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한경무크 2022 AI 스타트업 100
K-유니콘 발굴 프로젝트
베스트
경영 top100 1주
가격
25,000
10 22,500
YES포인트?
1,25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상세 이미지

책소개

목차

006
PROLOGUE
‘코리아 AI 스타트업이 곧 글로벌
AI 스타트업’, 그날을 향해
008
METHOD
2022 AI 스타트업 100 평가 방법
및 심사위원 소개
014
REPORT
2021 선정 스타트업 결과 보고
018
INFOGRAPHIC
2022 코리아 AI 스타트업 100
리스트
020
MARKET
대한민국 AI 스타트업 트렌드
026
FOCUS
서범석 루닛 대표
안익진 몰로코 대표
이예하 뷰노 대표
032
TREND
국내 벤처캐피털의 AI 투자 방향
236
EPILOGUE
세계 속 코리아 AI 스타트업을 위해
세 개의 화살을 준비하자

네오사피엔스 038
노타 040
뉴로젠 042
뉴로핏 044
뉴빌리티 046
니어스랩 048
더화이트커뮤니케이션 050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 052
디오비스튜디오 054
딥바이오 056
딥브레인AI 058
딥엑스 060
딥핑소스 062
라이드플럭스 064
룰루랩 066
리벨리온 068
리턴제로 070
리플에이아이 072
마이셀럽스 074
마크비전 076
마키나락스 078
메디픽셀 080
모빌린트 082
베스텔라랩 084
베어로보틱스 086
보이저엑스 088
뷰메진 090
브이터치 092
비프로컴퍼니 094
빅인사이트 096
서울로보틱스 098
셀렉트스타 100
솔루게이트 102
수퍼빈 104
슈퍼브에이아이 106
스켈터랩스 108
스타일봇 110
스탠다임 112
스트라드비젼 114
스프링클라우드 116
시어스랩 118
신스타프리젠츠 120
쓰리빌리언 122
쓰리아이 124
씨앤에이아이 126
아이딕션 128
아이오크롭스 130
아카에이아이 132
악어디지털 134
알고리즘랩스 136
알세미 138
알지티 140
알티엠 142
애자일소다 144
액션파워 146
업스테이지 148
에덴룩스 150
에스투더블유 152
에어스메디컬 154
에이모 156
에이아이트릭스 158
에이젠글로벌 160
엑스엘에이트 162
오드컨셉 164
오브젠 166
온코소프트 168
올거나이즈 170
원프레딕트 172
웨이브릿지 174
인이지 176
인코어드테크놀로지스 178
인피닉 180
자비스앤빌런즈 182
제너레잇 184
제네시스랩 186
제노플랜코리아 188
커먼컴퓨터 190
케이웨더 192
코어라인소프트 194
콴다 196
크라우드웍스 198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 200
클라리파이 202
클레온 204
클로봇 206
토르드라이브 208
토모큐브 210
트웰브랩스 212
트위니 214
파운트 216
팜캐드 218
포지큐브 220
퓨리오사에이아이 222
프렌들리에이아이 224
한국축산데이터 226
휴레이포지티브 228
휴톰 230
히츠 232
튜링 234
Phantom AI 235

저자 소개3

AI One Team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경제신문은 미디어로서는 처음으로 AI경제연구소를 출범시켰다. AI경제연구소가 국가적 차원에서 시작한 프로젝트 중 하나가 AI 스타트업 100을 견인차로 한 혁신 생태계의 글로벌화다. 이를 이끄는 안현실 AI경제연구소장과 한국경제신문 스타트업부(김주완·김종우·안정락·최다은·고은이·이시은·허란), 통신 기업에서 AI 기업으로 대대적 변신을 선언한 KT의 KT경제경영연구소(박연익·김훈진·김도향·이진한·윤호정·김우현)가 집필에 참여했다. 이에 더해 AI One Team(허석준 KT경제경영연구소장·박연익 KT경제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김도향 KT경제경영연구소 책임연구원)과 선정위원장인
한국경제신문은 미디어로서는 처음으로 AI경제연구소를 출범시켰다. AI경제연구소가 국가적 차원에서 시작한 프로젝트 중 하나가 AI 스타트업 100을 견인차로 한 혁신 생태계의 글로벌화다. 이를 이끄는 안현실 AI경제연구소장과 한국경제신문 스타트업부(김주완·김종우·안정락·최다은·고은이·이시은·허란), 통신 기업에서 AI 기업으로 대대적 변신을 선언한 KT의 KT경제경영연구소(박연익·김훈진·김도향·이진한·윤호정·김우현)가 집필에 참여했다. 이에 더해 AI One Team(허석준 KT경제경영연구소장·박연익 KT경제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김도향 KT경제경영연구소 책임연구원)과 선정위원장인 이경전 경희대 교수가 AI 스타트업 평가 모델 개발에 착수해 전문성을 보탰으며, AI 스타트업 100 선정 심사위원 중 한 명으로 참여한 송은강 캡스톤파트너스 대표가 국내 벤처캐피탈의 AI 투자 방향을 제시했다.

한국경제신문 특별취재팀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경제신문과 한경 ESG 전문기자 14명으로 구성된 특별취재팀이 집필했다. ESG를 제도화하려는 세계 각국의 움직임과 새로 출범한 윤석열 정부의 ESG 정책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또한 ESG가 글로벌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어떻게 바꾸는지 주요 산업 생태계와 현황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여기에 ESG 투자 트렌드와 전문가의 생생한 제언까지 담았다. 이외에도 ESG 선도 기업 선배에게 배우는 노하우는 ESG 실무자에게 도움이 되는 필수 지침서다. 한국경제신문과 한경 ESG는 ESG 경영전략을 고민하는 CEO와 실무자는 물론 ESG 기업에 투자하려는 투자자에게도 최신 정보와
한국경제신문과 한경 ESG 전문기자 14명으로 구성된 특별취재팀이 집필했다. ESG를 제도화하려는 세계 각국의 움직임과 새로 출범한 윤석열 정부의 ESG 정책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또한 ESG가 글로벌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어떻게 바꾸는지 주요 산업 생태계와 현황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여기에 ESG 투자 트렌드와 전문가의 생생한 제언까지 담았다. 이외에도 ESG 선도 기업 선배에게 배우는 노하우는 ESG 실무자에게 도움이 되는 필수 지침서다. 한국경제신문과 한경 ESG는 ESG 경영전략을 고민하는 CEO와 실무자는 물론 ESG 기업에 투자하려는 투자자에게도 최신 정보와 인사이트를 전달한다.

한국경제신문 특별취재팀 의 다른 상품

KT경제경영연구소

관심작가 알림신청
 
KT경제경영연구소 - ICT 산업 진흥을 위해 경영전략, 사업전략, ICT 정책 등을 연구하는 KT그룹의 ‘Think Tank’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외 최신 ICT 트렌드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미래 환경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21세기 ICT 융합 시대를 맞아 대한 민국이 트렌드를 선도할 수 있도록 실행력 있는 비즈니스 전략과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등 국내 최고의 ‘ICT 전문 연구기관’으로 평가받는다. ICT 전문포털 디지에코(www.digieco.co.kr)를 통해 활발한 디지털 지식 공유에도 힘쓰고 있다.

KT경제경영연구소 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10월 18일
쪽수, 무게, 크기
244쪽 | 180*230*20mm
ISBN13
9791192522265

책 속으로

2022년의 평가 방식은 계량을 강조했다. 2020년 한경비즈니스와 ‘AI 스타트업 25’를 선정했던 경험에 기반해, 좀 더 시가총액 기반의 모델을 만들어 객관성을 높이려 했다. 그 기업이 유치한 직전투자액과 총투자액 정보를 구하고, 기업의 성장단계에 맞추어 현 시가총액을 추정했다. 투자 시 밸류에이션(Valuation)이 공개된 경우는 추정하지 않고, 그 정보를 그대로 사용했다.
---「2022 AI 스타트업 100 평가 방법」중에서

올해 코리아 AI 스타트업 100 프로젝트는 45개 기업을 새롭게 선정했고, 55개 기업을 재선정했다. 금융/보험 분야에서는 총 6개 기업 중 5개 기업(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 파운트,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 웨이브릿지, 에이젠글로벌)이 작년에 선정된 기업이다. 금융이라는 산업 도메인의 특수성 때문에 새로운 스타트업의 진입이 어려운 이유로 해석된다. AI프로세서 분야도 대부분 이미 선정된 업체(퓨리오사에이아이, 리벨리온, 딥엑스, 모빌린트)가 포진해 있다.
---「2021 선정 스타트업 결과 보고」중에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비교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약 10배 이상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시장조사 기관 리서치앤마켓에 따르면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2020년 1833억달러(약 217조원)에서 2027년 5000억달러(약 600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국내외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국내 AI 스타트업계에서도 디지털 헬스케어 업체들이 투자유치에 잇따라 성공하며, 본격적인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2022년 선정 기업으로 살펴본 대한민국 AI 스타트업 트렌드」중에서

“몰로코는 머신러닝 엔진을 중심으로 성과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돕는 광고 플랫폼입니다. 우선 몰로코 클라우드 DSP는 글로벌 시장에서 검증된 예측 모델인데요. 마케팅 캠페인 퍼포먼스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확장하고, 고가치의 유저를 확보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기업 예산에 맞춰 확장되는 퍼포먼스로 캠페인을 유연하게 계획하고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개인정보 규제에 의한 리스크는 최소화해 지속적인 퍼포먼스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구글·메타의 머신러닝 기술을 누구나 사용가능하게 만드는 몰로코」중에서

스트라드비젼이 개발하는 객체 인식 소프트웨어는 대단히 전문화된 영역의 제품이다. 전 세계적으로도 이 분야의 기술과 양산 경험을 갖춘 기업은 소수에 불과하다. 특히 AI 기반의 객체 인식 소프트웨어를 낮은 성능의 반도체에서 구현하는 기술은 스트라드비젼이 글로벌시장에서 갖추고 있는 가장 큰 경쟁력이라 할 수 있다.
---「스트라드비젼」중에서

앞으로는 팬데믹 이후 세계적 문제가 되고있는 사회적 감정 장애를 해결하는 데도 나설 계획이다. 아이들의 학습 성과 및 성장도를 인공지능 기반으로 분석할 수 있다는 점, 상황에 알맞은 회화에 대한 답변 제시 기능을 인공지능으로 개발했다는 점이 강점이다. 영어권 나라에 진출할 때 가장 자연스러운 영어 대화가 가능한 회화 엔진을 보유하고 있다. 영어 기반의 AI 대화 에이전트가 필요한 모든 산업군에 응용이 가능하다.

---「㈜아카에이아이」중에서

출판사 리뷰

아래 내용 중 한 개라도 해당한다면 지금 당장 필독!
▶ 유망 AI 스타트업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얻고 싶은 사람!
▶ AI 업계 트렌드와 전망을 한눈에 살펴보고 싶은 사람!
▶ VC 업계 현황 및 투자 트렌드가 궁금한 사람!
▶ AI 스타트업에 투자를 고려하고 있는 기업!
▶ 우리 기업과 거래할 고객사를 찾고 있는 기업!
▶ AI 스타트업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인사이트를 얻고 싶은 기업!

코리아 AI 스타트업 100 프로젝트


한국경제신문과 AI One Team은 매년 미래를 이끌어나갈 유망 AI 스타트업 100곳을 발굴·선정하고 있다. 대한민국 AI 스타트업을 발굴하여 AI 산업 분야 창업을 활성화하고, 기업 역량을 강화해 AI 혁신 생태계의 선진화를 조성하여 국가 AI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하는 ‘코리아 AI 스타트업 100’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대한민국 AI 스타트업을 발굴·선정하고 공개함으로써,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을 홍보하고 사업 정착을 지원하고자 함이다.

‘AI 스타트업 100’, 한국 경제를 이끌 새로운 영웅

AI는 모든 산업의 혁신 인프라로 가고 있다. 문제는 미국과 중국 간 공급망 재편 경쟁이 글로벌 혁신생태의 블록화로 전개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과 중국 간 AI 경쟁에서 한국이 주변국으로 전락할 것인가. 아니면 미국도 중국도 탐내는 전략적 파트너로 우뚝 설 것인가. 이런 절박한 물음들 앞에서 2022년 한국을 대표하는 AI 스타트업 100이 탄생했다. 한국경제신문과 AI원팀이 지난해에 이어 민간 주도로, 시장의 눈으로 엄격히 선정한 결과다. 경제학자 앨프리드 마셜은 “기업가는 중세시대의 기사(騎士)와 같다. 이들이 자본주의의 영웅이다”라고 했다. 지금은 중세시대가 아니라 AI시대다. AI 스타트업 100이 바로 한국 경제를 이끌어갈 새로운 영웅들이다. 2022 코리아 AI 스타트업 100을 보면 지난해에 이어 다시 선정된 기업이 55개, 새로운 얼굴로 등장한 기업이 45개다. 상장에 성공하거나 유니콘으로 올라서면서 영광스러운 졸업의 반열에 들어선 기업도 탄생했다. 한국 AI 스타트업의 역동성을 확인시켜주는 대목이다. 이들이 글로벌 대표기업으로 성장하려면 앞으로 숱한 난관을 넘어서야 한다. 한국을 대표하는 AI 스타트업이 홀로 싸우게 할 수는 없다. 미국, 중국에 버금가는 혁신생태계 구축이 AI 스타트업에 대한 정부와 국민의 화답이어야 한다.

CONTENTS

● METHOD


지난해에 이어 올해는 어떤 기준과 관점으로 주목할 AI 스타트업을 선정했을까. ‘2022 코리아 AI 스타트업 100’ 평가 방식과 심사위원 소개, 소감 등을 살펴본다.

● FOCUS

2021년에 선정된 AI 스타트업이 멘토가 되어 돌아왔다! 루닛, 몰로코 뷰노 CEO 인터뷰를 통해 예비·초기 창업자들에게 조언을 전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고민하는 이들에게는 인사이트를 제시한다.

● We are next UNICORN!

KT·LG전자·우리은행·KAIST 등이 참여한 국내 최대 산학연 AI 연구협력체 ‘KT AI원팀’이 선정한 AI 스타트업 100 핵심 기술 분석 현황과 비전을 담았다. 창업자의 경력과 창업 배경을 시작으로 비전 및 목표, 주요 제품 또는 서비스 핵심기술 등 국내 AI 스타트업의 모든 것을 분석했다. 투자 유치, 특허, 논문, 보고서 등 지식재산권 보유 현황은 물론 수상 이력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2,500
1 22,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