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문화예술지원론
체계와 쟁점
김진각
(주)박영사 2021.05.07.
베스트
예체능/문화/기타 계열 top100 7주
가격
20,000
20,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01. 서론

CHAPTER 01
문화예술정책의 기본적 이해

CHAPTER 02
국가와 문화예술정책의 관계

CHAPTER 03
문화예술 분야의 국가 개입 담론과 쟁점

02. 문화예술지원 주요 이론

CHAPTER 04
문화예술 거버넌스의 이해

CHAPTER 05
네트워크 거버넌스 분석을 위한 제도주의 논의

03. 문화예술 지원체계 분석

CHAPTER 06
주요 국가 문화예술 지원체계

CHAPTER 07
한국의 문화예술 지원정책 변화

CHAPTER 08
문화예술 지원정책 비교 분석

04. 한국의 문화예술 지원체계 분석

CHAPTER 09
현안과 쟁점

CHAPTER 10
문화예술지원기관의 역할 정립

05. 결론

CHAPTER 11
문화예술 지원체계 재설정

저자 소개1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대학원을 거쳐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화예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아메리칸대학교(AU) 아시아연구소 방문교수를 지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비상임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동북아학회 이사와 한국지역문화학회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 『문화 예술지원론: 체계와 쟁점』(2021), 『문화예술산업 총론: 창조예술과 편집예술 산업의 이해』(2022), 『문화예술후원론: 메디치에서 아미까지』(2024) 등이 있다. “문화예술지원기관의 역할 정립 방안 연구: 합의제 기구 전환 15년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대학원을 거쳐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화예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아메리칸대학교(AU) 아시아연구소 방문교수를 지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비상임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동북아학회 이사와 한국지역문화학회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 『문화 예술지원론: 체계와 쟁점』(2021), 『문화예술산업 총론: 창조예술과 편집예술 산업의 이해』(2022), 『문화예술후원론: 메디치에서 아미까지』(2024) 등이 있다. “문화예술지원기관의 역할 정립 방안 연구: 합의제 기구 전환 1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를 중심으로”(2020), “문화콘텐츠 기업 문화재단의 예술지원 차별적 특성 연구: CJ 문화재단을 중심으로”(2022) 등의 KCI 등재학술지 논문이 있다.

김진각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1년 05월 07일
쪽수, 무게, 크기
352쪽 | 646g | 158*232*24mm
ISBN13
9791130312798

출판사 리뷰

문화예술이 갖는 가치와 의미를 부연 설명하는 것은 진부한 시도일지도 모른다. 문화예술이란 더이상 특정 계층의 전유물이 아닌, 이미 우리의 삶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는 일상이나 마찬가지인 까닭에서다.
문화예술정책은 문화예술 발전을 위한 거대한 기둥이자 동시에 나침반 같은 것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영국, 미국, 프랑스, 캐나다 등 문화예술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는 주요 나라들은 문화예술정책의 틀 속에서 문화예술 분야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다만 지원의 형태가 국가 주도형인지, 민간 주도형인지가 다를 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문화예술지원정책은 문화예술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차대한 과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하다.
사실 문화예술지원정책을 학문적으로 다룬 학술 서적은 적지 않다. 문화정책과 문화행정, 예술경영 등을 종합적으로 묶어 소개하면서 문화예술 전공 학생들과 현장 실무자들의 개념적 이해를 돕고 있다. 하지만 문화예술정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지원과 관련한 담론을 주요 사례와 쟁점을 곁들여 심층적으로 다룬 이론서를 찾아보긴 어렵다.
이 책의 발간은 이러한 문화예술지원 관련 전문 서적에 대한 갈증이 시발이었다. 대학 학부에서 문화예술정책 수업을 하면서, 현장의 문화예술인들을 만나 예술지원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어보니, 예술지원 분야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해줄 학술 서적의 필요성은 점점 커질 수밖에 없었다. 문화예술의 발전은 갈수록 속도를 내는 모양새이지만, 정작 이것의 토대가 되는 문화예술지원은 어떠한 체계와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 현실적 문제점과 주요 쟁점은 무엇인지, 해결 방안은 또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연구 결과물이 녹아든 이론서가 절박했던 것이다.
이 책은 문화예술지원과 관련한 기본적인 이해와 함께 주요 이론, 예술지원기관을 둘러싼 다양한 쟁점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한 영국, 프랑스, 미국 등 문화예술 선진국 예술지원의 현황과 시사점도 함께 다루면서 한국적 상황에서 벤치마킹해야 할 정책적 포인트를 짚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예술지원기관인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예술지원체계를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문화예술지원의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에서 이론에 근거한 집중적 분석 대상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임을 밝혀둔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를 논의의 한가운데에 두면서 문화예술지원 관련 주요 이론과 체계, 쟁점을 전문적으로 다룬 첫 학술서가 될 이 책이 문화예술을 전공하는 학부생과 대학원생 외에도 수많은 연구자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공직자들,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 종사자들, 현장 문화예술가들에게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정보와 담론을 함께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2021년 5월
서울 강북 연구실에서
저자 김진각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0,000
1 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