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이방인이 본 조선의 풍경
개정3판
신복룡
집문당 2022.04.30.
가격
22,000
22,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다시 쓰는 개정판 서문
글을 시작하며 : 초판 서문?
1. 바다를 버려 나라를 잃었다 - 전사戰士는 푸대접받고, 문민文民이 의기양양한 나라 (하멜, 『하멜표류기』, 1668)
2. 조선은 황금이 넘쳐나는 나라 - 왜곡된 견문기가 약탈심을 부추기다 (뒤 알드, 『조선전』, 1741)
3. 서세동점기의 교두보 ‘서해 5도’의 풍물 - 나폴레옹 황제도 오고 싶어 했던 땅 (홀, 『조선서해탐사기』, 1818)
4. 단순한 도굴범이 아닌 문화인류학자로서의 조선 견문기 - 한국인의 혈통에 깊은 관심 기울여 (오페르트, 『금단의 나라 조선』, 1880)
5. 일본을 알려거든 조선을 먼저 보라 - 일본을 사랑했던 반식민지사학자의 한국관 (그리피스, 『은자의 나라 한국』, 1882)
6. 조선은 자주국인가, 봉신국인가 - 풍운의 한말에서 두 논객의 충돌 (데니, 『청한론』, 1888/ 묄렌도르프, 『청한종속론』, n.d.)
7. 단백질 섭취량이 세계를 지배한다 - 영국인들의 궁극적 관심은 자원 탐사 (칼스, 『조선풍물지』, 1888/ 켐프, 『조선의 모습』, 1911)
8. 젊은이의 나태함이 망국을 부른다 - 한국은 러시아의 먹이가 될 것이다 (길모어, 『서울풍물지』, 1892)
9. 한반도는 다민족의 혼혈 사회 - 문화인류학자의 붓으로 그린 ‘고요하지 않은 아침의 나라’ (새비지-랜도어,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 1895)
10. 한국인은 나라 밖에서 성공하는 민족 - 기생충 같은 관리가 조국을 등지도록 만들어 (비숍,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 1897)
11. 한국 여성 개화사의 큰 별, 언더우드 여사 - 명성황후 어의御醫의 눈에 비친 조선 (언더우드, 『상투의 나라』, 1904)
12. 조선의 인정人情이 산업화를 막는다 - 지도층의 부패와 미국의 배신이 망국을 불러 (헐버트, 『대한제국멸망사』, 1906)
13. 조선은 우상의 나라가 아니다 - 순교가 미덕이라는 위험한 사고를 경계 (알렌, 『조선견문기』, 1908)
14. 조선의 지배층에게 망국의 책임을 묻는다 - 영국 『데일리 메일』 기자가 본 망국의 전야 (매켄지, 『대한제국의 비극』, 1908/ 『한국의 독립운동』, 1920)
15. 한글은 가장 과학적이고 쉬운 문자 - 최초의 한영사전을 편찬한 문서 선교의 개척자 (게일, 『전환기의 조선』, 1909)
16. 어린이가 우는 사회는 행복하지 않다 - 뿌리 깊은 남아 선호와 아동 학대의 나라 (와그너, 『한국의 아동 생활』, 1911)
17. 무저항 투쟁으로 독립을 얻은 나라는 없다 - 비분강개만이 애국은 아니다 (켄달, 『한국 독립운동의 진상』, 1920)
18. 조선은 중립화가 살길이다 - 대한제국의 망국을 지켜본 미국의 마지막 고문 (샌즈, 『조선비망록』, 1930)
19. 한국은 스스로 일어서야 한다 - 한국의 희망은 젊은이들뿐 (드레이크, 『일제 시대의 조선 생활상』, 1930)
20. 나라가 망하니 짐승들도 죽어가누나 - 한반도의 생태계 연구라는 이름의 남획자 (베리만, 『한국의 야생 동물지』, 1938)
21. 《해제》 서세동점기의 서구인과 한국인의 상호 인식
찾아보기

저자 소개1

申福龍

정치학자이자 인물 연구가.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동(同) 대학원을 수료하고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와 중앙도서관장, 대학원장, 석좌교수(1979~2012)를 지냈다.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회장(1999~2001), 미국 조지타운 대학교의 객원 교수(1985~1986)를 지내고, 독립유공자서훈심사위원(장)(1999~2023)을 역임했다. 저서로 『한국분단사 연구 : 1943-1953』(한울, 2001, 한국정치학회 저술상 수상) 『이방인이 본 조선 다시 읽기』(풀빛, 2002) 『한국정치사』(박영사, 2003, 5판) 『대동단실기』(선인, 20
정치학자이자 인물 연구가.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동(同) 대학원을 수료하고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와 중앙도서관장, 대학원장, 석좌교수(1979~2012)를 지냈다.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회장(1999~2001), 미국 조지타운 대학교의 객원 교수(1985~1986)를 지내고, 독립유공자서훈심사위원(장)(1999~2023)을 역임했다.

저서로 『한국분단사 연구 : 1943-1953』(한울, 2001, 한국정치학회 저술상 수상) 『이방인이 본 조선 다시 읽기』(풀빛, 2002) 『한국정치사』(박영사, 2003, 5판) 『대동단실기』(선인, 2004) 『동학사상과 갑오농민혁명』(선인, 2006) 『The Politics of Separ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1943-1953 (Edison, NJ : Jimoondang, 2008)』 『한국정치사상사』(지식산업사, 2011, 한국정치학회 인재(仁齋)저술상 수상) 『전봉준 평전』(들녘, 2019) 『한국사에서의 전쟁과 평화』(선인, 2021) 『잘못 배운 한국사』(집문당, 2022) 『이방인이 본 조선의 풍경』(집문당, 2022) 등이 있다.

역서로 『외교론』(H. Nicolson, Diplomacy, 1979) 『군주론』(N. Machiavelli, The Prince , 1980) 『칼 마르크스』(I. Berlin, Karl Marx , 1982) 『모택동 자전』(E. Snow, Red Star over China : Genesis of A Communist , 1985) 『묵시록의 4기사』(E. Penchef, Four Horsemen, 1988) 『한국분단보고서』(1992, 공역) 『현대정치사상』(L. P. Baradat, Political Ideologies, 1995, 공역) 『정치권력론』(C. E. Merriam, Political Power, 2006) 『입당구법순례행기』(옌닌, 2007) 『임동(하야시 다다쓰) 비밀회고록』(2007, 공역) 『한말외국인기록』 전23권(2018, 일부 공역) 『삼국지』 전5권 (집문당, 2021)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전5권 (을유문화사, 2021) 『한국분단보고서』 전3권(2023, 일부 공역) 『신·구약 성경 : 교감』(Naver/blog/shinbokryong=신복룡 성경, 2023) 등이 있다.

신복룡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04월 30일
쪽수, 무게, 크기
322쪽 | 153*225*30mm
ISBN13
9788930319270

출판사 리뷰

사람들은 자신이 자신을 가장 잘 안다고 자부하지만 꼭 그런 것도 아니다. 원시인들이 살던 동굴은 남향받이였음에도 불구하고 그곳에서 날이 밝으니까 동굴의 남쪽 입구가 동쪽인 줄 알고 살았다. 베이컨(Francis Bacon)은 이를 “동굴 속에 사는 사람의 편견”(idola specus)라고 이름 지었다. 그런 편견이 어찌 원시인뿐이었겠는가? 첨단 과학의 시대에 사는 현대인에게도 그러한 편견은 허다하게 있다.

학문의 분야에서 이러한 편견으로 가장 오염된 분야가 역사학이다. 백내장과 같은 주자학적 중화주의로 한국사는 이미 시력을 잃었다. 여기에 더하여 지역감정과 종교적 근본주의 그리고 문중(門中) 사학까지 덮쳐 한국사가 시좌를 잃은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역사학은 사료를 기초로 하지만 마치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조선왕조실록』에 중국의 『25사』나 문중 기록으로 한국사를 다 풀어낼 수 있는 대상이라고 안일하게 생각한 데에서부터 사관과 역사의 시좌(視座)가 어긋나기 시작했다.

국사학의 연구 방법이나 사료 대상에서 서양 사료를 보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전의 일이 아니다. 2020년에 현대아산정책연구소의 정례 서평회에서 거론된바, 곧 “한국 개화사의 연구사는 신복룡(건국대학교)의 『한말 외국인 기록』 전 23권이 발행된 이전과 이후로 시대 구분을 해야 한다.”는 한 소장 학자의 주장은 역자로서는 듣기에 민망한 과찬이었지만 작은 파문을 일으킨 자기 고백이었을 것이다.

이 책은 1974년에 육영공원(育英公院) 교사였던 헐버트(Homer B. Hulbert)의 『대한제국멸망사』가 초판된 이래 2000년에 경성제국대학 영문학 교수 드레이크(Henry B. Drake)의 『일제 시대의 조선 생활상』이 나오기까지 26년에 걸쳐 신복룡 교수가 23권의 외국인이 한국사를 주석한 후속 작업으로서의 해제본이다. 이 23권의 전집이 가지는 사료적 가치는, 우리 근대사(외교사)에서 공백으로 남아 있는 “저쪽의 기록”을 살펴본다는 데 의미가 있다. 여기에 소개된 23권의 책과 필자는 한국 근대사의 현장을 목격한 증인들이기에 이들을 통하여 우리는 그 시대의 역사를 입체화할 수 있다. 우리의 역사를 우리만의 기록으로 쓰던 외눈박이 역사학의 시대는 이미 저물었다.

이 책은 『전집』이 출판된 지 2년 뒤에 출간된 『이방인이 본 조선 다시 읽기』(2002)의 전정 개정판이다. 『전집』은 26년의 긴 기간에 걸쳐 출판되면서 곡절도 많아 세 개의 출판사를 거쳐 집문당 판본으로 완결되었다. 이에 따라 그동안에 보충한 자료를 토대로 쓴 전정 개정 3판으로, 현장감을 살리고자 원본에 따라 일부는 컬러판으로 찍었다. 이로써, “아무리 훌륭한 책도 3판이 나오기 전에는 완전하다고 자신할 수 없다.”는 번역자의 꿈을 이루게 되었다.

이제 시대는 세계화의 거친 격랑을 맞고 있다. 따라서 국사학도 그 시좌를 넓혀야 하며, 그러한 대세에 한말 외국인 기록의 『전집』과 이 해제본이 한국사의 새 지평을 여는 데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이 해제본은 번역본에서 미처 다루지 못했던 서지학적 보론(補論)과 서구중심주의와 백색우월주의로 왜곡된 그 시대의 한국사 교과서의 시비곡직을 다루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 해제본은 결코 『한말외국인기록』 23권의 선전용이 아니다.

이 책은 『전집』에 수록된 23권의 책을 다루고 있는데, 참고로 제시하자면, 그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바다를 버려 나라를 잃었다”/ 하멜(H. Hamel), 『하멜표류기』(1668)
(2) “조선은 황금이 넘쳐나는 나라”/ 뒤 알드(Du Halde), 『조선전』(1741)
(3) “서세동점기의 교두보 ‘서해 5도’의 풍물”/ 홀(Basil Hall), 『조선서해탐사기』(1818)
(4) “단순한 도굴범이 아닌 문화인류학자로서의 조선 견문기”/ 오페르트(Ernst J. Oppert), 『금단의 나라 조선』(1880)
(5) “일본을 알려거든 조선을 먼저 보라”/ 그리피스(W. E. Griffis), 『은자의 나라 한국』(1882)
(6) “조선은 자주국이다”/ 데니(O. N. Denny), 『청한론』(1888)
(7) “조선은 봉신국이다”/ 묄렌도르프(Von Moellendorff), 『청한종속론』(n.d.)
(8) “단백질 섭취량이 세계를 지배한다”/ 칼스(William Carles), 『조선풍물지』(1888)
(9) “어머니를 연상케 하는 수채화들”/ 켐프(E. G. Kemp), 『조선의 모습』(1911)
(10) “젊은이의 나태함이 망국을 부른다”/ 길모어(George Gilmore), 『서울풍물지』(1892)
(11) “한반도는 다민족의 혼혈 사회”/ 새비지-랜도어(Savage-Landor),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1895)
(12) “한국인은 나라 밖에서 성공하는 민족”/ 비숍(I. B. Bishop),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1897)
(13) “한국 여성 개화사의 큰 별, 언더우드 여사”/ 언더우드(L. Underwood), 『상투의 나라』(Boston, 1904)
(14) “조선의 인정(人情)이 산업화를 막는다”/ 헐버트(H. B. Hulbert), 『대한제국멸망사』(1906)
(15) “조선은 우상의 나라가 아니다”/ 알렌(H. N. Allen), 『조선견문기』(1908)
(16) “조선의 지배층에게 망국의 책임을 묻는다”/ 매켄지(F. A. McKenzie), 『대한제국의 비극』(1908)
(17) “너희가 일본을 아느냐?”/ 매켄지(F. A. McKenzie), 『한국의 독립 운동』(1919)
(18) “한글은 가장 과학적이고 쉬운 문자”/ 게일(James S. Gale), 『전환기의 조선』(1909)
(19) “어린이가 우는 사회는 행복하지 않다”/ 와그너(E. Wagner), 『한국의 아동 생활』(1911)
(20) “무저항 투쟁으로 독립을 얻은 나라는 없다”/ 켄달(C. W. Kendal), 『한국 독립운동의 진상』(1919)
(21) “조선은 중립화가 살길이다”/ 샌즈(W. F. Sands), 『조선비망록』(1930)
(22) “한국은 스스로 일어서야 한다”/ 드레이크(H. B. Drake), 『일제 시대의 조선 생활상』(1930)
(23) “나라가 망하니 짐승들도 죽어가누나”/ 베리만(S. Berman), 『한국의 야생 동물지』(1938)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2,000
1 2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