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한국 체육사
도서+워크북
베스트
예체능/문화/기타 계열 top100 15주
가격
16,200
16,2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제1장 왜 체육사를 공부하는가?
1.1. 과거는 흘러갔다
1.2.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
1.3. 역사의 주요 영역
1.4. 그렇다면 체육사를 공부하는 의미는?
1.5. 이 책의 구성


제2장 세계 체육의 간략한 역사
2.1. 그것이 과연 스포츠일까?
2.2. 근대 이전의 스포츠
2.3. 근대 스포츠의 성립
2.4. 경쟁으로서의 스포츠
2.5. 경쟁을 넘어서
2.6. 현재와 미래


제3장 같은 민족, 다른 신분: 근대 이전의 교육과 체육
3.1. 체육을 배우는 이유
3.2. 전근대사회와 근대사회
3.3. 우리 체육의 시작은 언제일까?
3.4. 전근대사회의 교육기구
3.5. 전근대사회의 체육
3.6. 전근대사회에서 체육이란?


제4장 몸으로 근대를 만나다: 근대적 학교의 발전과 체육 교과목의 도입
4.1. 우리가 학교를 다니는 이유는?
4.2. 근대적 학제의 도입과 변화
4.3. 근대학교에서의 체육교육


제5장 유순한 신민 만들기: 일제강점기와 독재정권 시기의 교육과 체육
5.1. 이란성 쌍생아, 일제와 독재정권
5.2. 광복이 되어 변화는 있었지만
5.3. 여전히 변하지 않은 것들
5.4. 독재와 체육의 만남


제6장 전인적 인간을 향하여: 민주화 시대의 학교체육
6.1. 모두가 교육을 열망하는 사회
6.2. 교육개혁을 향한 여정
6.3. 교육개혁은 실패했지만
6.4. 학교교육은 어떻게 달라졌는가?
6.5. 그렇다면 체육은?
6.6. 체육의 미래를 지키려면


제7장 스포츠와 만나다: 구한말 근대 스포츠의 도입
7.1. 근대의 상징으로서의 스포츠
7.2. 근대 스포츠의 도입
7.3. 미디어 스포츠에 주목하다
7.4. 엘리트 스포츠에 빠지다
7.5. 스포츠, 민족주의와 만나다
7.6. 여성의 스포츠 참여
7.7. 근대 스포츠 도입기 스포츠의 의미


제8장 저항으로서의 스포츠: 일제강점기의 한국 스포츠
8.1. 스포츠와 저항
8.2. 일제강점기의 시작과 한국 스포츠의 변화
8.3. 저항으로서의 스포츠
8.4. 고개 숙인 손기정과 남승룡: 저항의 결실
8.5. 제2차 세계대전과 스포츠의 침체
8.6. 일제강점기 스포츠의 유산


제9장 경쟁으로서의 스포츠: 냉전체제하의 한국 스포츠
9.1. 스포츠와 경쟁
9.2. 냉전체제의 성립과 남북 경쟁의 시작
9.3. 남북 스포츠 경쟁의 심화
9.4. 운동선수 전문가가 되다
9.5. 남북 간 경쟁체제의 쇠퇴
9.6. 관람 스포츠의 대두


제10장 세계로 뻗어 나가는 한국 스포츠
10.1. 라면과 햄버거
10.2. 스포츠 약소국에서 스포츠 강국으로
10.3. 세계 스포츠 무대로의 진입
10.4. 스포츠에서 국경의 붕괴
10.5. 패러다임의 전환?
10.6. 한국 스포츠의 미래


제11장 모두를 위하지 않았던 스포츠
11.1. 빼앗긴 운동장, 빼앗긴 스포츠
11.2. 팔방미인 엘리트, 학생
11.3. 모두가 학생이 되고 보니
11.4. 피로사회
11.5. 그래도 스포츠를 즐겼던 사람들
11.6. 새로운 종목의 탄생?
11.7. 욕구와 현실의 불일치 시대


제12장 스포츠 관람, 여가가 되다
12.1. 그들은 왜 한국 야구를 보았을까?
12.2. 텔레비전에 스포츠 경기가 나오다
12.3. 스포츠 경기장으로 떠나는 여행
12.4. 팬덤과 민족주의 사이에서


제13장 시민, 운동에 빠지다
13.1. 운동을 하는 사람들
13.2. 하는 스포츠의 태동
13.3. 비만과 웰빙
13.4. 스포츠팬, 민족주의를 넘어서다
13.5. 하는 스포츠의 폭발
13.6. 스포츠, 인권이 되다
13.7. 모두를 위한 스포츠를 향해


제14장 정신력과 훈련시간에 의존하던 한국체육
14.1. 개 요
14.2. 스포츠에서 가장 중요한 체력은 정신력?
14.3. 과훈련의 생리적 · 심리적 영향
14.4. 훈련에 과학을 더하다


제15장 스포츠와 과학기술의 결합
15.1. 개 요
15.2. 사물인터넷
15.3. 빅데이터
15.4. 인공지능
15.5. 실감 콘텐츠 환경 구현 응용기술

저자 소개2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대중음악의 사회학적 일연구>로 석사학위를, <조선후기 신분변동과 청자존대법 체계의 변화>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육과학대학 문화교양학과 교수이다 1980년대 사회 변혁기를 대학에서 보내며 문화가 사회의 변화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에 자연스럽게 관심 갖게 되었다. 결국 문화는 사회 변화를 안정화시키는 요소이자 새로운 변화의 싹을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는 생각에 이르렀다. 또 문화가 그 역할을 수행하는 데는 광범위한 대중들에게 하나의 문화 형태를 널리 확산시킬 수 있는 대중 매체가 관건이 되리라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대중음악의 사회학적 일연구>로 석사학위를, <조선후기 신분변동과 청자존대법 체계의 변화>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육과학대학 문화교양학과 교수이다

1980년대 사회 변혁기를 대학에서 보내며 문화가 사회의 변화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에 자연스럽게 관심 갖게 되었다. 결국 문화는 사회 변화를 안정화시키는 요소이자 새로운 변화의 싹을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는 생각에 이르렀다. 또 문화가 그 역할을 수행하는 데는 광범위한 대중들에게 하나의 문화 형태를 널리 확산시킬 수 있는 대중 매체가 관건이 되리라 판단했다. 1990년대를 거치며 문화 형태에 대한 실제 비평을 통해 그 변화의 구체적 양상들을 점검해보고자 노력했다.

현재는 스포츠의 여러 측면들 중 특정 스포츠가 특정한 사회 집단들과 친화력을 갖게 되는 기제와 그 과정에서 대중 매체가 수행하는 역할 등을 밝히는 데 힘쓰고 있다.

저서로 《만화 보기와 만화 읽기》, 《열광하는 스포츠 은폐된 이데올로기》, 역서로 《사이버 에로스: 탈산업시대의 육체와 욕망》, 《스포츠, 그 열광의 사회학》 등이 있다.

정준영의 다른 상품

건양대학교 운동처방학과 졸업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스포츠과학과(석사 및 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육과학대학 생활체육지도과 교수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07월 25일
쪽수, 무게, 크기
352쪽 | 176*248*30mm
ISBN13
9788920043154

리뷰/한줄평1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10.0 한줄평 총점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
16,200
1 16,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