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목차
서문 참된 교회를 그리며 사도행전 3장 1 성전 미문 I (행 3:1-10) 사순절 셋째 주일 2 성전 미문 II 사순절 넷째 주일 3 성전 미문 Ⅲ 사순절 다섯째 주일 4 성전 미문 Ⅳ 고난 주일 5 성전 미문 Ⅴ 부활 주일 6 붙잡으니 (행 3:11-16) 7 솔로몬의 행각 8 조상의 하나님 가정 주일 9 예수로 말미암아 10 새롭게 되는 날 (행 3:17-21) 11 주 앞으로부터 12 버리게 하셨느니라 (행 3:19-26) 성령강림 주일 사도행전 4장 13 그들을 잡으매 (행 4:1-4) 14 버린 돌로서 (행 4:5-12) 15 다른 이로써는 16 이상히 여기며 (행 4:5-14) 17 예수와 함께 (행 4:13-22) 창립 1주년 기념 예배 18 판단하라 19 사십여 세나 20 대주재여 (행 4:23-31) 21 진동하더니 22 사도들의 발 앞에 (행 4:32-37) 23 바나바라 하니 사도행전 5장 24 얼마를 감추매 (행 5:1-11) 25 함께 꾀하여 26 젊은 사람들 27 다 나음을 (행 5:12-16) 28 밤에 옥문을 열고 (행 5:17-32) 29 다 모으고 30 하나님께로부터 났으면 (행 5:33-42) 31 예수는 그리스도 부록 거룩한 땅 양화진 홍보관 착공 감사 예배 큰 기쁨의 좋은 소식 성탄 축하 예배 |
이재철의 다른 상품
책속에서
베드로는 자신과 앉은뱅이의 믿음을 ‘나의 믿음’ 혹은 ‘우리의 믿음’이라 하지 않고, “예수로 말미암아 난 믿음”이라고 못박았습니다. 자신과 앉은뱅이가 지닌 믿음의 출처가 자기 자신들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이심을 분명하게 밝힌 것입니다. (110쪽, ‘예수로 말미암아’) ■ 사랑하는 교우 여러분! 오늘 여러분의 삶을 사로잡고, 여러분의 생명을 옥죄고 있는 손들이 대체 무엇입니까? 사악한 흑암의 손들입니까? 눈먼 권력의 손들입니까? 가난과 질병, 고통과 절망의 손들입니까? 그러나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지금 우리에게 임하신 주님의 말씀에 우리의 생을 던지기만 하면 이 세상의 그 어떤 것, 그 무슨 손들도 우리의 장애물이 될 수는 없습니다. 우리가 주님의 말씀에 우리 자신을 던지기만 하면 우리의 삶의 족적은 우리가 이 세상을 떠난 뒤에도 이 시대를 위한 사도행전으로 남을 것이요, 이 세상의 어둠이 짙으면 짙을수록 우리의 삶은 더더욱 로마서의 빛을 발할 것입니다. 그 말씀이 지금 우리에게 임해 있고, 남은 것은 오직 우리의 결단입니다. (165쪽, ‘그들을 잡으매’) ■ 사도들의 기도는 단순히 자신들의 개인적인 필요나 염원을 충족시키기 위한 내용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들의 기도는, 자신들이 유대교 지도자들의 위협에 맞서 ‘하나님 앞에서 너희 말 듣는 것이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것보다 옳은가 판단하라’고 당당하게 맞설 수 있었던 것도, 예수님의 죽음을 결의했던 산헤드린 의원들을 향해 ‘너희가 십자가에 못박아 죽인 예수를 하나님께서 다시 살리셨다’고 담대하게 증언할 수 있었던 것도,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선천성 앉은뱅이를 낫게 하는 표적과 기사를 행할 수 있었던 것도, 모두 천지의 대주재이신 하나님께서 자신들과 함께해 주셨기에 가능할 수 있었음을 감사하는 찬양이었습니다. 나아가 앞으로도 대주재이신 하나님께서 자신들과 함께하시는 한 그 누구의 위협에도 굴하지 않을 수 있고, 어떤 상황 속에서도 담대하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할 수 있으며,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능력을 드러내는 사도가 될 수 있음을 확신하는 신앙고백이었습니다. 한마디로 그들의 기도는 자신들의 삶 속에서 자신들과 함께 계시는 하나님에 대한 재확인이자, 그 하나님에 대한 완전한 자기 의탁이었습니다. (259쪽, ‘진동하더니’) ■ 오직 예수 그리스도 안에만 있는 그 생명 속에서, 우리 모두 육적 치유와 영적 구원을 날마다 얻고 누리게 하옵소서. 그 생명으로 인해 이 세상의 모든 것들, 무심코 스쳐 지나온 세상의 빛, 색깔, 공기마저도 새로운 의미로 승화되게 하옵소서. 우리의 코끝에 호흡이 있는 동안 우리의 삶을 통해 그 생명이 동서남북으로 스며들게 하시고, 우리의 코끝에서 호흡이 멎는 그날이 죽음의 날이 아니라 새로운 삶을 향한 벅찬 출정식이 되게 하옵소서. 아멘. (191쪽, ‘다른 이로써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