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EPUB
eBook 동아시아의 부상:1960-2020
한국, 중국, 일본, 대만 기업의 학습과 성장 EPUB
가격
10,500
10,500
YES포인트?
52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동아시아 경제제도와 대표기업

시장경제 유형론과 동아시아 경제제도

동아시아 경제에서 정부의 역할

동아시아의 대표기업과 문화의 영향
한국: 대규모 가족기업 / 대만: 중소규모 가족기업 / 일본: 전문경영 대기업 / 중국: 국유기업과 민간 대기업

경제제도와 혁신역량

2장 동아시아 경제: 압축성장과 성숙

일본경제의 성장과 장기 침체

한국과 대만의 고도성장과 성숙

중국경제의 성장과 전망

3장 일본기업의 성장과 일본적 경영

전전재벌과 전후 게이레츠의 형성

‘일본적 경영’의 변화

일본기업에서 소유와 경영의 분리

일본의 혁신기업

맺는말

4장 한국기업의 성장과 경쟁력

국가 주도 경제성장(1963~1987)하의 재벌

개방의 시련(1997년 경제위기)과 기업 구조조정

한국기업의 새로운 도전

맺는말

5장 대만의 기업과 기업 생태계

대만경제의 성숙과 중국경제와의 관계
대만경제의 성숙 / 중국경제의 부상

대만의 가족기업

대만과 한국의 기업 생태계 비교

대만의 기업 생태계 변화

6장 중국 국유기업의 효율성

대리인 비용과 국유기업 개혁

중국 국유기업은 과연 효율적인가?

국유기업의 개혁 사례
코프코 그룹: 사업다각화를 통한 성장 / 시노팜 그룹: 혼합소유 기업구조 / 바오강집단: 지배구조 개혁

맺는말

7장 중국 민간기업의 도약

중국 민간기업의 성장과정

중국 민간기업의 경쟁우위

중국 민간기업의 기술 추월
텐센트: 아시아 시가총액 1위 기업 / 화웨이: 직원이 주주인 기업

맺는말: 중국 자본주의의 뿌리는?

8장 동아시아의 경제조직과 기업경영: 국가, 가족, 시장의 상호작용 속에서

동아시아 경제성장의 특징

동아시아 경제조직: 국가, 가족, 시장의 역할

동아시아의 기업경영
학습과 추월 / 핵심역량과 성장전략 / 조직구조와 리더십

에필로그 동아시아 기업의 도전: 기술의 대전환과 지정학 리스크

기술의 대전환과 동아시아 기업의 혁신역량

지정학적 리스크의 증가

미주
참고문헌

저자 소개3

공저정구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명예교수·제이캠퍼스 원장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고 미국 미시간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8년부터 2003년까지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강의와 연구를 했고 동서문제연구원장, 경영대학원장, 상경대학장 일을 했다. 2004년에는 한국경영학회 회장으로 재임하면서 한국경영교육인증원을 추진하여 2005년에 설립했다.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삼성경제연구소장으로 일하면서 베이징에 연구소를 세우는 등 국제화와 업그레이드에 기여했다. 2012년에 한국경영학회가 경영학의 발전에 기여한 학자에게 수여하는 ‘상남경영학자상’을 받았다. (사)서울국제포럼의 회
연세대학교 명예교수·제이캠퍼스 원장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고 미국 미시간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8년부터 2003년까지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강의와 연구를 했고 동서문제연구원장, 경영대학원장, 상경대학장 일을 했다. 2004년에는 한국경영학회 회장으로 재임하면서 한국경영교육인증원을 추진하여 2005년에 설립했다.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삼성경제연구소장으로 일하면서 베이징에 연구소를 세우는 등 국제화와 업그레이드에 기여했다. 2012년에 한국경영학회가 경영학의 발전에 기여한 학자에게 수여하는 ‘상남경영학자상’을 받았다. (사)서울국제포럼의 회장을 역임했고 2018년 초에 제이캠퍼스라는 연구소 겸 평생학습기관을 설립하여 현재 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기업의 성장전략과 경영구조』『한국의 기업경영 20년』『동아시아의 부상』이 있다. 그 외 주요 공저로는 『코리안 매니지먼트Korean Management: Global Strategy and Cultural Transformation』『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혁신의 시간』『한국의 제3섹터』『문답으로 이해하는 시장경제원리 99』『대전환의 파도, 한국의 선택』 등이 있다.

정구현의 다른 상품

공저김성민

관심작가 알림신청
 
시카고 로욜라대학교의 경영전략 교수이며 경영학과장을 맡고 있다. 또한 해외 한인경영학자들의 학술모임인 한국경영자협회Association of Korean Management Scholar의 회장으로 봉사하고 있다. 2011년에는 카이스트 경영대학에서 초빙교수로 강의와 연구를 했다. 『전략경영저널Strategic Ma-nagement Journal』 Strategic Entrepreneurship Journal 등 경영전략 및 기업가정신 분야의 학술지에 연구논문을 발표해왔다. 최근 저서로는 『혁신의 시간』?(RHK, 2016, 공저), 『한국의 제3섹터』?(삼성경제연구소, 2016
시카고 로욜라대학교의 경영전략 교수이며 경영학과장을 맡고 있다. 또한 해외 한인경영학자들의 학술모임인 한국경영자협회Association of Korean Management Scholar의 회장으로 봉사하고 있다. 2011년에는 카이스트 경영대학에서 초빙교수로 강의와 연구를 했다. 『전략경영저널Strategic Ma-nagement Journal』 Strategic Entrepreneurship Journal 등 경영전략 및 기업가정신 분야의 학술지에 연구논문을 발표해왔다. 최근 저서로는 『혁신의 시간』?(RHK, 2016, 공저), 『한국의 제3섹터』?(삼성경제연구소, 2016, 공저) 등이 있다. 연세대 경영학과를 졸업했으며 미국 일리노이대학교에서 경영전략과 계량경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공저박승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전략 및 국제경영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국 오레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에 미국 러트거스대학교에서 교수생활을 했고 중국 상하이의 중국 유럽 국제 비즈니스 스쿨CEIBS, China Europe International Business School에서 석좌교수직을 역임했다. 2005년에 삼성경제연구소 중국연구소장으로 일했다. 그 후 러시아 스콜코보 경영대의 신흥시장 연구소장을 역임했다. 그의 연구는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저명한 학회지에 게재되었을 뿐 아니라 신흥국 시장 연구와 관련된 책도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전략 및 국제경영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국 오레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에 미국 러트거스대학교에서 교수생활을 했고 중국 상하이의 중국 유럽 국제 비즈니스 스쿨CEIBS, China Europe International Business School에서 석좌교수직을 역임했다. 2005년에 삼성경제연구소 중국연구소장으로 일했다. 그 후 러시아 스콜코보 경영대의 신흥시장 연구소장을 역임했다.
그의 연구는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저명한 학회지에 게재되었을 뿐 아니라 신흥국 시장 연구와 관련된 책도 최근에 다수 발간했다. 대표 저서로는 『러프 다이아몬드Rough Diamonds』?(2013), 『스케일링 더 테일Scaling the Tail』?(2015), 『신흥 다국적 기업 관리: 국제 과제 해결Managing Emerging Multinationals: Solving International Challenges』?(2016), 『아세안 챔피언스ASEAN Champions』?(2017) 등이 있다. 신흥국 시장연구의 공헌을 인정받아 아카데미 오브 매니지먼트Academy of Management?(국제경영 부문)의 글로벌 커뮤니티 어워드Global Community Award를 수상했다.

품목정보

발행일
2019년 01월 30일
이용안내
  •  배송 없이 구매 후 바로 읽기
  •  이용기간 제한없음
  •   TTS 가능 ?
  •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인쇄 기능 제공 안함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PC(Mac)
파일/용량
EPUB(DRM) | 0.00MB ?
글자 수/ 페이지 수
약 14만자, 약 3.7만 단어, A4 약 88쪽 ?
ISBN13
9791189430122
KC인증

출판사 리뷰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100주년 기념 기획도서!

동아시아 한국, 중국, 일본, 대만의
경제와 기업을 읽고 미래를 조망한다!

미중 패권 전쟁과 기술 대전환의 시대에
동아시아 4대 경제는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

이 책은 오늘날 세계경제의 한가운데 우뚝 선 동아시아의 한국, 중국, 일본, 대만의 4대 경제성장, 경제조직, 기업경영을 살펴본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의 시기에 관심을 두고 있다. 1960년부터 2020년까지의 60년이다. 그리고 다시 1961년부터 1990년까지와 1991년부터 2020년까지로 나누어서 살펴본다.
동아시아의 4대 경제는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공통점을 찾기는 쉽지 않다. 규모도 다양하고 완전히 다른 역사와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또 서로 다른 출발점에서 경제 성장을 시작했다. 그리고 압축 성장과 성숙을 통해 60여 년이 지난 오늘날 세계경제에서 중국은 2위, 일본은 3위, 한국은 12위, 대만은 22위로 발돋움했다. 동아시아의 4대 경제는 어떻게 이렇게 눈부신 성장을 할 수 있었을까?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쳤는지, 어떤 주요 특징이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것들은 계속 유효할지를 살펴본다. 그럼으로써 앞으로 10년간 이어질 미중 패권 전쟁과 기술 대전환의 시대에 동아시아 4대 경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성찰해보고 있다.

세계경제가 주목했던 일본적 경영이란 무엇인가?
동아시아 한국, 중국, 일본, 대만의 4대 경제 중 가장 먼저 선진경제를 이룩한 나라는 일본이다. 메이지 유신과 2차 산업혁명 시기가 맞물리면서 산업화와 급성장을 이룩했다. 제2차 세계대전에 패하면서 미군에게 점령당하긴 했지만 곧이어 터진 한국전쟁의 특수를 누리며 본격적인 경제 성장 가도를 달렸다. 그럼 일본기업의 특징은 무엇일까? 미 군정에 의해 해체된 전전재벌의 인적 네트워크가 바탕이 돼 다시 자리를 잡은 수평적인 그룹인 게이레츠系列가 중심이 됐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게이레츠를 중심으로 한 일본적 경영은 합의제와 상향식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집단적 폐쇄주의 성격이 강하다.
특히 일본 대기업은 한국이나 대만과 달리 전문경영체제가 많다. 가업을 혈연이 아닌 외부인에게도 물려주는 것이다. 가업을 혈연과 구분되는 일종의 브랜드이며 사업체로 보기 때문이다. 또한 가족과 종업원이 하나의 공동체이며 비교적 평등한 인간관계를 맺고 있다. 이러한 일본적 경영은 한때 전세계에서 주목하고 배우려고 했다. 하지만 1986년 플라자합의 이후 잃어버린 25년이란 장기침체를 겪게 되면서 일본적 경영에 관한 관심이 많이 사라졌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의 경쟁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과연 중국은 언제까지 경제성장을 이끌어갈 것인가?
중국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공산당과 국민당 간의 내전이 있었고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세워지며 공산국가가 됐으며 1950년 한국전쟁에 참전했다. 그렇게 1978년까지 자본주의 경제와 담을 쌓고 지냈다. 동아시아 4대 경제 중 가장 늦게 경제성장을 시작해야 했다. 그러나 1978년에 시장경제로 개혁을 시작한 이후 2017년까지 40년간 근 10%의 경제성장을 계속해왔다. 2010년에는 일본을 제치고 세계경제 2위의 경제 대국이 됐다.
중국경제가 사회주의 체제로 운영된 25년 동안에 중국경제 산업생산의 80%가 국유 부문이고 20%만이 민간 부문이 됐다. 그러나 1978년부터 2017년까지 40년 동안 중국 소유 구조가 획기적으로 바뀌어 국유 부문이 30% 미만이고 민간 부문이 70%가 넘게 됐다. 중국경제의 주역이 국유기업에서 민간기업으로 바뀐 것이다. 중국경제의 혁신을 민간기업이 주도하고 있다. 현재 동아시아 4대 경제 중 가장 창업이 활발하고 기업가정신이 팽배해 있다.
그런데 그럼 중국은 과연 언제부터 저 성장기로 접어들 것인가? 여러 경제기관의 전망치를 보면 중국은 2020년대 중반까지는 5%대의 높은 경제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어떻게 빠른 추격자에서 선도자가 됐는가?
한국은 일본이나 대만과 비교해 늦은 출발점인 1963년부터 1997년까지 35년간 압축성장을 했다. 1962년 정부 주도 경제개발계획이 시작되면서 산업화가 본격화됐고 성장하기 시작했다. 국가가 주도해서 경제성장을 하다 보니 특혜를 받은 기업들은 오늘날의 대기업(재벌)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1997년 IMF를 겪으면서 대기업 재편이 이루어졌고 신자유주의 물결에 휩싸이며 일본식 경영에서 미국식 경영으로 변모해야 했다. 또한 혁신역량이 강조되면서 연구개발 투자가 급격히 늘었다.
그렇게 한국기업들은 IMF를 거치고 2000년대 들어서면서 빠른 추격자에서 벗어나 선진국 기업들을 추월하여 세계 시장에서 선도자의 위치에 서게 됐다. 그러나 한국기업들은 주력 산업 전반에 걸쳐 중국의 추격과 함께 동시다발적으로 국제경쟁력이 하락하고 있어 성장 잠재력이 있는 신사업 분야로의 사업구조 혁신이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10년 후 20년 후 한국경제와 기업 전망은 낙관적이지 않다. 무엇보다도 한국 경영자들의 인식 변화가 중요하다.

대만기업은 과연 대만기업인가, 중국기업인가?
대만은 1950년대 중반부터 경제성장을 했다. 1960년대 초 연평균 11%의 성장을 했고 1970년대에도 10% 내외의 경제성장을 했다. 1980년대 초 8%로 하락했다가 후반에 다시 10%대 접근하는 고속성장을 했고 1990년대에도 7%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했다. 그러나 2001년 이후 IT 버블이 터진 이후 2001년부터 2015년까지 3.7%의 경제성장을 했다. 그러나 2015년 이후부터 2%대의 낮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특히 대만은 2010년 중국경제가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부상한 뒤 중국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다. 중국은 대만을 중국의 일부로 보고 내국인 기업으로 대우했다. 대만기업은 모두 중국에 투자했고 제2, 3의 공장을 중국에 두게 됐다. 그러다 보니 대만 기업의 매출과 수익 대부분이 중국시장에서 발생했다. 그럼 그 대만기업은 과연 대만기업인가, 중국기업인가? 하는 문제가 대두됐다. 대만의 기업 생태계와 중국의 기업 생태계가 붙어버린 것이다. 이에 대만 정부는 대만기업을 다시 대만으로 불러들이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노력이 얼마나 효과를 거둘지는 미지수이다. 대만과 중국 경제가 통합되면서 과연 대만은 어떻게 하면 고부가가치 활동을 계속해서 지속적인 소득의 증가와 경제의 번영을 유지할 것인가의 생존 문제에 직면하게 됐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에필로그에서는 과점을 미래로 돌려서 앞으로 2030년까지 대전환의 성격과 동아시아 경제와 기업의 도전과제를 살펴본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