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프롤로그_ 정도전, 유방과 창해역사를 구하다
송현방의 웃음소리 난신적자 늙은 수군 영불서용(永不敍用) 삼봉재 행궁 백온 유기의 유언 명은 주씨의 나라요, 조선은 이씨의 나라다 전하, 묻겠습니다 나는 고백한다 후기_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는 〈단심가〉는 없다 관련 실록 자료 - 정도전 연표 |
이재운의 다른 상품
“나는 정도전을 죽이지 않았다” 태종 이방원의 충격 고백
정도전의 큰아들 정진은 아버지가 처형당하고 형제 셋까지 죽은 뒤 16년 동안 전라좌도 수군으로 복무하며 온갖 시련과 고통 속에서 보낸다. 아버지와 형제들의 제사를 지내던 어느 날, 큰아들과 함께 어디론가 끌려간 정진. 이성계와 함께 조선개국 일등공신인 아버지 정도전을 죽이고 가문을 무너뜨린 태종 이방원이 은밀히 부른 것이다. 정진 부자 그리고 세자인 충녕(이도)을 불러 그동안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았던 ‘정도전 살해 사건’에 대한 충격적인 전모를 고백한다. 정도전은 신원할 수 없지만 그의 장자 정진과 정도전의 손자들에게 모두 벼슬을 내릴 것이며, 정도전의 조선 건국이념을 살리고 정도전의 건국 개혁조치를 그대로 따르겠다고 약속한다. 정도전 자손들은 금고에서 해제되고, 정도전이 받았던 공신녹권과 땅을 돌려받는다. 정도전의 이름에는 역적이라는 누명이 벗겨지지 않았지만 정도전의 자손들은 이후 대대로 요직에 등용된다. 정도전, 그가 꿈꾸던 조선은 요동을 수복하고 잃어버린 고구려의 백성과 여진족까지 품어 안는 나라였다. 이처럼 그는 요동 땅을 점령하고 고구려 정신을 이어가는 민족의 정체성을 회복할 꿈을 꾸고 있었지만, 끝내 이루지 못하고 스러졌다. 정도전이 살해되지 않고 그가 꿈꾸던 나라의 기틀을 마련하고 요동 정벌에 성공했다면 우리 역사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역사에 가정이란 없지만, 조선 500년의 모습은 어떠했을까? 그러나 성공하지 못한 그의 개혁 실천과 꿈은 조선왕조 500년 내내 유지되고 살아 움직였다. 이 소설에는 요동을 호령하고 중국 명나라의 호통에도 끄떡하지 않았던 정도전의 용맹과 야망이 그의 아들 정진의 시선으로 다양한 모습을 띤 채 역동적으로 살아 움직이며, 독자들에게 새로운 역사인식과 울림을 던져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