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제 1 장 환경미생물의 기초
1.1. 미생물의 정의 1.2. 미생물의 발견 1.3. 미생물의 발생 1.4. 미생물의 분류체계 1.5. 미생물학과 환경미생물학 1.6. 환경미생물 1.7. 환경미생물의 종류 1.8. 미생물과 영향인자 1.9. 미생물의 명칭 제 2 장 지구환경과 미생물 2.1. 대기미생물 2.2. 해수미생물 2.3. 담수미생물 2.4. 토양미생물 2.5. 탄소의 순환 2.6. 질소의 순환 2.7. 황의 순환 2.8. 인의 순환 제 3 장 미생물 성장곡선과 미생물 동력학 3.1. 미생물 성장곡선 3.2. 미생물 동력학 제 4 장 미생물에 의한 질병 4.1. 질병의 발생 4.2. 수인성 질병 4.3. 식중독 제 5 장 생물학적 하수처리 5.1. 생물학적 하수처리 개요 5.2. 활성슬러지 공정 5.3. 살수여상 공정 5.4. 산화지 5.5. 고도처리 제 6 장 생물학적 슬러지 처리 6.1. 생물학적 슬러지 처리 개요 6.2.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슬러지 분해 6.3.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슬러지 분해 제 7 장 혐기성 수소발효 7.1. 지구온난화와 수소의 관계 7.2. 생물학적 수소생산 7.3. 혐기성 수소발효 7.4. 수소생산의 극대화 방안 제 8 장 미생물 연료전지 8.1. 미생물 연료전지의 역사 8.2. 미생물 연료전지의 개념 8.3. 미생물 연료전지의 이론 8.4. 미생물 연료전지의 응용 제 9 장 유전공학 이용 환경기술 9.1. 유전공학을 이용한 환경기술의 흐름 9.2. 분석 대상 9.3. PCR 기반 분석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