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005 프롤로그
012 기획의 시작, 생각 013 생각의 중요성 1 : Think Different vs Something Different의 차이 014 생각의 중요성 2 : 빌 게이츠의 ‘생각 주간(Think Week)’ 015 생각은 어떻게 탄생되는가? 017 생각의 차이 성공 사례 1 : 아기상어와 펭수 ‘눈높이 타깃팅과 SNS’ 022 생각의 차이 성공 사례 2 : 방탄소년단의 ‘팬덤+스토리+SNS’ 025 콘텐츠와 재미를 연결한 창조적 사례 : 포켓몬 콜라보 027 기획을 창의적으로 변화시키려면? 029 창의적 기획을 위해서는 통찰력이 가장 중요! 036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창조적 통찰력’ 049 글로벌 No 1. 콘텐츠를 기획하려면 052 글로벌 성공 콘텐츠를 만들려면? 053 콘텐츠기획의 기본, 개념과 프로세스 이해 057 콘텐츠기획 프로세스 060 콘텐츠기획 프로세스 062 2023년 경제 및 콘텐츠 산업 전망 065 지금은 스마트, 뉴미디어, 4차산업혁명의 융복합시대 067 스마트한 시대의 변화 071 미디어의 변화, 뉴미디어의 시대! 073 누구나 미디어가 되고 스타가 되는 시대 076 뉴미디어와 4차산업혁명시대의 연결 078 스마트한 연결 성공 사례 : 펭귄 내비와 보이스 오브 아트 081 현장에 답이 있다 082 시장조사 목적 085 시장조사 감각을 높이기 위한 연습 ‘신문보기’ 086 시장을 읽기 위해 보아야 할 것 3가지 088 타깃(목표고객) 분류 113 트렌드와 경쟁자 117 시장조사 절차 128 조사와 분석, 그리고 아이템의 선정 128 조사와 분석 129 아이템의 선정 131 아이템은 정보 137 일일정보 만들기 154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정보의 효율적 운영 159 아이템 선정 3가지 포인트 164 트랜디한 차별화, 아이디어 업그레이드 165 다양한 아이디어 발상법 169 나만의 아이디어 만들기 175 아이디어는 관찰에서 시작 179 아이디어를 만드는 가지 도구 192 지속성 강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 스토리두잉 193 세계적인 스토리 : 미키마우스와 해리포터 195 스토리텔링이란 196 스토리텔링 4요소 및 개발 4단계 198 스토리텔링 경영의 시대 205 스토리텔링 성공 사례 분석 : 빼빼로데이, 까스활명수, 비타민워터, 코카콜라 210 인구소멸의 시대, 지역을 살리는 스토리 214 스토리텔링을 넘어 스토리두잉으로 215 즐거운 기획과 마케팅 220 즐거운 기획을 위한 4가지 방법 227 콘텐츠기획의 성공과 실패 229 성공하는 콘텐츠기획 노하우 232 기획의 기초 만들기 233 기획 캘린더 만들기 238 마케팅의 개념 및 목표 239 마케팅 기획 프로세스 “3C → STP → 4P & 4C” 240 마케팅 기획 프로세스 1단계 : 3C 분석 212 마케팅 기획 프로세스 1단계 : SWOT 분석 244 마케팅 기획 프로세스 1단계 : BCG 매트릭스 245 마케팅 기획 프로세스 2단계 : STP 분석 248 마케팅 기획 프로세스 3단계 : 4P분석 252 마케팅 기획 프로세스 3단계 : 4C 분석 255 설득력 있는 기획서 작성법 255 서 어떻게 작성할 것인가? 256 기획서 유형에 따라 목표 차별화 257 기획서 종류와 작성법 262 기획서를 작성할 때 유의할 점 263 기획서 작성을 위한 기획 배경 분석 268 기획서 작성을 위한 가설 설정 272 기획서 컨셉 잡기 277 기획서 전략 프로세스 수립 278 기획서 작성을 위한 실행계획 체크 281 기획서 구성 및 포인트 284 기획서 편집 방향과 키워드 정리 285 기획서, 제목과 목차로 승부 280 기획서 레이아웃 차별화 291 표지 및 내지 차별화 293 기획서 서식 294 기획서 작성 순서 및 1장 가이드 297 삼성기획서 작성 비법 8가지 298 기획서 작성 사례 |
노동형의 다른 상품
문화 콘텐츠는 사회가 발전할수록 사람들이 일상을 통해 받은 스트레스를 풀고, 재충전하기 위해 더욱 문화에 열중하게 되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래서 21세기 고부가가치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국내외적으로 경쟁이 치열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에서는 콘텐츠시장 선점을 위해 지원 및 투자를 경쟁적으로 늘려 가는 중이다. 즉 문화 콘텐츠는 국가 경쟁력의 시작점이다.
--- p.56 조금 더 구체적으로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성공하는 콘텐츠기획은 국내외 콘텐츠 시장을 조사를 제일 먼저 하고, 이를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새롭게 기획할 콘텐츠의 아이템을 선정한다. 아이템은 아직 가공하지 않은 순수한 현장 정보이므로 이를 차별화하기 위해 트렌드, 고객, 경쟁자를 고려하여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아이디어로 가공한 후 지속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시기와 계절감을 살려 바이럴이 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을 한다. --- p.59 콘텐츠기획을 위해서는 방송, 미디어 등 콘텐츠 분야에 제일 먼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어느 정도 정보에 대한 관심이 익숙해지면 타 분야, 해외 정보에서부터 정치, 경제, 사회, 예술 분야 등으로 관심의 폭을 넓혀간다. 이렇게 정보에 관심을 갖기 위해서는 ‘Why 생활법’을 실천하면 좋다. ‘Why 생활법’이란 주변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에 “왜 그렇게 되었을까?”, “왜 그렇게 했을까?”, “왜 발생했을까?” 등 ‘왜’라는 의문을 가지고 모든 일을 바라보고 생각하는 것이다. --- p.151 |
▶▶▶ 콘텐츠가 기업의 존망을 결정한다
기업의 생존이 콘텐츠에 달려 있는 시대다. 소니가 기술에 사활을 걸고 있을 때 애플은 콘텐츠에 집중했고, 지금 소니는 애플의 수십 분의 일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기업이 되었다. 미래 경제의 핵심 트렌드가 콘텐츠에 있다는 것은 이제 누구나 아는 사실이 되었다. 어떤 콘텐츠를 개발해 기획할 것인가 하는 점이 기업의 운명을 결정짓는 시대가 되었다는 걸 모르는 사람은 적다. 2008년 세계 기업 순위 10위 안에 있던 기업 중에서 2022년 현재 계속 10위권 안에 있는 기업은 마이크로 소프트뿐이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 2022년 12월 기준으로 10위 안에 든 회사는 애플, 마이크로 소프트, 아마존, 알파벳(구글), 테슬라, 페이스북, 텐센트, 알리바바, 투자회사인 버크셔 해서웨이 등 스마트폰을 생산하거나 관련 콘텐츠를 제작, 서비스, 투자를 하고 있는 회사다. 불과 10년 만에 어떻게 한 개 기업을 빼고 모든 기업이 밀려났을까?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 모바일 디지털로의 환경 변화에 있다. 10위 권 밖으로 밀려난 기업들은 스마트 환경으로의 변화를 읽지 못하고 고객이 원하는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전 지구적인 경제 환경에서 글로벌 시장을 이끌어가는 선두 기업들이 어떻게 움직여 가고 어떤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시장을 이끌어 가는지를 통해 매일매일 현장에서 기획 업무를 하고 있는 기획자들이 자신의 기획 역량을 끌어올리고 초일류 기획자로서 성공할 수 있을 것인지, 그 바탕을 만들어가는 선배로서의 조언들로 채워져 있다. 어떤 콘텐츠를 개발할 것인지, 그 콘텐츠 아이디어를 어떻게 구체화시키고 스마트한 기획으로 환성해 매출로 이어지도록 할 것인지 이제 막 기획 업무를 시작한 신입사원들은 물론 수 년 동안 실무를 경험한 중견 기획자들에 이르기까지 적용할 수 있는 인사이트들로 가득하다. ‘콘텐츠란 무엇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에서부터 어떻게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그 아이디어를 적용해 구체화할 수 있는지를 실제적인 사례와 경험을 통해 초일류 기획자로 가는 지름길을 안내하는 것이다. 개념을 설명하고 학문적으로 접근하는 책들은 소중하지만 실제 자신의 업무에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한 분야에서 오랫동안 일하고 천착해온 선배가 후배의 발전을 위해 진솔하게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알려주고 싶어 하는 필자의 열정이 녹아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는 것은 오로지 독자의 몫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