • 누구나 행복을 원하지만 정작 행복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다. 행복해지려고 애쓰고 있음에도, 현대인은 상시적인 불만족의 늪에 빠져 허우적거리고 있다. 행복이란 결코 도달할 수 없는 신기루 같은 것일까? 노년의 지그문트 바우만이 쓴 이 책에서 우리는 혜안으로 인생의 행복이라는 난제를 풀어 가는 탁월한 방법을 접할 수 있다. 바우만은 보다 많은 돈과 보다 많은 소비가 행복에 도달하게 해 줄 것이라는 잘못된 판단에서 시작된 불만족의 늪에서 우리를 건져 내기 위해 우리를 에우다이모니아, 즉 좋은 삶의 세계로 이끈다. 행복은 오랜 시간 동안 잘 가꿔진 인생 정원의 다른 이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는 우리 모두가 각자의 인생을 예술 작품으로 만들기 위해 기꺼이 정원사가 되겠다고 마음먹을 때이다.

작가 인터뷰

  • 노명우 “과거의 재난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2024.05.03.
  • 사회학자 노명우 “투덜대지 않고 불만을 말할 수 있는 힘”
    2014.02.17.

작가에게 한마디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