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EPUB
eBook 초판본 한중록
1795년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 EPUB
가격
1,100
10 99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상세 이미지

소개

관련 동영상

목차

책머리에
혜경궁 홍씨와 『한중록』

한중록 (한중만록) 1권
한중록 (한중만록) 2권
한중록 (한중만록) 3권
한중록 (한중만록) 4권
한중록 (한중만록) 5권
한중록 (한중만록) 6권

연표
작품해설
참고문헌

저자 소개2

혜경궁 홍씨

관심작가 알림신청
 

惠慶宮洪氏

조선 21대왕 영조의 아들 사도세자의 빈이자 조선 22대왕 정조의 생모. 1735년(영조11년) 6월 18일에 영풍부원군 홍봉한과 한산 이씨의 둘째 딸로 한양에서 태어났다. 1744년 열 살의 나이에 영조의 둘째 아들인 장현 세자, 곧 사도세자의 빈으로 책봉되었고, 1752년에 정조를 낳았다. 1762년 남편은 사도세자가 뒤주 속에 갇혀 죽임을 당하자 혜빈으로 추서되었다가 아들인 정조가 왕위에 오르자 궁호가 혜경으로 승격되었다. 아버지 홍봉한을 비롯한 외가가 정조의 즉위를 방해한 세력으로 간주되어 배척당하게 된다. 1800년 손자 순조가 즉위했지만 나이가 어려 영조비 정순왕후의
조선 21대왕 영조의 아들 사도세자의 빈이자 조선 22대왕 정조의 생모. 1735년(영조11년) 6월 18일에 영풍부원군 홍봉한과 한산 이씨의 둘째 딸로 한양에서 태어났다. 1744년 열 살의 나이에 영조의 둘째 아들인 장현 세자, 곧 사도세자의 빈으로 책봉되었고, 1752년에 정조를 낳았다. 1762년 남편은 사도세자가 뒤주 속에 갇혀 죽임을 당하자 혜빈으로 추서되었다가 아들인 정조가 왕위에 오르자 궁호가 혜경으로 승격되었다. 아버지 홍봉한을 비롯한 외가가 정조의 즉위를 방해한 세력으로 간주되어 배척당하게 된다. 1800년 손자 순조가 즉위했지만 나이가 어려 영조비 정순왕후의 수렴청정이 시작되었고, 사도세자에게 동정적이었던 인물들이 대대적으로 숙청되면서 혜경궁 홍씨의 동생 홍낙임도 처형되었다.

1795년 친정 조카인 홍수영의 소청으로 『한중록』을 쓰기 시작한 그녀는 1815년(순조 15년) 12월 15일 81세를 일기로 창경궁 경춘전에서 한 많은 생을 마감하였다. 1899년(광무 3년) 사도세자가 장조로 추존되면서 그녀 또한 경의왕후로 추존되었다. 『한중록』은 『인현왕후전』, 『계축일기』와 더불어 궁중문학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혜경궁 홍씨의 다른 상품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한국문인협회 한국작가회의 회원이자 시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근대작가론』, 『신경향국어』 등을 집필했다.

품목정보

발행일
2020년 04월 21일
이용안내
  •  배송 없이 구매 후 바로 읽기
  •  이용기간 제한없음
  •   TTS 가능 ?
  •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인쇄 기능 제공 안함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PC(Mac)
파일/용량
EPUB(DRM) | 30.00MB ?
ISBN13
9791164452750
KC인증

출판사 리뷰

절대적 권력 앞에서 무너져 내리는 남편을 봐야 했던
혜경궁 홍씨의 한과 설움의 기록
역사에 남길 수 없었던 참혹한 가족사
혜경궁 홍씨가 숨어서 써 내려간 아픔의 이야기
사도세자의 부인이자 정조대왕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가
눈물로 지새우며 남긴 화려한 조선 왕조의 이면!

왕이 되었으면 가장 위대했을 군주 사도세자와 영조와의 갈등,
화려한 조선 왕조의 이면 속에 감춰진 눈물의 이야기


혜경궁 홍씨가 쓴 『한중록』이 더스토리 1795년 오리지널 초판본 초호화 패브릭 표지디자인으로 새롭게 출간되었다. 놀라운 역사의 기록이자, 수많은 에피소드가 사실적으로 기록된 『한중록』은 왕이 되었어야 할 남편과 시아버지와의 불화, 성군으로 칭송받는 아들 정조에 대한 사랑 등을 포함해 규중 여인의 눈으로 지켜본 화려한 조선 왕실의 이면에 비친 어두운 부분을 세세하게 그려내고 있다.

“저는 혜경궁 홍씨의 삶에 매우 깊은 매력을 느꼈습니다. 홍씨는 매우 지적인 여성으로 한중록이라는 일기에 자신의 남편의 죽음과 관련된 상황을 상세하게 적을 수 있었지만 정치적 판단을 고려했는지 상세히 적지는 않았더군요. 하지만 그녀는 당대의 정치적 상황을 매우 뛰어나게 이해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한중록에서 등장하는 여러 인물에 대한 심리묘사 역시 매우 탁월합니다. 제 생각에 그녀는 상당한 심리학적 지식을 가지고 있었고, 프로이트나 융의 개념들을 이미 이해하고 있지 않았나 싶습니다.”
_ 2005년 1월 18일, 마거릿 드래블(영국 작가), 황석영과의 토론 중에서

절대적 권력 앞에서 무너져 내리는 세자의 비극적인 이야기를 모두 지켜본 혜경궁 홍씨의 한과 설움이 담긴 『한중록』은 뛰어난 문학 작품인 동시에 조선왕조실록이 전해줄 수 없는 궁궐의 내밀한 역사를 밝히는 귀중한 사료이며, 조선의 역사와 문학을 모두 담고 있는 뛰어난 수작이다. 시인이자 국문학자인 박병성 원장의 해설이 담긴 더스토리만의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의 『한중록』을 만나보자.

리뷰/한줄평37

리뷰

9.8 리뷰 총점

한줄평

9.4 한줄평 총점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