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저자의 말
1부 연극의 기본 사항 제1강 연극이란 무엇인가 연극의 시초와 정의 …14 연극의 유래와 다양한 기원 …16 의식적 기원론 17 / 이야기해주기스토리텔링 19 / 대중연희유희본능이론 19 모방이론 20 / 생존이론 21 연극과 원시의식 그리고 제례 …22 유사점 23 / 차이점 24 연극의 3대 기본 요소와 제요소 …26 제2강 연극의 형태와 형식 그리고 특징 연극의 특징 …31 희곡의 기본 요소와 단계 …34 희곡의 6요소 35 / 희곡의 5단계 36 연극의 기본 형태 …38 비극Tragedy 39 / 비극이 되기 위한 조건 41 / 비극의 주인공이 되기 위한 조건 42 희극Comedy 43 / 희극의 조건 44 / 희극의 종류 47 통속극melodrama 48 / 소극farce 50 연극의 기본 사조 …51 고전주의Classicism 51 / 고전주의의 규칙 53 낭만주의Romantisism와 그 특징 54 / 표현주의 55 초현실주의 57 연극사 연구의 몇 가지 접근법 …59 연극사 연구의 몇 가지 고려 사항 …61 2부 서구 여러 나라의 연극사 제1강 그리스 시대의 역사와 연극 그리스 시대의 역사와 연극 …68 정치적·시대적 배경 69 그리스 연극의 시초와 출현 …76 디오니소스와 디오니시아제 77 / 디오니소스 78 / 디오니시아제 79 그리스 비극과 3대 작가 …82 아이스킬루스 82 / 소포클래스 83 / 에우리피데스 84 그리스 희극(구희극, Old Comedy)과 대표작가 …86 아리스토파네스 88 / 사티로스 극 89 / 코러스와 역할 91 아리스토텔레스와 비극의 형식 …92 그리스의 극장(디오니소스 극장) …93 연극에 사용된 특수 장치들 …96 연극의 소품들 …97 제2강 헬레니즘 시대의 역사와 연극 헬레니즘 …100 헬레니즘의 부상 …101 헬레니즘 시대의 연극 …103 헬레니즘 시대의 연극작가 …105 메난드로스Menandros 105 헬레니즘 희극(신희극)의 내용과 형식 …106 배우들의 사회적 지위와 인식 …107 제3강 로마 시대의 역사와 연극 시대적·정치적 배경 …110 로마의 주요 정치세력 …117 로마의 대중연희와 축제 …118 로마 시대의 연극 문화와 발전 …121 로마 희극과 희극작가 …123 로마 비극과 비극작가 …127 로마의 대표적인 극비평가 …129 로마 시대 연극의 또 다른 요소 …130 로마와 로마연극의 쇠퇴 …133 제4강 중세 시대의 역사와 연극 역사적·정치적 배경 …137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대립 …139 두 종교의 갈등 139 / 십자군 전쟁 143 / 십자군 전쟁의 몇 가지 원인 145 십자군 원정의 실패와 그 원인 146 왕권과 교황권의 대립 …148 카노사의 굴욕 149 중세 시대의 연극 …151 종교적 목적 전도와 포교를 위한 도구로 쓰인 연극 154 / 새로운 문제점의 대두와 공연 장소의 변화 155 중대한 변화 자국어일상어로 만든 종교극의 등장 156 자국어(일상어)로 된 연극 …158 종교극 …159 신비극Mystery play, 순환극 159 / 기적극Miracle play 160 / 도덕극Morality play 161 세속극 162 / 민속극Folk play, 민족극 162 / 소극, Farce 163 그 외 연극의 여러 요소 …164 연극 제작과 배우들 그리고 의상 164 / 연극 무대의 종류 166 중세 연극의 쇠퇴 …167 제5강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역사와 연극 시대적·역사적 배경 …172 왜 이탈리아 르네상스인가 …75 이탈리아에서 르네상스가 일어난 이유 175 /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쇠퇴 이유 177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 연극의 유형 …180 코메디아 델라르떼 181 / 코메디아 델라르떼의 등장인물 183 코메디아 델라르떼의 기원 184 / 코메디아 델라르떼의 연극적 관행 186 코메디아 델라르떼의 대표 극단 188 / 코메디아 델라르떼의 영향 189 당시 유행했던 또 다른 장르들 …190 오페라 190 / 인테르메찌와 전원목가극 192 연극에 관한 이탈리아 시대의 주요 규칙들…193 삼일치 법칙 195 / 데코럼 197 / 베리시밀리튜드 198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극장과 무대 …198 대표적인 현대식 극장 199 / 프로시니엄 아치 무대 200 제6강 17세기 프랑스 신고전주의 시대의 역사와 연극 역사적 배경과 절대왕정 그리고 중상주의 …206 프랑스의 절대왕정 토대 구축 …207 프롱드의 난과 태양왕 루이 14세 …210 문화적 상황과 살롱의 번성 …215 연극적인 상황 …218 고전극의 몇 가지 기본 원리들 …219 장르의 순수성과 5막극 구조 220 / 박진성과 적합성 그리고 르 시드 논쟁 221 삼일치 규칙 혹은 삼단일 법칙 225 / 시적 정의 226 연극 제작에 관한 여러 가지 관례 …227 대표작가와 작품들 …230 피에르 코르네이유 230 / 코르네이유의 대표작 「르 시드」와 르 시드 논쟁 231 장 라신느 233 / 라신느의 대표작「페드르」 235 몰리에르 237 / 몰리에르의 대표작「타르튀프」 238 몰리에르의 죽음으로 보는 배우의 지위 240 제7강 근대 유럽 연극(프랑스, 영국, 독일) 시대적·정치적 배경 …244 여러 국가의 공통적 상황 244 / 프랑스와 프랑스 대혁명 245 문화적 배경과 찬란한 빛의 세기 …249 주변 국가들의 연극적 상황 …252 영국의 경우와 감상희극sentimental comedy 252 독일의 경우와 질풍노도Sturm und Drang의 문학 256 다양한 연극적 변화 …258 새로운 연극 장르의 등장 …261 디드로와 드람드라마 261 대표작가와 작품 …265 보마르쉐 265 / 「피가로의 결혼」의 간략한 내용 266 「피가로의 결혼」과 『춘향전』의 유사점과 차이점 272 「피가로의 결혼」으로 보는 유럽 살롱의 역할 275 초야권과 결혼세 278 / 문학 작품의 소재가 된 초야권 282 제8강 19세기 유럽의 역사와 연극 시대적·정치적 배경 …284 문화적·연극적 배경 …287 연극적 상황의 다양한 변화 …291 작가들에 대한 인식의 변화 291 / 연극과 대중들의 변화 그리고 법령 292 새로운 연극 장르의 등장 …295 멜로드라마 295 / 보드빌과 부르주아 극 297 세기병과 다양한 문학사조의 등장 …299 낭만주의 299 / 사실주의 302 자연주의 304 / 상징주의 306 참고문헌 …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