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옮긴이 머리말 x
베타리더 후기 xii 시작하며 xiv CHAPTER 00 서론: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스킬의 전체 개요 1 프로젝트 매니저가 직면하고 있는 과제 2 스킬 부족의 프로젝트 매니저 4 필요한 것은 스킬의 전체 개요도 6 스킬을 스스로 체크해보자 8 COLUMN 프로젝트와 프로젝트 매니저의 부적합한 매칭 11 CHAPTER 01 프로젝트란 무엇인가? 13 프로젝트의 특징을 이해하자 14 프로젝트의 성공이란 무엇인가? 15 프로젝트의 본질적 특성이란? 17 프로젝트의 어려움이란? 21 프로젝트 고유의 어려움을 매니지먼트하기 27 프로젝트 리스크에 맞서기 30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의 역할 31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와 프로젝트 관리의 차이점 33 Q&A 신규 사업의 계획 변경과 내부 조정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34 COLUMN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와 제품 매니지먼트의 차이점 35 CHAPTER 02 협상 37 협상은 왜 필요한가? 38 협상은 왜 어려운가? 40 프로페셔널한 자세가 요구된다 43 리더십에 대한 사고방식 44 협상할 때 주의해야 할 점 45 Q&A 주위에 휘둘려서 협상이 잘 되지 않는 경우 52 COLUMN ‘친밀감’과 ‘신뢰 관계’의 차이를 이해하자 55 CHAPTER 03 작업 매니지먼트 59 작업 매니지먼트는 작업 관리가 아니다 60 작업 배치는 ‘직무형 사고’를 가진 사람이 바람직하다 62 작업 배치 변경 시의 주의점 65 작업 수행 능력 파악하기 66 절차 1. 작업 도출하기 68 절차 2. 작업을 수행할 우선순위 정하기 71 절차 3. 작업을 의뢰한다 76 절차 4. 정기적으로 회고 시간을 갖기 83 Q&A 항상 특정인으로 인해 작업이 지연되는 경우 85 CHAPTER 04 프로젝트 계획 87 프로젝트 계획의 수립 방법 88 1. 의견 청취 89 2. 프로젝트 조직 체계 및 팀 빌딩 92 3. 업무 배정 95 4. 목적 98 5. QCD(품질, 비용, 납기) 99 6. 회의 체계 및 의사결정 플로 101 7. 계약 형태 107 8. 마일스톤 108 9. 정보 공유 방법 109 Q&A 발주자의 희망과 수주자의 의견이 다를 경우 110 CHAPTER 05 견적 113 견적은 언제 내느냐에 따라 정확도가 달라진다 114 개략적 견적과 상세 견적의 사용 구분 116 올바른 견적 작성 절차 119 Q&A 견적과 실제는 크게 차이가 나기 쉽다 126 CHAPTER 06 계약 127 계약은 프로젝트를 보호한다 128 계약에는 두 종류가 있다 129 도급 계약의 체크 포인트 131 위탁 계약의 체크 포인트 135 도급 계약 · 위탁 계약에 공통된 체크 포인트 137 Q&A 발주자가 위탁 계약을 승인하지 않는 경우 142 CHAPTER 07 요구사항 정의 143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원인의 약 50%가 요구사항 정의 144 절차 1. ‘요구’와 ‘요구사항’을 구분한다 145 절차 2. 결정해야 할 사항을 일정의 관점에서 파악한다 146 절차 3. 업무 요구사항(Why)을 확정한다 148 절차 4. 실현하고자 하는 것(What)의 축과 개요를 그린다 154 절차 5. 합의된 사항을 문서화한다 157 절차 6. 법률 등 사회 규칙을 고려한다 161 절차 7. 요구사항 변경 및 추가 요구사항을 처리한다 162 Q&A 요구사항 제출 및 의사결정에 시간이 걸려 일정이 지연되는 경우 164 COLUMN 요구사항 정의에서는 ‘발산’과 ‘수렴’을 의식하자 165 CHAPTER 08 디자인 167 디자인은 프로세스로 정리한다 168 절차 1. 페르소나 디자인하기 170 절차 2. 시각적 아이덴티티 결정하기 174 절차 3. 제품 전체 이미지 디자인하기 177 절차 4. ‘디자인을 키운다’는 생각을 갖기 180 Q&A 의사결정권자가 디자인에 이래라 저래라 간섭하여 좀처럼 방향성이 결정되지 않을 경우 182 CHAPTER 09 설계 183 요구사항의 실현 방법을 결정하기 184 절차 1. 기술 스택 선택하기 185 절차 2. 개발 ‘방법’을 정립하기 188 절차 3. 설계서에 요구되는 정밀도를 확인하기 192 절차 4. 설계서 작성하기 193 절차 5. 설계서 리뷰하기 195 설계는 매우 어려운 프로세스 199 Q&A 설계에 어느 정도의 공수를 투입하면 좋을지 모를 경우 203 CHAPTER 10 테스트 203 테스트는 공수 및 일정 단축이 용이하다 204 테스트를 소홀히 할 때 발생하는 세 가지 리스크 205 절차 1. ‘테스트란 무엇인가’에 대한 인식 공유 208 절차 2. 각 테스트의 정의를 확인하기 214 절차 3. 테스트 계획하기 221 절차 4. 테스트 매니지먼트하기 223 Q&A 발주자가 테스트 공수를 줄여버리는 경우가 많다 227 CHAPTER 11 출시 229 출시는 사전 준비가 핵심 230 절차 1. 사전에 일정과 조직 체계를 조정한다 231 절차 2. 출시 계획 수립하기 233 절차 3. 리허설을 실시하기 236 절차 4. 관련 부서 및 기관에 설명하기 237 Q&A 출시에서 큰 실패를 겪어 다시는 그런 실수를 반복하고 싶지 않은 경우 238 CHAPTER 12 유지보수/개선 239 제품은 ‘만들면 끝’이 아니다 240 손익분기점의 중요성 242 프로젝트의 고정비 243 프로젝트의 변동비 249 매출에 대한 생각 250 신규 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한 사고방식 251 깔때기 모델 만들기 252 사업에 가치를 더하는 프로젝트 매니저가 되기 254 Q&A 프로젝트 매니저로서 비즈니스 성장까지는 파악하지 못한 경우 255 마치며 256 찾아보기 259 |
정인식의 다른 상품
프로젝트 매니지먼트는 무엇일까? 한마디로 말하자면, 공 줍기다. 코치가 연습 중인 선 수들의 주변에서 공을 주워 모아 서포트하는 것처럼, 프로젝트 매니지먼트는 프로젝트 구성원들이 편하게 일할 수 있도록 미리미리 장애나 리스크를 제거하고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는 세심한 작업의 연속이다.
--- p.xiv 프로젝트의 ‘관리’만을 주안점으로 삼게 되면, ‘회의에서 진행상황을 확인하는 것’이나 ‘멤버에게 업무를 부여하는 것’, ‘엑셀로 예산과 가동시간을 조정하는 것’이 되어 목적 달성에 필요한 판단과 전체 그림 파악, 사전 조정이라는 중요한 업무가 빠지게 된다. --- p.33 사내 분위기가 활기차고 화기애애한데도 불구하고 “왜 우리 회사에서는 우수한 인재들이 떠나고 있지?”라고 고민하는 경영자나 관리자들이 많은데, 이는 조직 내 친밀감과 익숙함이 팽배해 적절한 신뢰 관계가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 뛰어난 사람일수록 친밀감과 익숙함의 부정적인 영향을 더 잘 알아차리고, 자신의 능력을 더 잘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환경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 p.55 작업 매니지먼트 시 간트 차트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크리티컬 패스(critical path) 법을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크리티컬 패스’란,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일정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 경로를 말한다. 크리티컬 패스법에서는 작업의 전후 관계가 명확해져 ‘어떤 작업을 우선적으로 처리하지 않으면 프로젝트가 진행되지 않는가’를 공유하면서 작업 매니지먼트를 할 수 있다. --- p.74 스크럼 개발은 우선 동작하는 것을 만들고 이에 대한 피드백이나 추가 검토를 통해 사용 편의성이나 기능 등의 품질을 높여 나가는 방법이다. 스크럼 개발을 진행하는 동안에도 요구사항이나 사양이 변경되기 때문에 일정한 지속적인 투자를 전제로 하고 있다. 일정이나 예산에 융통성이 없고, 철저하게 통제해야 하는 경우에는 요구사항 정의와 설계에서 해야 할 일을 확정하고 개발로 전환하는 워터폴 개발이 적합할 것이다. --- p.106 |
프로젝트 매니지먼트라는 험난한 길을 헤쳐 나가는 친구로서 한 권의 책
프로젝트 매니지먼트는 단순한 관리 차원의 일이 아니다. 프로젝트 매니지먼트는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멤버들과 소통하며 목표를 향해 진두지휘하는 일이다. 다시 말해, 프로젝트 매니저는 프로젝트와 멤버 구성원을 지키는 것이 일이며, 프로젝트 매니저에게 가장 중요한 사명은 단연코 프로젝트의 성공이다. 이 책은 20여 년 전 프로젝트 매니지먼트라는 험난한 길에 들어선 저자가 그 경험을 바탕으로 해서 ‘20여 년 전의 나’를 돌이켜 바라보며 쓴 것으로, 그 당시 저자가 가장 원했던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의 전체적 관점과 구체적인 사고 및 노하우’를 담았다. CHAPTER 01 프로젝트란 무엇인가: 기본적인 지식과 사고방식을 파악하자 CHAPTER 02 협상: 적절한 파트너십을 구축하자 CHAPTER 03 작업 매니지먼트: 팀워크로 일하자 CHAPTER 04 프로젝트 계획: 목표 및 진행 방식을 결정하자 CHAPTER 05 견적: 필요한 비용과 일정을 예상해보자 CHAPTER 06 계약: 불리한 조건을 피하자 CHAPTER 07 요구사항 정의: 해야 할 것을 결정하자 CHAPTER 08 디자인: 고객이 진짜 필요로 하는 것을 추구하자 CHAPTER 09 설계: 전문가에게 건넬 배턴을 만들자 CHAPTER 10 테스트: 사업 리스크를 최소화하자 CHAPTER 11 출시: 돌다리도 두드리며 건너자 CHAPTER 12 유지보수/개선: 사업 성공으로 이어지도록 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