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머리말
1. 신라토우의 음악사학적 조명) -신라고[琴]를 중심으로- 2. 신라토우의 음악사학적 조명) -신라 관악기를 중심으로- 3. 신라토우의 음악사학적 조명) -신라비파를 중심으로- 4. 토우로 보는 신라무용과 그 의미 토우 관련 연구 목록 용어해설 참고문헌 찾아보기 |
지금으로부터 약 1500~1600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세밀한 관찰과 자유로운 상상력으로 신라토우를 들여다보면, 그 시대 사람들의 다양한 생활상이 보인다. 멧돼지를 향해 활을 겨냥한 사냥꾼의 모습, 신나게 노를 저어 어디론가 가는듯한 뱃사공의 모습에서 그들의 생동감 있는 생활상과 생계와 관련된 수렵생활을 엿볼 수 있다. 또한, 남자의 성기를 특별히 강조하거나 여자의 가슴을 크게 나타낸 점, 그 외에 여러 형태로 표현된 성교중인 남녀상에서는 원초적인 생명력으로 풍요와 다산을 추구하는 삶의 형태를 느낄 수 있고, 또한 자유로운 성생활도 그려볼 수 있다.
이렇듯 신라토우는 다양한 삶의 양태를 드러내고 있으나, 나는 이 중에서 ‘음악과 춤’에 관련된 토우들을 통하여 신라인들의 풍류 생활을 살펴본 적이 있었다. 이 책은 지금까지 내가 신라음악에 대해 연구한 목록들 중에서 신라토우에 나타난 ‘음악과 춤’에 관한 4편의 글을 따로 모은 것이다. 신라인들의 풍류생활에 바탕이 된 악기연구 즉, ‘신라고[新羅琴]’와 ‘비파’ 그리고 ‘관악기’에 관한 글을 차례로 실었고, 마지막으로 ‘신라의 춤과 그 의미’에 관한 글을 더하였다. 아울러 신라토우에 관심 있는 연구자들을 위해 부록에 ‘토우 관련 연구 목록’도 함께 마련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