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사르트르의 『존재와 무』 입문
반양장
가격
30,000
10 27,000
YES포인트?
300원 (1%)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서문 … 9

1. 맥락 … 13

2. 주제들의 개관 … 29

3. 본문 읽기 … 75

(A) 기초존재론 … 75
(B) 인간주체의 근본 구조 … 156
(C) 타자와의 관계 … 212
(D) 자유, 동기 그리고 윤리 … 245
(E) 전체(whole)로서 존재 … 323

4. 수용과 영향 … 337

옮긴이의 말 … 365
참고문헌 및 추가 독서 목록 제언 … 367
찾아보기 … 391

저자 소개2

세바스찬 가드너

관심작가 알림신청
 

Sebastian Gardner

영국의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의 철학과에서 칸트, 사르트르, 독일관념론 등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관심사는 칸트, 독일관념론, 19세기 독일 철학이며 현재 칸트의 제3 비판의 유산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비합리성과 정신분석철학』(1993),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개론』(1999) 등이 있다. 최근에 ‘Schopenhauer’s Metaphilosophy: How to Think a World Without Reason’(2017), ‘Metaphysical Motivation: Crime and Punishmen
영국의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의 철학과에서 칸트, 사르트르, 독일관념론 등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관심사는 칸트, 독일관념론, 19세기 독일 철학이며 현재 칸트의 제3 비판의 유산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비합리성과 정신분석철학』(1993),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개론』(1999) 등이 있다. 최근에 ‘Schopenhauer’s Metaphilosophy: How to Think a World Without Reason’(2017), ‘Metaphysical Motivation: Crime and Punishment in the Light of Schelling’(2019), ‘Nietzsche on the Arts and Sciences’(2019)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마르크스주의 및 사회과학 분야를 연구하며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의 핵심 논점을 다룬 『구조와 모순: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의 논점들』(2014)을 저술하였다, 마르크스의 경제이론을 분석한 『『자본』의 이해: 마르크스의 경제이론』(2015)과 버틀러의 『권력의 정신적 삶』(2019, 공역) 등을 번역했다. 주요 논문으로 「예술과 이데올로기: 스피노자 또는 브레히트」, ‘Gramsci and Althusser: the Theorists of Topography’(2016), ‘Language and Ideology: Althusser’s Theory of I
마르크스주의 및 사회과학 분야를 연구하며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의 핵심 논점을 다룬 『구조와 모순: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의 논점들』(2014)을 저술하였다, 마르크스의 경제이론을 분석한 『『자본』의 이해: 마르크스의 경제이론』(2015)과 버틀러의 『권력의 정신적 삶』(2019, 공역) 등을 번역했다. 주요 논문으로 「예술과 이데올로기: 스피노자 또는 브레히트」, ‘Gramsci and Althusser: the Theorists of Topography’(2016), ‘Language and Ideology: Althusser’s Theory of Ideology’(2018) 등이 있다.

강경덕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9년 11월 30일
판형
반양장 ?
쪽수, 무게, 크기
400쪽 | 582g | 153*224*30mm
ISBN13
9788930612197

출판사 리뷰

이 책에서는 원저 『존재와 무』의 중요한 단어나 구절들을 인용할 때, 원저 불어판 페이지와 영어판 페이지 정보를 기입하였다. 거기에 더하여 국내 『존재와 무』 번역판 삼성출판사와 동서문화사의 페이지 정보도 함께 실었다. 독자들이 이해하기 더 쉽고, 연구할 때 도움이 되게 하고자 하는 역자의 원의로 긴 작업과 노고를 거쳐 기입할 수 있었다.

바디우는 그의 글(‘The Adventure of French Philosophy’, New Left Review, 35, Sep-Oct, 2005, p.67.)에서 『존재와 무』를 프랑스 현대철학의 출발점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이는 아마도 『존재와 무』가 프랑스 철학 및 철학 일반에 끼친 영향이 그만큼 컸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어떤 면에서는 바디우 자신의 저서인 『존재와 사건』도 사르트르에게서 큰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르트르 이후 출현한 구조주의가 사르트르를 비판하고 그와 단절하면서 이루어졌다는 점은 그의 저작이 지닌 철학적 의미를 더욱 부각한다. 따라서 사르트르의 『존재와 무』는 존재와 (현대) 철학을 이해하고자 할 때 여전히 건너뛸 수 없는 주요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이 주체에 중심적인 역할을 부여하며 이 세계를 ‘무’와 ‘본원적 선택’의 영역으로 이해/구성하려 했던 사르트르의 철학을 이해하고, 나아가 (현대)철학을 이해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리뷰/한줄평4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9.0 한줄평 총점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
27,000
1 27,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