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토비의 스프링 3.1 Vol. 1 스프링의 이해와 원리』
1장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2장 테스트 3장 템플릿 4장 예외 5장 서비스 추상화 6장 AOP 7장 스프링 핵심 기술의 응용 8장 스프링이란 무엇인가? 9장 스프링 프로젝트 시작하기 부록 A 스프링 모듈 부록 B 스프링 의존 라이브러리 『토비의 스프링 3.1 Vol. 2 스프링의 기술과 선택』 1장 IoC 컨테이너와 DI 2장 데이터 액세스 기술 3장 스프링 웹 기술과 스프링 MVC 4장 스프링 @MVC 5장 AOP와 LTW 6장 테스트 컨텍스트 프레임워크 7장 스프링의 기타 기술과 효과적인 학습 방법 부록 A 스프링 모듈 부록 B 스프링 의존 라이브러리 |
저이일민
관심작가 알림신청이일민의 다른 상품
★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Vol. 1 스프링의 이해와 원리] ★ 스프링의 3대 핵심 기술인 IoC/DI, PSA, AOP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는 실전 예제 중심의 설명 개발 현장에서 매일 만나는 평범한 자바코드를 스프링의 핵심 기술을 적용해서 깔끔하고 스프링다운 코드로 개선해나가는 과정을 상세하게 보여줌으로써 스프링의 핵심 원리와 적용 방법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 자바언어와 JDBC만 알면 누구라도 따라할 수 있는 58단계의 상세한 스프링 애플리케이션 핵심 코드 개발과정 자바 초보 개발자도 부담없이 따라할 수 있도록 58단계로 세분화된 애플리케이션 핵심코드 개발과정과 58개의 예제 프로젝트를 제공해 복잡한 스프링의 기술을 차근차근 학습해 나갈 수 있게 해준다. ★ 스프링 3.0과 스프링 3.1의 최신 기술 활용 방법과 업그레이드 전략 제시 스프링 3.0과 스프링 3.1의 최신 기술을 이용해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필요로 하는 친절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준다. 스프링 3.0으로 개발된 예제를 스프링 3.1의 기술에 맞게 전환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보여준다. ★ 스프링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설계와 스프링 기반 프레임워크 제작을 위한 완벽 가이드 스프링을 이용한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작성을 위한 다양한 아키텍처 소개와 전략 분석, 스프링을 기반으로 한 사내 프레임워크 제작에 꼭 필요한 스프링 확장 기법과 원리를 소개한다. [Vol. 2 스프링의 기술과 선택] ★ DIJ/JavaConfig, OXM, @MVC, SpEL, Task, REST 등의 스프링 3.0의 최신 기술 소개 Java EE 6의 JSR-303과 자바코드를 이용한 최첨단 DI기술, XML 매핑을 위한 OXM, 기존 MVC를 완벽하게 대체한 강력한 웹 프레임워크인 @MVC, 스프링 공식 EL인 SpEL, JSR-303(BeanValidation)과 새로운 컨버터와 포매터 활용방법, 각종 비동기 작업을 위한 Task 기능, REST 템플릿 사용법 등 스프링 3.0의 새로운 기능을 기존 스프링 기술과 함께 상세히 소개한다. ★ 런타임 추상화, 프로파일, 프로퍼티 소스, 캐시 추상화, 발전된 @MVC, 플래시 맵 등 스프링 3.1의 최신 기술 소개 프로파일을 이용한 다이내믹한 빈 설정 기술, 통합된 프로퍼티 소스, 더욱 강력해진 @MVC 핸들러 작성, 플래시 맵 활용 방법과 AOP를 이용한 캐시 추상화 등 스프링 3.1의 최신 기술과 달라진 점을 자세히 소개한다. ★ 스프링 기술 선택을 위한 상세한 기술 비교, 선택 기준 제시 같은 기술에도 수많은 옵션을 제공하는 스프링의 특성 때문에 기술 선택에 고민하는 개발자를 위해서 스프링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술 옵션을 비교하고, 환경에 따른 적절한 선택을 위한 기준을 제공해준다. ★ @Enable 빈 설정 모듈화 기법 소개 스프링 3.1의 최신 자바코드 빈 설정 기법을 이용해서 재사용 가능한 빈 설정 모듈을 만드는 방법을 스프링 3.1에 적용된 실전 예를 기준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 스프링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설계와 스프링 기반 프레임워크 제작을 위한 완벽 가이드 스프링을 이용한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작성을 위한 다양한 아키텍처 소개와 전략 분석, 스프링을 기반으로 한 사내 프레임워크 제작에 꼭 필요한 스프링 확장 기법을 소개한다. ★ 이 책의 구성 ★ 스프링이 공개된 지 이미 9년째이고 많은 개발자가 스프링을 사용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오고 있다. 그럼에도 적지 않은 수의 개발자들은 스프링의 핵심 가치와 혜택을 충분히 누리지 못하는 듯하다. 스프링의 가치를 제대로 누리며 사용하려면 스프링을 제대로 공부해야 한다. 스프링을 효과적으로 익히려면 다음의 세 가지 단계를 통해 스프링을 학습해야 한다. ▶ 스프링의 핵심 가치와 원리에 대한 이해 ▶ 스프링의 기술에 대한 지식과 선택 기준 정립 ▶ 스프링의 적용과 확장 이 책은 이 세 가지 단계를 따라서 스프링을 공부하려는 사람을 대상으로 쓰여진 책으로, Vol. 1에서는 첫 단계인 ‘핵심 가치와 원리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하고, Vol. 2에서는 두 번째 단계인 ‘스프링 기술에 대한 지식과 선택’을 집중해서 다룬다. 세 번째 단계인 확장에 대해서는 책의 여러 곳에서 다양한 전략과 예제, 힌트를 제공한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응용과 확장에 대한 지식을 쌓는 일은 독자들의 몫이다. 각자의 상황에 맞게 처음 두 단계에서 배운 지식을 응용해 스프링을 확장해보는 훈련을 해야 한다. [Vol. 1 스프링의 이해와 원리]의 구성과 예제 Vol. 1에서는 간단한 예제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통해 스프링의 기본 원리와 핵심 기술을 설명한다. 스프링은 개발자가 만드는 코드가 얹혀서 동작하는 프레임워크다. 프레임워크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개발자가 일정한 틀을 따라 효과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도록 돕는 것이다. 따라서 프레임워크를 잘 이해하려면 프레임워크를 사용했을 때 애플리케이션 코드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자세히 살펴봐야 한다. Vol. 1에서는 각 장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개발한 단순한 코드를 먼저 작성해보고, 여러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코드로 발전시킨다.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의 코드와 적용 후의 코드를 비교하면서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어떤 식으로 코드가 만들어져야 하는지를 설명한다. Vol. 1에서 다루는 내용은 Vol. 2에서 본격적으로 소개할 스프링의 다양한 기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된다. 스프링에 적용된 기본 패턴과 기반이 되는 원리를 Vol. 1에서 설명하는 순서에 따라 학습해두면 이후에 스프링의 개별 기술과 API를 익힐 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1장부터 7장까지는 사용자 관리 기능을 구현하는 하나의 예제를 만드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예제는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연결된다. 코드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면서 발전시키기 때문에 코드가 계속 바뀌고 새로운 클래스가 추가되거나 사라지기도 한다. 에이콘출판사 홈페이지에서 내려 받을 수 있는 소스코드의 예제들은 각 장에서 코드가 바뀌는 주요 절별로 제공된다. 가능하면 Vol. 1의 예제는 책의 내용을 참고해서 직접 따라 해보기를 권장한다. 코드가 만들어지고 개선되고 발전하는 과정을 직접 체험하는 것이 Vol. 1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이다. 스프링 3.1의 새로운 기술을 다루는 7.6절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예제는 스프링 3.0을 기준으로 사용할 라이브러리를 소개한다. 모든 내용은 스프링 3.1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스프링 3.1을 이용해 예제를 작성해도 무방하다. 소스코드 파일에는 스프링 3.0과 3.1 버전으로 각각 작성된 Vol. 1의 예제 프로젝트가 담겨 있다. [Vol. 2 스프링의 기술과 선택]의 구성과 예제 Vol. 2에서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이용해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는 다양한 방법을 살펴보고, 각 방법의 특징과 장단점을 설명한다. Vol. 2는 각 장마다 개별 기술을 독립적으로 설명하므로 원하는 장부터 살펴봐도 상관없다. 다만 1장은 스프링을 이용해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반드시 알아야 할 애플리케이션 구조와 설정 방법을 설명하므로 다른 장으로 넘어가기 전에 먼저 살펴보기를 권장한다. Vol. 2는 스프링이 제공하는 기술의 종류와 특징, 사용법에 대한 설명에 집중하고, 이를 이용해서 만들어지는 애플리케이션 코드의 패턴과 구조에 관한 내용은 Vol. 1에서 자세히 다루므로 Vol. 2에서 다루지 않는다. Vol. 2의 내용은 Vol. 1에서 설명한 내용을 이해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작성됐다. 스프링의 개발 기술 내용을 빠르게 살펴보고 싶다면 Vol. 1을 보지 않고 Vol. 2를 먼저 봐도 되지만, 가능한 한 Vol. 1을 먼저 공부하고 Vol. 2의 내용을 보기를 권장한다. Vol. 2의 내용은 대부분 스프링 3.0과 스프링 3.1 버전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스프링 3.1에만 적용되는 내용은 각 장의 마지막 절에서 따로 설명한다. Vol. 2의 예제 코드는 두 가지로 구성된다. 첫째는 각 장에서 설명하는 스프링 기술의 사용 방법을 담은 학습 테스트다. 책에는 설명에 꼭 필요한 일정 분량의 코드만 소개되어 있다. 각 기술의 사용 방법을 담은 좀 더 다양한 코드는 소스코드 파일에 담긴 learningtest 프로젝트의 학습 테스트 코드를 참고하면 된다. 테스트 코드이지만 기술 학습용으로 작성됐으므로 이를 Vol. 2의 내용과 함께 살펴보면 스프링 기술의 사용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learningtest 프로젝트는 스프링 3.0으로 작성된 것과 스프링 3.1로 작성된 것, 두 가지가 제공된다. 둘째는 스프링 웹 기술인 스프링 MVC를 이용해 만든 웹 애플리케이션 예제인 springusergroup 프로젝트다. 이 프로젝트는 서버에서 동작하도록 만들어진 완전한 애플리케이션이다. 그렇다고 이 예제 프로젝트를 그대로 가져다 실전에서 활용하면 될 것이라고 기대해선 안 된다.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참고하거나 프로젝트의 각 기술 영역에 대한 접근 방법이 자신의 상황과 일치한다면 일부를 활용할 수는 있겠지만, Vol. 2에서 줄곧 설명하는 대로 아키텍처와 계층구조, 사용할 기술, 설정 방법, 각 기술의 접근 방법은 각자의 상황과 환경에 맞게 선택해야 한다. springusergroup 예제의 목적은 스프링 MVC를 사용한 웹 프레젠테이션 계층의 개발과 이를 다른 계층과 어떻게 접목하는지에 관한 것임을 기억하자. 예제 프로젝트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은 각 프로젝트 폴더의 readme.txt 파일을 참고하면 된다. 모든 예제 프로젝트는 JavaSE 1.6과 이클립스 기반의 STS(SpringSource Tool Suite)에서 작성됐다. STS는 http://www.springsource.com/products/sts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책의 예제에 사용한 DB는 MySQL 5.1 버전이다. 하지만 적절한 JDBC 드라이버를 추가하고 DB 연결정보를 수정해주면 그 밖의 DB를 사용해서 예제를 실행할 수 있다. DB를 변경하는 방법도 프로젝트 루트의 readme.txt 파일에 나와 있다. [별도 소스코드 제공] - 이 책에 들어 있는 모든 예제의 소스코드 - 스프링 3.0과 스프링 3.1의 기술 활용법을 보여주는 학습 테스트 코드 - 스프링 @MVC를 이용한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