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서문…006서장: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나?…014대한민국 건국은 혁명이었다혁명으로 본 대한민국 건국 - 거시사적 비교를 통한 우리 현대사의 재인식…030역사와 현실왜 다시 이승만인가…068한미군사동맹의 역사적 의미…099새 세대를 위한 이야기 - 무지인가 반역인가…107역사와 역사학한국의 역사학 연구에서의 방법론의 문제…122역사는 가르쳐야 하나…158역사와 정치의 상관관계 - 우리 현대사 해석의 문제를 중심으로…171지식인과 역사의식 - 동영상 〈백년전쟁〉의 폐해…194인문학의 중추로서의 역사학과 오늘의 현실…201대담: 역사를 통해 미래를 모색하다1948년 건국한 대한민국은 개인 기본권 인정한 혁명국가…240세계사적 대사건, 반공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 건국…260대한민국 건국 정통성 지키면서 좌우가 함께 가는 법…285이승만 대통령 기념관 건립은 국가의 이념적 토대를 세우는 것…313
|
편집자 리뷰이인호 교수님과 대담을 진행하고, 또한 새 책 『이인호 수상록 - 대한민국 건국은 혁명이었다』를 펴내면서 내내 드는 생각은 한 마디로 '거장'이라는 것이다. 이인호라는 거장의 책을 내 손으로 만들게 된 것이 감격스럽다. 여행을 떠나면서 편집자가 직접 에필로그를 붙이는 것이 좋겠다고 하셔서 발문을 쓰려다 접었다. 웅혼한 담론에 티가 될 것같아 두려웠다. 발문의 초를 잡았을 때 다음 세 가지 명제로 아웃라인을 정했다.첫째, 러시아 사상사의 대가이자 진보적인 지식인 이인호 교수의 반공은 다르다.둘째, 해방 독립 건국의 기쁨을, 체험을 통해 기억하는 이인호 교수의 건국론은 다르다.셋째, 6·25전쟁의 고통을 생생히 기억하는 이인호 교수의 자유민주주의 수호론은 다르다.위의 세 가지 명제는 굳이 부연설명이 없어도 독자 여러분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1936년생이신 이인호 교수님은 지금도 젊은이보다 빠른 걸음으로 다니시면서 어디서든 대한민국 건국은 위대한 혁명이라는 사실을 후대를 위해 목소리 높여 설파하신다.이 분이 말하는 ‘대한민국 건국혁명’이란, 그 분 자신의 생애의 주제인 러시아혁명보다, 서양사의 랜드마크처럼 버티고 있는 프랑스혁명보다 더 위대한 것이다. 혁명가 이승만과 혁명국가 대한민국은 공산주의와 전제국가의 적이며 모든 엘리트 정치의 적이다.이인호 교수님의 건국론은 심플하게 빛난다.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불가침의 기본권을 부여한 것이 진정한 혁명이다!’ 한반도에서 하늘이 열린 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 헌법을 만든 대통령이 어찌 혁명가가 아니고 건국 대통령이 아닌가?기념관 하나 갖지 못한 이승만 대통령에 대한 온갖 폄훼에 대해 저자 이인호 교수님은 ‘역사가의 실패’로 인식한다. 이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부족한 책의 출판을 허락했다고 하셨지만 이 책이 담고 있는 저자의 깊이 있는 사유 및 역사방법론은 한국에서 익히 접하지 못한 높은 수준의 역사철학임을 독자들은 어렵지 않게 발견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