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logue PART 01 첫 번째 질문 _ “왜 공감이 필요한가?”Chapter 01 성공하는 이유, 실패하는 이유 H 정형외과의 비밀 메시지만 바꾸었을 뿐인데 왜 Creative한 Idea들은 실패하는가 [나가며] Chapter 02 성공방정식 _ ‘공감’ 설득하려면 공감하라! 공감은 사람을 이해하고 문제를 찾아 해결하는 것 사람 이해하기 문제 파악하기 해결책 만들기 [나가며] Case Study 1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PART 02 두 번째 질문 _ “공감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Chapter 03 사람들 속으로 들어가라! 첫 번째 공감도구 _ ‘관찰’ 왜 관찰인가? 세상을 보는 눈 _ 관찰 틀 관찰의 모든 것 _ 관찰자의 자세 · 관찰이란 기록이다 · 관찰이란 사진이다 · 관찰이란 집중이다 · 관찰이란 보는 것Look, 듣는 것Listen이다 · 관찰이란 Zoom-in/out의 반복이다 POBS를 찾아라 _ 관찰 포인트 · 반복되는 행동 ·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 · 행동을 방해하는 것 · 놀라운 것 [나가며] 두 번째 공감도구 _ ‘경험’ 경험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 세상을 바꾸려는 노력 · 그림자놀이 [나가며] Case study 2 모델하우스에 자주 가는 이유 Chapter 04 사람들에게 물어봐라! 세 번째 공감도구 _ ‘질문’ 질문이 답이다 올바른 질문하기 · 친구가 되어라! · 먼저 들어라! · 제3외국어에 익숙해져라! · 답을 유도하지 마라! · 경험을 확인하라! 극단의 사용자를 찾아라! [나가며] Chapter 05 사람을 느껴라! 네 번째 공감도구 _ ‘분석Deep Dive’ 어떤 일이 벌이지고 있는가? · 사람들은 왜 왼쪽으로 들어갈까? · 왜 매대 주변을 빙빙 맴돌까? · 행동을 이끄는 것은 무엇인가? 코드Code를 찾아라 · 왜 교복을 줄여 입을까? _ 사회적 코드 · 여기는 맞고 거기는 틀리다 _ 문화코드 왜 그럴까? · Why Questioning ·임계점Critical Point을 찾아라! [나가며] Case study 3 가구는 내구재일까? 소모품일까? 다섯 번째 공감도구 _ ‘융합Synthesis’ 진짜 문제Problems to be solved란? · 숨어 있는 이유를 찾아라! · 문제의 조건과 비교하라! [나가며] Case study 4 Clustering & Framework PART 03 세 번째 질문 _ “어떻게 공감을 형성해야 하는가?”Chapter 06 해결책을 만들어라! 여섯 번째 공감도구 _ ‘창의적 아이디어Creative Idea’ 창의적으로 생각하기 · 낯설게 하기 · 다르게 생각하기 · 질문하기 · 말랑말랑 해지기 · 연결하기 · 미리 준비하기 창의적 아이디어 발산하기 · Environment · Methodology · Attitude [나가며] Case study 5 왜 미술관에 가야 하지? Chapter 07 해결 방안을 전달하라! 일곱 번째 공감도구 _ ‘컨셉Concept’ 컨셉 만들기 · 아이디어 연결하기 · 컨셉 구체화하기 컨셉 수정하기 · 프로토타입Prototype · 컨셉 이터레이션Iteration [나가며] Chapter 08 세상을 바꾸는 힘, 공감 공감으로 혁신하라! 공감으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라! · 공감의 힘 _ 대인관계를 바꾸다 · 공감의 힘 _ 자녀와의 관계를 바꾸다 공감으로 자신을 바꿔라! [나가며] Epilogue
|
우리는 '혁신'이라는 이름으로 또는 남들과 다름을 내세워 세상에 새로이 나오는 수많은 상품과 서비스 등을 매일 접한다. 그중 경쟁 속에서 살아남아 소비자의 관심을 끌거나 사용이 되는 상품, 서비스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왜 대다수의 상품과 서비스가 살아남지 못할까?혁신적이지 않아서, 또는 다른 상품이나 서비스와 차별화되지 못해서 성공하지 못할까? 그렇지 않다. 성공하지 못한 이유는 단 한 가지이다. 소비자의 공감을 이끌어내지 못하면 성공하지 못한다. 상품이나 서비스의 사용 필요성 및 사용으로부터 얻는 혜택(효용)을 느끼지 못하는 상품을 구매할 소비자는 없다. 소비자와 공감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 공감은 소비자가 해결하지 못한 문제 또는 충족되지 않은 욕구를 찾아 제공했을 때 이루어진다. 이는 [사람 이해하기], [문제 파악하기], [해결책 만들기]의 공감 프로세스와 관찰, 경험, 질문, 분석, 융합, 창의적 아이디어, 컨셉 등의 7가지 공감도구를 통해 가능하다. [사람 이해하기]를 통해 사람들이 느끼는 불편, 충족되지 않은 욕구, 고유의 특성 등을 알 수 있게 되며, 그들의 행동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문제 파악하기]를 통해서는 사람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진짜 문제 및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은 숨겨진 욕구를 찾을 수 있고, 소비자들의 아픔, 어려움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끝으로 [해결책 만들기]를 통해 문제 해결을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Creative Idea)를 도출하게 되고, 적합한 문제 해결 방안을 검증할 수 있게 된다.공감은 사람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한다는 점에서 인적 네트워크 형성의 기본원리이며, 사람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진짜 문제를 찾아내어 해결방안을 제공한다는 관점에서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의 근본이기도 한다. 따라서 공감 프로세스 및 7가지 공감도구는 상품, 서비스 개발 외에도 ‘창의적 아이디어’, ‘인적 네트워크 형성’, ‘자기소개서 작성’ 및 자녀와의 관계 개선 등에 적용할 수 있어, 충분히 숙지하고 연습한다면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다.이제 더 이상 공감을 끌지 못하는 ‘차별화’, ‘혁신’은 더 이상 경쟁의 승리방식 및 성공방식이 될 수 없다. ‘공감’만이 유일한 성공방식이다. 이에 저자는 성공하고자 하는 상품기획자 및 사업자, 창의적 아이디어를 내고자 하는 대학생 또는 직장인, 자녀와의 관계를 개선하고자 하는 부모 등에게 이 책을 통해 공감 프로세스 및 공감 도구의 습득을 권유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