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베스트셀러
풍력발전
기초에서 전문까지
이순형
쇼팽의서재 2024.03.20.
베스트
공학 95위 공학 top100 20주
가격
17,000
10 15,300
YES포인트?
85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상세 이미지

책소개

목차

제1장 풍력발전의 일반 개요

풍력발전이 절실한 배경
효율적인 풍력에너지의 조건
에너지 회수 기간과 요금 체계
풍력발전기 4가지 타입
풍력발전과 사회적 대타협

제2장 풍력발전 설비의 기술적 문제

풍차의 종류
베츠의 법칙
양력계수와 항력계수
양력형 풍차와 항력형 풍차의 비교
발전 효율
풍력발전 단가, 미국의 3배
다리우스형의 장점
유도발전기와 동기발전기의 특징
소형풍력의 장 단점

제3장 발전장치와 전력변환장치

동기발전기의 발전
동기발전기를 사용한 시스템 구성


유도발전기의 특성
반도체 전력변환장치

제4장 풍력발전 제어 시스템

출력 제어의 일반적인 특징
전통적 제어 시스템
사전 검증에 대하여
풍력터빈 제어에 미치는 변수
실속 제어 기술
피치제어 방법

제5장 그린뉴딜 핵심은 해상풍력

육상풍력과 해상풍력
국내 해상풍력 기술 수준
해상풍력발전의 장애 요인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신 ·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국가적 편익
에너지 전환 시대와 풍력발전
저비용의 RE 수용률 증가 방안
스마트 그리드와 마이크로그리드

제6장 풍력발전과 계통 연계

풍력발전의 불안정성
균형 유지
제주 전력 계통의 사례
상승하는 불안정성
전력품질 불균형의 심화
잉여 전력의 처리
계통 안정을 위한 무효전력

제8장 전력계통 유연성 증대 방안

전력계통 운용의 유형
국내 전력유연성 개선 방안
재생에너지의 증가와 출력제어
풍력발전의 성장세
풍력발전기의 대형화 추세

제9장 장주기 ESS 기술의 성장성

에너지저장 기술의 개요
대용량 장주기 ESS 개발 동향
전 세계 ESS 시장 전망

저자 소개1

평생 에너지와 전기안전분야에 몰두하면서 경력을 쌓은 에너지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정부기관과 민간 기술기업에 고문으로 위촉되어 기술자문을 맡고 있다. 현재 에스지 대표이사로 재임하면서 전국의 대학과 연구소,기관 등에서 강의와 연구활동 매진하고 있다. 학력 국립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에너지환경대학원 공학박사 2020년 은탑산업훈장 2020년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학회학술상, 자자체 단체장 상등 경력 한국전기안전공사 전기안전위원회 위원, 대한전기협회 전기설비길술기준 위원, 광주광역시 그린에너지기술분과위원장, (사)전국태양발전
평생 에너지와 전기안전분야에 몰두하면서 경력을 쌓은 에너지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정부기관과 민간 기술기업에 고문으로 위촉되어 기술자문을 맡고 있다. 현재 에스지 대표이사로 재임하면서 전국의 대학과 연구소,기관 등에서 강의와 연구활동 매진하고 있다.

학력
국립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에너지환경대학원 공학박사
2020년 은탑산업훈장
2020년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학회학술상, 자자체 단체장 상등

경력
한국전기안전공사 전기안전위원회 위원, 대한전기협회 전기설비길술기준 위원, 광주광역시 그린에너지기술분과위원장, (사)전국태양발전협회 고문, 녹색에너지연구원 이사, 전라남도 정책자문위원,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조직위원회 위원 등

자격: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전기안전기술사

저서:태양광발전 시스템의 계획과 설계, 태양광 뇌(낙뢰)보호 기술지침, 수변전설비 계획과 설계 수변전설비 기본 계획 및 설계도, 전기설비점검 데이터북, 전기설비 단답형,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전기관계법규, 신재생에너지 관계법규 등 다수 10여권

품목정보

발행일
2024년 03월 20일
쪽수, 무게, 크기
212쪽 | 145*215*20mm
ISBN13
9791198186959

출판사 리뷰

국제에너지지구(IEA)는 2023년 5월 발표한 ‘넷 제로 2050년’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에서는 전 세계가 기후위기에서 벗어나려면 풍력과 태양광으로 생산되는 전력 비중이 70%까지 올라가야 한다고 제시했다. 2022년 10월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한 우리나라도 이런 수치에 근접해야 한다. 지금부터 28년 이내에 지금보다 모두 20배 이상 확충해야 한다. 그렇지만 지금부터 열심히 확충해도 거의 달성하지 못한다. 국토의 70%가 산지인 한국에서 바람의 질이 좋은 산지를 훼손하지 않고 이런 수준으로 풍력 설비를 확충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최근 부상하고 있는 해상풍력발전은 지정학적 리스크가 없는 에너지원으로 손색이 없다. 풍력발전 설비 확충이 지연되면 이산화탄소 외에 대기오염 물질까지 배출하는 석탄발전소, 핵폐기물이 나오는 원전을 더 돌릴 수밖에 없다. 이 책은 풍력발전 특히 해상풍력에 대한 교양서로, 보다 독자들의 이해도를 높이고 미래 전략적 투자에 도움되도록 편집하고 꾸몄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5,300
1 15,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