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한국어판에 부치는 서문
일러두기 서론: 이 책의 목적과 구상 제1장 현실적 존재 Ⅰ 현실적 존재 Ⅱ 파악 - 1 여건 - 2 주체적 형식 Ⅲ 만족, 자기초월체, 그리고 객체적 불멸성 Ⅳ 존재론적 원리 제2장 형성적 요소 Ⅰ 영원한 객체 Ⅱ 신 - 1 신과 주체적 지향 - 2 "신" 개념의 정합성 - 3 요약과 창조성으로의 이행 Ⅲ 창조성(창조적 활동) 제3장 합생의 위상 Ⅰ 예비적 진술 Ⅱ 위상 1-순응적 느낌 - 1 세 개의 범주적 제약 - 2 예시된 세 개의 범주적 제약 Ⅲ 위상 2-개념적 느낌 - 1 개념적 역전 - 2 역전, 신, 그리고 주체적 지향 - 3 가치 평가 그리고 더 나아간 범주적 제약 Ⅳ 위상 3-단순한 비교적 느낌 - 1 물리적(자연적) 목적 - 2 명제와 명제적 느낌 - 3 물리적(자연적) 목적 대(對) 명제적 느낌 Ⅴ 위상 4-복잡한 비교적 느낌 Ⅵ 만족(충족) 제4장 결합체와 대우주적인 것 Ⅰ 변환 Ⅱ 결합체와 질서 Ⅲ 심리학적 생리학 제5장 지각 Ⅰ 인과적 효과성 Ⅱ 현시적(표상적) 직접성 Ⅲ 상징적 연관 Ⅳ 지각, 인과성, 흄에 대한 화이트헤드의 논박 제6장 화이트헤드와 다른 철학자들 Ⅰ 데카르트(와 흄) Ⅱ 로크(와 흄) Ⅲ 칸트 Ⅳ 뉴턴 Ⅴ 뉴턴과 플라톤 Ⅵ 현대 과학 - 1 실체 - 2 철학과 과학 제7장 신과 세계 Ⅰ 이념적으로 대립하는 것 Ⅱ 신과 세계 - 1 신에 대한 전통적 개념들 - 2 신의 원초적 본성 - 3 신의 결과적 본성 - 4 우주론적 문제의 해결 부록: 사변철학의 옹호 화이트헤드의 용어 해설집 역자 해제: 화이트헤드(A. N. Whitehead)의 유기체적 세계관의 구상 『화이트헤드의 과정과 실재 입문』에 대하여 역자 후기 찾아보기 그림 목록 - 1 단순한 물리적 느낌 - 2 합생의 여러 위상 - 3 변환 - 4 동시적인 것(또는 동시태) - 5 상징적 연관 |
Donald W. Sherburne
오영환의 다른 상품
박상태의 다른 상품
철학서적 전문출판 서광사에서 A Key to Whitehead's Process and Reality(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를 번역한 책 『화이트헤드의 『과정과 실재』 입문』을 출간하였다. 이 책의 편저자 도널드 W. 셔번은 미국 반더빌트 대학교 명예 교수로, 그리핀(David Ray Griffin) 교수와 함께 『과정과 실재Process and Reality』 교정판(The Pree Press, 1978)의 공동 편집자이기도 하다. 번역은 화이트헤드 연구가로 정평이 나 있는 오영환, 박상태 교수가 맡았다.
이 책은 셔번 교수가 화이트헤드의 대표작이자 지극히 난해한 저작인 『과정과 실재』를 과감하게 축약하고 재배열함으로써,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을 최대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재구성한 개론서이다. 셔번 교수는 이 책의 한국어판 서문에서 밝히고 있듯이 『과정과 실재』의 주요 주제들을 순차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초학자가 화이트헤드 사상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능력과 이해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적절한 입문서를 구성해 냈다. 본문은 서론과 모두 7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서는 이 책의 목적과 구상을 밝히고 있으며, 1~5장에서는 화이트헤드의 전체적인 철학 체계의 핵심 주제들을 “현실적 존재, 형성적 요소, 합생의 위상, 결합체와 대우주적인 것, 지각”의 순서로 소개한다. 이어서 6장 “화이트헤드와 다른 철학자들”, 7장 “신과 세계”가 이어지고, 책의 말미에 “부록: 사변철학의 옹호”와 “화이트헤드의 용어 해설집”, 그리고 “역자 해제” 등을 함께 실어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과정과 실재』의 본문 여러 곳에 망상조직적(網狀組織的)으로 흩어져 있는 주제들을 직선적으로 새롭게 배열하고, 이에 편저자의 적절한 해석을 첨가하여, 독자들이 직접 『과정과 실재』를 정독하게 될 때 “더 풍성하고 한층 더 가치 있는 경험을 누릴 수 있게 도와주려고 설계한” 이 입문서의 번역 출간이 화이트헤드 연구자들은 물론, 20세기의 위대한 철학자 화이트헤드에 관심 있는 독자들에게도 기쁜 소식으로 전해지길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