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ㆍ태지호문탄화콘텐츠의 탄생문화콘텐츠의 정의문화콘텐츠의 끝없는 외연 확장력02 문화콘텐츠는 변화하는 학문이다ㆍ태지호문화콘텐츠는 어떻게 학문이 되었나문화콘텐츠학은 무엇을 다루는가문화콘텐츠학은 어떻게 하는가문화콘텐츠학의 미래03 문화콘텐츠는 원형의 변주다ㆍ안창현문화 원형, 매력적인 창작 소재문화 원형과 가치문화 원형과 변주문화 원형 활용 사례04 문화콘텐츠는 스토리텔링이다ㆍ신호림이야기와 지식 체계이야기의 가치 변화와 스토리텔링의 등장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원리스토리텔링의 역설과 실천적 가능성05 문화콘텐츠는 체험과 공감이다ㆍ임동욱체험 경제의 시대콘텐츠 체험 요소의 강화문화콘텐츠는 공감이다비극 콘텐츠의 공감 활용06 문화콘텐츠는 기획이다ㆍ이종훈기획의 역사문화콘텐츠와 기획의 접합문화콘텐츠에서 기획이란07 문화콘텐츠는 산업 정책이다ㆍ이건웅문화 정책의 개념한국과 해외의 문화콘텐츠 정책한국의 문화 정책 쟁점들해외의 문화 정책 쟁점들08 문화콘텐츠는 대중문화다ㆍ노창현대중과 대중문화대중문화는 왜 항상 논쟁의 대상인가문화콘텐츠와 대중문화의 공통 특성대중문화 주체로서의 향유자09 문화콘텐츠는 기술 융합이다ㆍ임동욱융합의 시대, 콘텐츠의 탄생인문 예술과 과학기술의 융합기술 융합에 대한 시선들10 문화콘텐츠는 글로벌 콘텐츠다ㆍ이건웅한국 콘텐츠의 세계화한류와 혐한류웹툰의 세계화한식의 세계화11 문화콘텐츠는 로컬 콘텐츠다ㆍ안창현지역성을 갖춘 콘텐츠는 독특하다지역문화와 문화 산업지역과 관광 공연 상품문화를 활용한 도시 재생12 문화콘텐츠는 예술이다ㆍ이종훈문화콘텐츠와 예술의 공유 영역근대 예술의 난관예술과 삶의 화해예술과 문화콘텐츠13 문화콘텐츠는 산업이다ㆍ성종현문화콘텐츠 산업의 정의와 특성문화콘텐츠 산업의 동향과 환경 변화문화콘텐츠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분석과 전략문화콘텐츠 산업의 성공 사례와 전망
|
안창현의 다른 상품
신호림의 다른 상품
2017년 이후 달라진 문화콘텐츠의 이론과 실제를 업데이트한 2025년 개정판2000년대 전후 대한민국에 문화 산업이 소개되었다. 문화 산업은 문화콘텐츠의 또 다른 이름, 즉 산업적 측면의 명명이다. 문화콘텐츠 산업, 콘텐츠 산업, 문화창의 산업, 엔터테인먼트 산업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그만큼 개념과 범위도 각양각색이다. 무지개 빛깔과 같은 다양성, 자기만의 독창성을 생명으로 하는 문화콘텐츠는 과거,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거대한 세계관과 스토리텔링이 살아 숨 쉬는 매력적인 산업이자 학문이다. 이 책은 그 매력적인 세계로 이제 막 들어가려는 이들을 위한 입문서다. 태동과 개념. 각 장르로의 발전과 사례, 한류의 글로벌화를 위한 각종 이슈와 비전까지 새로운 환경을 반영한 문화콘텐츠학의 새 교과서다.2025년 개정판의 특징ㆍ대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교재다.ㆍ문화콘텐츠의 전체적 흐름을 알기 쉽게 소개한다.ㆍ문화콘텐츠의 개념과 영역에 대한 기존 논의를 평가하고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ㆍ문화콘텐츠의 다양한 장르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개념과 이론을 다룬다.ㆍ문화콘텐츠 분야에 진출하려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기회와 아이디어를 제공한다.ㆍ다양한 최신 사례를 분석해 이론과 실제를 균형 있게 소개한다.ㆍ앞으로의 문화콘텐츠의 모습을 전망하고 예측할 수 있다.ㆍ최신의 트렌드와 이슈를 반영하여 각 장마다 생각해 볼 문제를 제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