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화보]
소유냐 삶이냐 머리말…11 서장 위대한 약속, 그 좌절과 새로운 선택…13 1 환상의 종말 2 위대한 약속은 왜 좌절되었는가 3 인간변혁의 경제적 필연성 4 파국을 대신할 선택은 있는가 제1편 소유와 존재의 차이에 대한 이해 제1장 일반적 살핌…25 1 소유와 존재의 차이점 중요성 2 갖가지 시적 표현의 실례 3 어법의 변화/선인의 관찰/현대의 용법 4 용어의 기원 5 존재의 철학적 개념 6 소유와 소비 제2장 일상경험에서의 소유와 존재…38 1 학습 2 기억 3 대화 4 독서 5 권위 6 지식 7 신념 8 사랑 제3장 구약?신약성경 및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저작에 나타난 소유와 존재…56 1 구약성경 2 신약성경 3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에크하르트의 소유 개념/에크하르트의 존재 개념 제2편 두 가지 실존양식의 기본적 차이에 대한 분석 제4장 소유양식이란 무엇인가…75 1 취득적 사회-소유양식의 기초 2 소유의 본질 3 소유양식을 지탱하는 그 밖의 요인 4 소유양식과 항문애적 성격 5 금욕주의와 평등/6존재적인 소유 제5장 존재양식이란 무엇인가…91 1 능동적이라는 것 2 능동성과 수동성 3 현실로서의 존재 4 주고, 공유하고 희생하려는 의지 제6장 소유와 존재의 새로운 측면…110 1 안정감-불안감 2 연대-적의 3 기쁨-쾌락 4 죄와 용서 5 죽음의 공포-삶의 긍정 6 지금, 여기-과거, 미래 제3편 새로운 인간과 새로운 사회 제7장 종교, 성격, 사회…133 1 사회적 성격의 기초 2 사회적 성격과 ‘종교적’ 요구 3 서구세계는 기독적인가 4 휴머니즘의 항의 제8장 인간변혁의 조건과 새로운 인간의 특색…165 새로운 인간 제9장 새로운 사회의 특색…170 1 새로운 인간과학 2 새로운 사회-실현 가능성은 있는가 사랑한다는 것 머리글…199 제1장 사랑은 기술인가?…201 제2장 사랑의 이론…206 1 사랑, 인간 실존에 대한 문제의 해답 2 부모와 자녀 사이의 사랑 3 사랑의 대상 제3장 현대 서구사회가 직면한 사랑의 붕괴…264 제4장 사랑의 실천…281 자유에서의 도피 머리말…303 제1장 자유-심리학적 문제일까?…305 제2장 개인의 해방과 자유의 다의성…320 제3장 종교개혁 시대의 자유…331 1 중세적 배경과 르네상스 2 종교개혁 시대 제4장 현대인에게서 본 자유의 영면성…378 제5장 도피의 메커니즘…401 1 권위주의 2 파괴성 3 기계적 획일성 제6장 나치즘의 심리…451 제7장 자유와 민주주의…475 부록 성격과 사회과정…502 에리히 프롬의 생애와 사상 Ⅰ 인간 프롬…521 Ⅱ 정신분석과 마르크스주의의 통합…541 Ⅲ 신프로이트파의 형성…578 에리히 프롬 연보…639 |
Erich Fromm
에리히 프롬의 다른 상품
출판사 리뷰
남자와 여자 관계 그 근원 탐구 『사랑한다는 것』 프롬은 『사랑한다는 것』을 출간한 이후에 두 가지 사건으로 흔들렸다. 하나는 아내가 유방암에 걸려, 암을 남몰래 삶을 위협하는 역학을 따르는 병으로 인식한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당시 첨예화하는 냉전과 핵 군비 증강이었다. 특히 1960년대 초 쿠바사태는 프롬이 갖고 있는 인간의 일차적 사랑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뒤흔들어놓았다. 그의 절망은 당시 쓴 편지에 잘 드러난다. “인류 다수가 삶을 사랑하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이 전쟁의 위험에 그토록 수동적이라는 생각이 갑작스레 떠올랐습니다.” 나치로부터 달아난 프롬은 이제 핵전쟁에서 도피해야 하는 상황을 맞았다. 그러나 핵전쟁의 오염을 전이하는 암세포처럼 인식한 프롬은 다양한 방식으로 사랑의 능력의 집단적 상실에 대한 저항에 나섰다. 『사랑한다는 것』은 그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는 대표작이다. 생명의 철학, 처연한 자유의 외침 『자유에서의 도피』 『자유에서의 도피』에서 그는 나치즘의 분석에 주안을 두면서 현대사회에 있어서 ‘자유’의 문제, 메커니즘에 의한 자기소외(自己疎外)의 요인을 밝혔다. 프롬이 미국으로 망명한 후 쓴 저서로, 1941년 출간되었다. 파시즘의 대두 원인을 사회?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심리학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주목을 받았다. 인간이나 어떤 사회계층이 정치·경제적 위기상황에 놓여 있을 때 발생하는 ‘권위주의적 성격’을 마조히즘?사디즘적 측면에서 해명하였다. 그는 파시즘운동에 대하여, 히틀러의 권위에 복종하여 그 희생이 되는 데에서 기쁨을 느끼고, 또 한편으로는 자신보다 열등한 사람, 예를 들면 유대인을 멸시, 학대하여 욕구불만과 열등감을 해소하려는 심리와 행동의 표현이라고 하였다. 개성의 상실로 획일화되어가는 현대사회를 향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오직 사랑에서 구원을, 인도주의자 에리히 프롬 프롬이 1967년 미국 잡지 『맥콜스』에 기고한 ‘우리가 여전히 삶을 사랑하는가?’라는 글은 인간의 사랑하는 능력을 삼을 사랑하고 살아 있는 것에 이끌리는 특수한 능력(Biophilia)으로 입증하려는 노력이 잘 드러나 있다. “삶이 본질상 성장 과정이고, 완전해지는 과정이며, 통제와 폭력 수단으로는 사랑받을 수 없다면 삶에 대한 사랑은 모든 종류의 사랑의 핵심이다. 사랑은 인간, 동물, 식물 안의 생명에 대한 사랑이다. 삶에 대한 사랑은 추상적인 것과는 아주 거리가 멀고, 모든 종류의 사랑에 포함되어 있는 아주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핵심이다. 자기가 다른 사람을 사랑한다고 생각하면서도 삶을 사랑하지 않는 자는 타인을 원하고 집착할 수는 있지만, 그것은 사랑이 아니다.” 프롬은 부처와 예수,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칼 마르크스, 슈바이처를 비롯한 많은 선인들을 존경하고 그들을 인생의 스승으로 삼았다. 이들 스승에 대한 프롬의 존경과 사랑은 한 인간에 대한 총체적인 신뢰라는 것을 우리로 하여금 새삼 생각하게 해 준다. 그것은 우리가 일직이 알고 있었지만 지금은 거의 잊고 만 것이다. 그것은 곧 인간 전체에 대한 신뢰로 연결되는 것으로, 거기까지 우리를 이끄는 것이 프롬이 지닌 매력이며 그것이 바로 그의 위대함이 아닐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