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1년 05월 31일 |
---|---|
이용안내 ? |
|
지원기기 | 크레마,PC(윈도우),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PC(Mac) |
파일/용량 | EPUB(DRM) | 145.03MB ? |
ISBN13 | 9791191347203 |
KC인증 |
출간일 | 2021년 05월 31일 |
---|---|
이용안내 ? |
|
지원기기 | 크레마,PC(윈도우),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PC(Mac) |
파일/용량 | EPUB(DRM) | 145.03MB ? |
ISBN13 | 9791191347203 |
KC인증 |
주식은 타이밍이다! 여의도 최고의 트레이더와 함께하는 승률 99%의 16가지 상황별 매매 타이밍과 실전 노하우 매매를 하다 보면 매 순간 선택의 갈림길에 놓인다. 이유는 모르지만 갑자기 매수세가 강해지며 주가가 치솟는 종목이 있는데, 이럴 때 동반 매수해야 하는지 아니면 위험 신호이니 보유 중인 주식을 팔아야 하는지 고민이 된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갑자기 매도세가 강해지며 낙폭을 키워가는 종목에서는, 보유 중인 주식을 팔아야 하는지 아니면 물량을 끌어내려는 매집 세력의 제스처일 뿐이니 나도 덩달아 수량을 늘려야 하는지 고민하게 된다. 특정 가격에 매수 호가 또는 매도 호가가 이례적으로 쌓여 있을 때도 그것이 어떤 의미인지 속 시원하게 알고 싶어진다. 시장에 참여하다 보면 이런 일은 부지기수다. 여의도 최고의 트레이더로 이름난 저자 역시 30년 가까운 실전 과정에서 그런 상황을 수도 없이 겪었다. 그 세월 동안 시장 환경과 투자자들의 의식은 많이 변화했지만, 주가의 움직임을 유발하는 원리는 마찬가지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를 바탕으로 그간 9권의 책을 썼고, 많은 개인 투자자에게 원칙을 지켜 수익 내는 방법을 알려주었다. 이 책은 특히 ‘타이밍’에 집중했다. 매매로 수익을 낼 가능성이 큰 16가지 상황별로 어떤 점을 주시하고 어떤 시기에 매수 또는 매도해야 하는지를 자세하게 정리했다. |
프롤로그 ┃ 주식은 타이밍이다 1장 곰과 황소의 힘겨루기 봉의 해석과 50% 룰 황소와 곰의 싸움, 어디에 편승할까 올려서 사는 황소, 내려서 사는 곰 전일 양봉의 50%를 지켜라: 황소의 50% 룰 전일 음봉의 50%를 지켜라: 곰의 50% 룰 집중적으로 매수 또는 매도되는 가격 확인: 매물대 차트와 이퀴볼륨 차트 봉에 담긴 기본적인 개념 매수의 세 가지 타이밍 매수 제1원칙: 5일선 위에 있을 때 매수 제2원칙: 5일선과 20일선 사이에 있을 때 매수 제3원칙: 20일선 아래에 있을 때 매도의 두 가지 타이밍 매도 제1원칙: 5일선 위에 있을 때 매도 제2원칙: 5일선과 20일선 사이에 있을 때 매수 및 매도 타이밍의 장중 시그널 장중 시그널: ①번 유형 장중 시그널: ②번 유형 장중 시그널: ③번 유형 장중 시그널: ④번 유형 2장 매매 타이밍 판단에 핵심적인 여섯 가지 개념 여섯 가지 핵심 개념 기본 모델 시간의 의미와 활용 방법 가격의 의미와 활용 방법 거래량의 의미와 활용 방법 움직임 및 멈춤의 의미와 활용 방법 속도의 의미와 활용 방법 지지와 저항, 돌파 지지의 의미와 활용 방법 저항의 의미와 활용 방법 돌파의 의미와 활용 방법 추세 추세의 의미 추세의 유형별 활용 방법 패턴 패턴의 의미 패턴의 유형별 활용 방법 트레이딩 종목의 선정 장 시작 전 종목 선정 방법 장중 종목 선정 방법 HTS 기능을 이용한 종목 선정 방법 3장 실전 트레이딩 스킬 강세 종목의 탄력을 이용한 매매 거래량을 활용한 매매 연속 급등 종목의 매매 타이밍 연속 급락 종목의 매매 타이밍 장중 급등 종목의 매매 타이밍 장중 급락 종목의 매매 타이밍 오전 10시 이전의 매매 오후 2시 이후의 매매 거래 주체별 성향을 활용한 매매 대량 자전성 거래와 매매 판단 지수 움직임을 이용한 매매 호가 잔량의 역해석을 활용한 매매 체결단위의 속도와 타이밍을 활용한 매매 공매도의 업틱룰 매도 잔량을 활용한 매매 시장 움직임에 따른 지수 ETF 매매 HTS 검색 기능 활용과 OPEN API |
투자은행의 직원 권유로 약간의 미국 주식을 갖게 되었었는데, 수익률이 좋아서 조금씩 늘려왔는데 내년쯤에 현금이 필요해 팔아야 해서, 매도 타이밍을 잡으려다가, 읽게 된 책입니다. 올해는 전체적으로 우상향하고 있는 시황이라 수익률은 나쁘지 않았지만, 매수/매도 타이밍항상 반대로 잡아 사자마자 마이너스로 물려 강제 장투를 해버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 책 첫 챕터만 읽었을 뿐인데 이 정도도 모르고 뛰어들었던 무식의 용감성을 확인했다고나 할까요.
무튼 주식투자를 취미로 하시는 분들, 장투하시는 분들이라도 매수/매도 타이밍을 잘 잡으면 기본 3~5프로는 남기고 시작할 수 있을 듯합니다.
삼프로 등 유튜브로도 기술적 매매에 대한 좋은 영상들이 많지만, 뒤돌아서면 잊어버리는 관계로, 책으로 보며 꼭꼭 씹어 읽어야 실천할 때 생각날 거 같아서, 메모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올려봅니다.
1. 기본사항
- 저점을 형성했는지를 확인하려면 가격의 반등만이 아니라 거래량의 급증을 동반하는지를 봐야 한다.
- 주가가, 급등할 때는 5일선 위에 있고, 상승 중 조정일 때는 5일선과 20일선 사이에 있다.급락할 때는 20일선 아래에 있다.
- 매도 타이밍: 20일선 아래에서 급락할 때 매도한다면 이미 타이밍이 늦은 것이다. 5일선이나 20일선 위에 있을 때 매도 판단이 되어야 한다.
- 주가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온갖 호재와 악재는 생명력이 60일.
매수의 기본원칙
- 거래량이 증가. 전일 발생한 장대음봉의 50%를 넘는 양봉이 발생할 때
- 상승하던 주식이 하락할 때 음봉이 발생할 것이고, 그 음봉의 50%를 넘는 양봉과 거래량 급증이 매수의 기본 신호다.
1. 시장이 급등하는 시기: 제1원칙
- 5일선 위에서 상승하고 있는 주식을 매수하고자 할 때 장중 매수 방법:
o 장 시작 후 10시 이전에 저점을 형성하고 거래량이 증가하며 다시 상승할 때 매수
o 10시 이후에 하락 전환하는 것은 하락 신호. 매수 대상에서 제외한다.
o 오전에 매수 신호가 없었던 주식은 장중에 거래하지 말고 시장이 끝날 무렵까지 관찰. 매수 세력이 매도 물량이 온종일 소화되는 것을 보고 있다가 장 막판 무렵 다시 매수하여 올리기 때문. 오후 2시 이후 매수세 진입으로 다시 시가를 돌파하며 상승할 때를 매수.
2. 시장이 추세 상승 시기: 제2원칙
- 추세적으로 상승하는 주식의 눌림목 조정을 기다려 매수하는 방법. 상승하던 주식이 5일선과 20일선 사이까지 하락한 상태에서 매수 타이밍을 잡는 방법
o 하락하는 동안 거래량이 현저히 감소해야 '조정'이다. 거래량이 많으면 추세전환이다.
o 하락폭이 직전 추세의 상승폭의 50% 이내여야 한다.
o 강한 매수세에 의해 급등한 주식이 조정 후 재상승하는 힘이 강하다. 강한 주식일 수록 10일선 전후에서 조정을 마무리하고 상승추세를 다시 이어간다.
o 조정후 다음날 상승시 거래량 증가가 관건. 거래량 없는 상승은 매수세력이 약한 것으로 다시 하락할 수 있다. 거래량 증가와 상승이 동시에 일어나면 매집주체가 재진입한 것임. 직전 하락폭의 50%를 넘는 양봉일 때 매수.
o 즉 조정시에는 거래량 급감, 하락추세일 때는 거래량 증가
* 강세 주식의 하락 + 거래량이 급감 : 매수 기회. 시장 대표주 및 테마주 등 위험이 없는 주식에 적합. => 사고 싶은데 너무 비싸 못사는 주식의 매수타이밍.
3. 시장의 급락 시기: 제3원칙
- 크게 하락하고 있는 종목의 저가 매수 원칙
o 20일선 아래에서 연속적으로 급락하고 있는 주식 중에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하락했던 주식 중 다시 거래량 증가와 함께 양봉을 만드는 주식을 매수
o 손실상태의 매물을 모두 소화해야 하므로, 단기 반등 후 매물을 맞으며 다시 하락할 수 있는데, 이때 거래량이 감소하고 직전 저점을 하향하지 않아야 한다.
o 직전 저점 위에서 다시 상승할 때가 매수 타이밍
o 1차 매수 신호 후 반등, 재반락 때의 상황을 한 번 더 확인하고 매수하는 것이 가장 확실
* 시장이 약세일 때
- 약세 종목은 오후 2시 30분 이후 장 마감 무렵 거래량 증가 장대양봉을 확실히 확인한 후에 매수 (오전에 매수했는데 오후에 다시 하락하여 음봉을 만들면 다음 날도 더 하락)
- 강세 종목은 오전 10시 이전이 매수 타이밍, 약세 종목은 오후 2시 30분 이후가 매수 타이밍
===
딜레마:
시장이 급락하고 있는데 강세 주식을 추종하다가 상승에 매수, 하락에 손절매하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
시장이 급등하고 있는데 약세 주식만 쳐다보다가 강한 주식에서 얻을 수 있는 큰 수익 기회를 놓칠 수 있다.
대부분의 전문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 원칙에 맞지 않는 시황에서는 투자를 멈추고 쉬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