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제1장 왜 체육사를 공부하는가?
1.1. 과거는 흘러갔다 1.2.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 1.3. 역사의 주요 영역 1.4. 그렇다면 체육사를 공부하는 의미는? 1.5. 이 책의 구성 제2장 세계 체육의 간략한 역사 2.1. 그것이 과연 스포츠일까? 2.2. 근대 이전의 스포츠 2.3. 근대 스포츠의 성립 2.4. 경쟁으로서의 스포츠 2.5. 경쟁을 넘어서 2.6. 현재와 미래 제3장 같은 민족, 다른 신분: 근대 이전의 교육과 체육 3.1. 체육을 배우는 이유 3.2. 전근대사회와 근대사회 3.3. 우리 체육의 시작은 언제일까? 3.4. 전근대사회의 교육기구 3.5. 전근대사회의 체육 3.6. 전근대사회에서 체육이란? 제4장 몸으로 근대를 만나다: 근대적 학교의 발전과 체육 교과목의 도입 4.1. 우리가 학교를 다니는 이유는? 4.2. 근대적 학제의 도입과 변화 4.3. 근대학교에서의 체육교육 제5장 유순한 신민 만들기: 일제강점기와 독재정권 시기의 교육과 체육 5.1. 이란성 쌍생아, 일제와 독재정권 5.2. 광복이 되어 변화는 있었지만 5.3. 여전히 변하지 않은 것들 5.4. 독재와 체육의 만남 제6장 전인적 인간을 향하여: 민주화 시대의 학교체육 6.1. 모두가 교육을 열망하는 사회 6.2. 교육개혁을 향한 여정 6.3. 교육개혁은 실패했지만 6.4. 학교교육은 어떻게 달라졌는가? 6.5. 그렇다면 체육은? 6.6. 체육의 미래를 지키려면 제7장 스포츠와 만나다: 구한말 근대 스포츠의 도입 7.1. 근대의 상징으로서의 스포츠 7.2. 근대 스포츠의 도입 7.3. 미디어 스포츠에 주목하다 7.4. 엘리트 스포츠에 빠지다 7.5. 스포츠, 민족주의와 만나다 7.6. 여성의 스포츠 참여 7.7. 근대 스포츠 도입기 스포츠의 의미 제8장 저항으로서의 스포츠: 일제강점기의 한국 스포츠 8.1. 스포츠와 저항 8.2. 일제강점기의 시작과 한국 스포츠의 변화 8.3. 저항으로서의 스포츠 8.4. 고개 숙인 손기정과 남승룡: 저항의 결실 8.5. 제2차 세계대전과 스포츠의 침체 8.6. 일제강점기 스포츠의 유산 제9장 경쟁으로서의 스포츠: 냉전체제하의 한국 스포츠 9.1. 스포츠와 경쟁 9.2. 냉전체제의 성립과 남북 경쟁의 시작 9.3. 남북 스포츠 경쟁의 심화 9.4. 운동선수 전문가가 되다 9.5. 남북 간 경쟁체제의 쇠퇴 9.6. 관람 스포츠의 대두 제10장 세계로 뻗어 나가는 한국 스포츠 10.1. 라면과 햄버거 10.2. 스포츠 약소국에서 스포츠 강국으로 10.3. 세계 스포츠 무대로의 진입 10.4. 스포츠에서 국경의 붕괴 10.5. 패러다임의 전환? 10.6. 한국 스포츠의 미래 제11장 모두를 위하지 않았던 스포츠 11.1. 빼앗긴 운동장, 빼앗긴 스포츠 11.2. 팔방미인 엘리트, 학생 11.3. 모두가 학생이 되고 보니 11.4. 피로사회 11.5. 그래도 스포츠를 즐겼던 사람들 11.6. 새로운 종목의 탄생? 11.7. 욕구와 현실의 불일치 시대 제12장 스포츠 관람, 여가가 되다 12.1. 그들은 왜 한국 야구를 보았을까? 12.2. 텔레비전에 스포츠 경기가 나오다 12.3. 스포츠 경기장으로 떠나는 여행 12.4. 팬덤과 민족주의 사이에서 제13장 시민, 운동에 빠지다 13.1. 운동을 하는 사람들 13.2. 하는 스포츠의 태동 13.3. 비만과 웰빙 13.4. 스포츠팬, 민족주의를 넘어서다 13.5. 하는 스포츠의 폭발 13.6. 스포츠, 인권이 되다 13.7. 모두를 위한 스포츠를 향해 제14장 정신력과 훈련시간에 의존하던 한국체육 14.1. 개 요 14.2. 스포츠에서 가장 중요한 체력은 정신력? 14.3. 과훈련의 생리적 · 심리적 영향 14.4. 훈련에 과학을 더하다 제15장 스포츠와 과학기술의 결합 15.1. 개 요 15.2. 사물인터넷 15.3. 빅데이터 15.4. 인공지능 15.5. 실감 콘텐츠 환경 구현 응용기술 |
정준영의 다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