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헤겔과 변증법
그 기원·전개·쟁점을 중심으로 반양장
백훈승
서광사 2022.04.20.
베스트
서양철학 top100 2주
가격
42,000
10 37,800
YES포인트?
420원 (1%)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헤겔 변증법 사상 고찰의 의의 … 5
헤겔 저작 약어표 … 17
일러두기 … 20

I. 헤겔 변증법이란 무엇인가? … 27
1. ‘변증법[Dialectic]’의 어원(語源) 및 어의(語義)에 대한 역사적 고찰 … 29
2. 헤겔철학의 과제와 변증법 … 43
2.1. 헤겔철학의 과제 … 43
2.2. 헤겔 이전의 절대자관과 헤겔의 절대자관 … 47
2.3. 절대자의 전개과정으로서의 변증법 … 48
2.4. 절대자를 인식하는 방법으로서의 변증법 … 50
2.5. ‘Aufheben’의 의미 … 52
3. 헤겔 변증법과 논리학 … 61
3.1. 헤겔 변증법은 논리학인가? … 61
3.2. 헤겔 논리학의 성격과 구성 … 63

II. 헤겔 변증법의 성립: 헤겔 변증법 성립에 영향을 미친 사상(가)들 … 67
1. 피타고라스(Pythagoras, Πυθαγ?ρα?, BC 570년경-BC 495년경) … 69
2. 엘레아학파의 파르메니데스와 제논 … 73
2.1. 파르메니데스(Parmenides, Παρμεν?δη? ? ?λε?τη?, BC 515년경-BC 460년경) … 73
2.2. 제논(Zenon, Ζ?νων ? ?λε?τη?, BC 490년경-430년경) … 77
3. 헤라클레이토스(Herakleitos, ?ρ?κλειτο? ? ?φ?σιο?, BC 535년경-475년경) … 87
4. 플라톤(Platon, Πλ?των, BC 427년경-347년경)의 대화편을 통해 전해진 변증적 사상들 … 95
4.1. 플라톤의 변증법과 존재론에 대한 개괄적 고찰 … 95
4.2. 플라톤의 대화편을 통해 드러나는 소크라테스의 변증법 … 98
4.3. 플라톤의 변증법에 대한 헤겔의 사변적 해석과 존재규정의 변증법 … 103
5.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ριστοτ?λη?, BC 384년-322년) … 107
5.1. 질료·형상론(운동론) … 108
5.2.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에서의 부동의 원동자로서의 신적(神的) 정신 … 113
6. 신플라톤주의와 기독교: 절대정신의 구조로서의 삼위일체 … 115
6.1. 플로티노스(Pl?tinos, Πλωτ?νο?, 205년경-270년) … 115
6.2. 프로클로스(Proklos, Πρ?κλο?, 412-85) … 132
6.3. 기독교의 삼위일체론 … 153
7. 에카르트(Meister Johannes Eckhart, 1260년경-1327년) … 163
7.1. 일자(一者)로서의 신으로부터 다자(多者)의 출현 및 그로부터 일자로의 복귀 … 164
7.2. 부정(否定)의 부정(否定)으로서의 신 … 169
8. 니콜라우스 쿠자누스(Nicolaus Cusanus, 1401-64) … 175
8.1. 다른 것이 아닌 것 … 176
8.2. 박학한 무지와 신 인식 … 189
8.3. 대립의 합치[coincidentia oppositorum] … 191
8.4. 니콜라우스와 헤겔 사상의 이동성(異同性) … 196
9. 뵈메(Jakob Bohme, 1575-1624) … 201
9.1. 신비주의적 범신론 … 204
9.2. 대립의 투쟁과 통일 … 206
9.3. 삼중성의 파악 … 208
10. 스피노자(Baruch de Spinoza, 1632-77) … 215
10.1. 스피노자의 실체 형이상학과 그에 대한 헤겔의 비판 … 216
10.2. “규정은 부정이다.” … 221
10.3. 헤겔은 스피노자를 오해했는가? … 224
11. 외팅어(Friedrich Christoph Oetinger, 1702-82) … 227
11.1. 헤겔은 외팅어의 저술들을 읽고 그것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는가? … 229
11.2. 정신의 물체화?[육체화, 구체화(具體化), 체현(體現)] … 235
11.3. 라이프니쯔와의 대결로부터의 생 개념의 출현 … 236
11.4. 외팅어의 생 사상과, 완전한 것(체계, 전체)으로서의 참(진실, 진리) … 240
11.5. 인텐숨(Intensum)과 유기적 생 및 유기적 사유 … 244
11.6. 외팅어와 헤겔의 유사성: 정신의 물질화, 정신의 전개 … 245
12. 칸트(Immanuel Kant, 1724-1804) … 247
12.1. 선험적 종합판단과 칸트의 변증적 사유 … 247
12.2. [정험적 분석론]에서의 종합 … 251
12.3. [선험적 변증론]에서 나타나는 변증적 사유 … 257
13. 횔더린(Johann Christian Friedrich Holderlin, 1770-1843) … 265
13.1. 횔더린과 헤겔의 관계(친근성) … 265
13.2. 횔더린의 통일철학과 단편 “Urteil und Sein” … 266
13.3. 횔더린의 문서 “Urteil und Sein”이 헤겔에게 미친 영향 … 276
14. 피히테(Johann Gottlieb Fichte, 1762-1814) … 279
14.1. 『전 학문론의 기초』에 나타난 변증적 사상 … 279
14.2. 『자연법의 기초』에 나타난 변증적 사상 … 285
14.3. 후기 종교론에 나타난, 자아와 절대자의 통일 사상 … 289
15. 쉘링(Friedrich Wilhelm Joseph Schelling, 1775-1854) … 293
15.1. 피히테와 쉘링의 차이 … 293
15.2. 절대자 안의 동일성: 동일철학 … 296
15.3. 쉘링 변증법의 전개 … 298
15.4. 자연철학과 정신철학(정험철학) … 302

III.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1831)의 변증적 사유의 전개 … 307
1. 생?[Leben] … 309
1.1. 생동적(生動的)인 것으로서의 생[Leben als Lebendiges] … 310
1.2. 생명과정으로서의 생[Leben als Lebensprozeß] … 313
1.3. 유(類)로서의 생[Leben als Gattung] … 317
1.4. 삶(목숨)으로서의 생[Leben als Leben] … 320
2. 사랑?[Liebe] … 323
3. 정신?[Geist] … 327
3.1. “나는 우리, 우리는 나”로서의 정신 … 328
3.2. 절대정신으로서의 신의 변증적 전개 … 331
4. 진무한과 위(악)무한 … 347
4.1. 추상(抽象)과 구체(具體) … 347
4.2. 추상적 동일성과 구체적 동일성, 추상적 자기의식과 구체적 자기의식(의 명제) … 348
5. 실체?(實體)?[Substanz]와 주체(主體)?[Subjekt]로서의 절대자 … 351
5.1. 『정신현상학』 [서문]에서의 자기(自己)[Selbst] … 351
5.2. 실체와 주체의 의미 … 353
5.3. 자기(自己)와 정신(精神)[Geist] … 361
6. 대상의식과 자기의식의 변증법 … 367
6.1. 대상의식과 자기의식 … 367
6.2. 의식의 진리로서의 자기의식 … 368
6.3. 추상적인 자기의식과 구체적인 자기의식 … 369
6.4. 욕망의 발생과 욕망의 변증법 … 370
7. 인정의 변증법 … 377
7.1. 욕망의 좌절과 새로운 욕망대상의 등장 … 377
7.2. 대타적 자기의식과 인정 … 380
7.3. 인정과 욕망 … 383
7.4. 순수 인정 개념과 정신 개념의 형성: 두 자기의식의 이론적 통일 … 384
7.5. 인정과 사랑 … 386
7.6. 인정운동의 현실적 전개 … 388
7.7. 인정투쟁과 자유의 실현 … 392
7.8. 인정투쟁의 결과: 불평등한 인정의 성립(자립적인 자기의식과 비자립적인 자기의식) … 393
7.9. 자립적인 자기의식[주인]과 비자립적인 자기의식[노예] … 397
7.10. 몇 가지 문제점 … 401
8. 지성(반성)과 이성(사변)의 변증법 … 405
8.1. 헤겔에서의 반성 … 407
8.2. 헤겔에서의 사변 … 411
9. 개념과 현실의 통일로서의 이념(이성) … 419
9.1. 이념?[Idee]과 이성[Vernunft] … 419
9.2. “이성적인 것, 그것은 진정한 것이고, 진정한 것, 그것은 이성적인 것이다.” … 422
10. 시원(始原)의 변증법: ‘있음-없음-됨(유-무-성)[Sein-Nichts-Werden]’ … 425
10.1. “(순수)존재는 (순수)무다.” … 425
10.2. ‘있음-없음-됨(유-무-성)[Sein-Nichts-Werden]’: 세 종류의 ‘됨[Werden]’ … 429
11. 가정 ? 시민사회 ? 국가의 변증법 … 439
12. 이성(동일)과 정열(구별)의 변증법 … 449
12.1. 세계사의 궁극목적과 그 실현수단: 이성(理性)과 정열(情熱) … 449
12.2. 이성의 꾀[die List der Vernunft] … 450

IV. 헤겔 변증법과 헤겔 이후의 변증법의 대결 … 455
1. 관념변증법과 물질(자연)변증법 … 457
1.1. 맑스(Karl Heinrich Marx, 1818-1883)의 물질변증법 … 457
1.2. 엥엘스(Friedrich Engels, 1820-1895)의 자연변증법 … 480
2. 키에르케고르(Søren Aabye Kierkegaard, 1813-1855)의 실존변증법 … 497
2.1. 헤겔의 변증법은 양적 변증법이고 키에르케고르의 변증법은 질적 변증법인가? … 497
2.2 체계(전체)에 대한 비판: 개체(개별자, 단독자)와 보편자 … 499
2.3. 헤겔의 진리관과 키에르케고르의 진리관: 주체(성)의 변증법: “참된 것은 주체다.” 헤겔사유에 대한 반발 … 503
2.4. 실존의 3단계설: 실존의 제 단계에 나타난 변증적 사유와 헤겔 사상과의 유사성 … 507
3. 아도르노(Theodor Ludwig Wiesengrund Adorno, 1903-1969)의 부정변증법 … 515
3.1. 부정변증법이란 무엇인가? … 515
3.2. 동일성에 대한 아도르노의 견해 … 518
3.3. 헤겔 변증법에서 ‘부정의 부정’은 긍정인가? … 525
3.4. 변증적 진행과정은 발전의 과정이 아닌가? … 528
3.5. “참된 것은 완전한 것이다”라는 헤겔의 명제에 대한 아도르노의 해석에 대한 평가 … 529
3.6. 맺는 말 … 533

V. 헤겔 변증법의 쟁점 및 평가 … 535
1. 모순과 변증법: 헤겔의 변증법은 모순율을 부정하는가? … 537
1.1. 모순율과 동일률 … 539
1.2. 헤겔의 변증적 사유와 모순론 … 541
1.3. 헤겔 및 헤겔 비판자들의 오류 … 549
1.4. 맺는말 … 551
2. 헤겔 변증법과 Triade의 신화(神話) … 553

참고문헌 … 561
찾아보기 … 589

저자 소개1

白薰承

총신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한신대 신학과 대학원을 중퇴한 뒤 전북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그 후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을 거쳐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Nordrhein-Westfalen)주 정부 장학생으로 지겐(Siegen) 대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하고 헤겔에 있어서의 자기의식과 욕망의 문제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1999년 지겐 대학교 연구상[Studienpreis]을 수상하였다. 현재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이며, 범한철학회 회장·대한철학회 부회장·한국헤겔학회 부회장을 역임했고 한국 헤겔학회 편집위원, 국제헤겔연맹[Interna
총신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한신대 신학과 대학원을 중퇴한 뒤 전북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그 후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을 거쳐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Nordrhein-Westfalen)주 정부 장학생으로 지겐(Siegen) 대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하고 헤겔에 있어서의 자기의식과 욕망의 문제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1999년 지겐 대학교 연구상[Studienpreis]을 수상하였다. 현재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이며, 범한철학회 회장·대한철학회 부회장·한국헤겔학회 부회장을 역임했고 한국 헤겔학회 편집위원, 국제헤겔연맹[Internationale Hegel-Vereinigung]·국제헤겔학회[Internationale Hegel-Gesellschaft]·미국 헤겔학회[The Hegel Society of America] 회원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서양근대철학이며 저서로는 『자기의식과 욕망. 헤겔에 있어서의 욕망의 구조·발생·전개에 관한 연구』(Selbstbewußtsein und Begierde. Eine Untersuchung zur Struktur, Entstehung und Entwicklung der Begierde bei Hegel, Peter Lang, 2002)와 『피히테의 자아론: 피히테 철학 입문』(신아출판사, 2004), 『칸트와 독일관념론의 자아의식 이론』(서광사, 2013)(2014 세종도서 선정), 『철학입문』(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헤겔 『법철학 강요』 해설: 〈서문〉과 〈서론〉』(서광사, 2016), 『서양근대철학』(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누가 추상적으로 사유하는가?』(서광사, 2017)이 있고, 역서로는 『시간과 시간의식』(간디서원, 2006), 『피히테, 쉘링, 헤겔』(인간사랑, 2008)이 있다.
논문으로는 「존재론적 신 존재 증명에 관한 칸트와 헤겔의 견해」, “Selbstidentitat und Anerkennung bei Ch. Taylor und Hegel”(Hegel-Jahrbuch, Berlin, 2009), 「헤겔과 사변적 진술: 헤겔 『정신현상학』 서문 §§ 58~66의 분석과 비판」, 「역사와 발전」, 「피히테와 Tathandlung」, 「헤겔 『논리학』 〈존재론〉에서의 ‘Werden’의 문제」, 「칸트의 무한판단론 고찰」, 「헤겔 『법철학』에서의 Gewissen의 문제」, 「인간사에 필연적인 사건은 존재하는가?」 등 다수가 있다.

백훈승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04월 20일
판형
반양장 ?
쪽수, 무게, 크기
600쪽 | 1058g | 174*243*35mm
ISBN13
9788930623537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37,800
1 37,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