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상품은 구매 후 지원 기기에서 예스24 eBook앱 설치 후 바로 이용 가능한 상품입니다.
머리말PART 1. 5인의 PD를 만나다STORY 1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01.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는 어떤 콘텐츠인가02.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분석: 만약 칸트가‘우영우’를 보았다면03. 유인식 PD 인터뷰04. 인터뷰 요약 및 정리STORY 2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01.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는 어떤 콘텐츠인가 02.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분석: 교양의 새로운 길을 열다03. 최삼호 PD 인터뷰04. 인터뷰 요약 및 정리STORY 3 [피지컬: 100]01. [피지컬: 100]은 어떤 콘텐츠인가02. [피지컬: 100]분석 넷플릭스가 K 오리지널을 만드는 방식03. 장호기 PD 인터뷰04. 인터뷰 요약 및 정리STORY 4 [유 퀴즈 온 더 블럭]01. [유 퀴즈 온 더 블록]은 어떤 콘텐츠인가02. [유 퀴즈 온 더 블록]분석: 훼손된 정서적 공론장, 또는 예능과 산업의 윤리03. 김민석 PD 인터뷰04. 인터뷰 요약 및 정리STORY 5 [스트릿 우먼 파이터]01. [스트릿 우먼 파이터]는 어떤 콘텐츠인가02. [스트릿 우먼 파이터]분석: [스트릿 우먼 파이터]와 콘텐츠의 미래03. 최정남 PD 인터뷰04. 인터뷰 요약 및 정리PART 2. K-콘텐츠의 철학을 말하다참고문헌
|
홍경수의 다른 상품
K 콘텐츠 생산의 비결은 콘텐츠 생산 과정의 치열함에 있고, 기획하고 제작하는 PD들에게 내재된 핵심적 연출관 즉, 연출의 철학에 달려있다 “어떻게 K 콘텐츠가 세계적 인기를 얻었을까?”, “특이한 드라마를 기획할 수 있는 한국 드라마 기획자의 역량은 어디에서 비롯되느냐?”, “어떤 체계와 관행이 한국 드라마 기획의 차별성과 경쟁력을 갖추게 했느냐?” 오징어게임이 인기를 얻고 난 뒤에 전 세계에서 질문들이 쏟아졌다. 미디어를 통해 제기된 이런 질문에 대한 대답은 아직 뚜렷하게 정리되지 않았다. K 콘텐츠가 만들어진 비밀은 짧은 기자 인터뷰나 언론의 분석을 통해서 드러나기는 어렵다. K 콘텐츠 생산에 참여한 핵심 인력인 제작자의 감정과 생각과 의도를 심도 있게 파악함으로써 근접할 수 있다. K 콘텐츠 생산에 관한 질문인 만큼 K 콘텐츠의 종주국 한국의 연구자가 타당한 대답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다.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아주대학교 홍경수 교수가 [K-콘텐츠 어떻게 만드나요?](학지사, 방송문화진흥총서 236) 라는 책에서 내놓았다. 홍 교수는 2020~2023년의 대표 K 콘텐츠인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피지컬: 100], [유퀴즈 온 더 블록], [스트릿 우먼 파이터]의 기획자인 5인의 PD들을 만나 심층 인터뷰를 통해 K 콘텐츠 생산의 비밀을 탐색했다. 홍 교수는 K 콘텐츠의 세계적 인기의 비결을 생산과정의 치열함으로 보았고, PD들에게 내재된 핵심적 연출관 즉 연출의 철학을 발견했다. 드라마 [우영우]의 경우, 끊임없이 균형을 잡고자 하는 연출자의 강력한 의지가 드라마를 대중적이면서도 의미 있는 콘텐츠로 손꼽히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홍 교수는 [우영우]의 유인식 PD가 사회적 문제를 회피하지 않고 정면으로 마주보았으며 박은빈이라는 최적의 출연자를 캐스팅하여 드라마 역사에 기록될 극적인 드라마 미학을 창출했다고 보았[꼬꼬무]는 SBS 교양국의 전통이라 할 수 있는 ‘철저한 시청자 시선지향’ 이념의 결과물로 볼 수 있으며, OTT 시대 지상파 교양의 응전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피지컬 100]은 전 세계 시청자에게 호소하기 위한 ‘원초적 단순성’ 이념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이 홍 교수의 주장이다. [유퀴즈 온더 블록]은 자세히 들여다보면 누추해 보일 수 있는 ‘일상의 미학’을 ‘정중하고 섬세하게’ 담아냈다고 분석했다. [스트릿우먼파이터]에서는 그동안 조명받지 못한 소외된 댄서들을 주인공으로 조명했고, 연출자에게서 ‘공의로움(righteousness)’이라는 철학이 발견됐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K콘텐츠 생산의 비밀은 방송 텍스트의 철저한 비평적 분석을 시도한 다음에 책임 있는 기획자인 PD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탐색되었다. 이와 같은 발견은 한국 최초의 PD학 연구자인 홍경수 교수의 연구방법에 기초한 것으로, 15년여의 방송PD로서의 경력과 그 후 14년간 연구자로서 방송 비평 분석과 PD 심층인터뷰를 실천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더욱 탄탄한 설명력을 얻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홍 교수는 “누가 질문하느냐에 따라 대답의 차원이 달라지는 만큼, 방송 제작에 대한 이해와 연구자로서의 시선은 타당한 답을 이끌어내는 데 필수적이다” 고 저술을 마친 소감을 밝혔다. 이 책에는 접근이 쉽지 않은 생산자의 인터뷰 원문이 담겨있기 때문에 방송 연구자에게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방송 현업자와 방송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콘텐츠 기획에 대한 풍부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홍 교수는 1995년 KBS에 방송 PD로 입사해 [낭독의 발견]과 [단박인터뷰]를 기획했으며, 2010년부터 교육자로서 방송 생산에 관한 연구와 교육에 집중해왔다. 저서로는 『오징어 게임과 콘텐츠혁명』, 『나는 힘센 기획자가 되기로 했다』 , 『예능PD와의 대화』 , 『확장하는 PD와의 대화』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