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노동자의 삶과 생각을일상으로 그려내다작가는 1957년 이혼하고 다섯 아이의 엄마로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오랫동안 청소노동자로 일했다. 비록 청소노동자라는 낮은 사회적 계급에 속했으나 교육 열망이 높았으며 문학에 관심이 많았다. 얀 뮈달, 알베르 카뮈, 이바르 루유한손, 하리 마틴손 등의 작품을 읽으며 문학적 지평을 넓혔고 문학을 통해 자긍심을 키웠다.“만일 사람마다 삶을 살아갈 힘이 있어야 한다면 자기를 위해 길을 밝혀줄 불빛 하나쯤은 있어야 한다. 내 빛은 오랫동안 작가 하리 마틴손이었다. 마틴손은 굴욕을 견뎌낼 수 있었다. 그렇다면 나 역시 굴욕을 이겨낼 것이다……. 마틴손은 저 밖에 서서 부자들의 웃음소리를 들었다. 그러므로 나 역시 밖에서 그 일을 해낼 것이다. 마틴손은 무기력해지지 않고 가장 비천한 일들을 해냈다. 따라서 나 역시 청소용 양동이에 익사하지 않고 내가 맡은 청소부 일을 해낼 것이다.”그와 동시에 “내가 아는 가장 재미있는 일은 글을 쓰는 것이다. 할말이 없어도 잠시 쉬는 시간이 생기면 나는 얼른 종이와 펜을 잡는다.”라고 할 만큼 청소노동자로서의 고단한 삶을 글쓰기를 통해 위안을 받았다. 이는 일상의 우울함에도 불구하고 희망적일 수 있는 원동력이기도 했다.“나는 일기를 계속 쓴다. 내가 글을 쓸 수 있다고 믿어서가 아니라 이런 식으로 이야기를 할 수 있다면 내 삶은 좀더 편안해질 것이다.”개인적인 글에 투영된 1960년대의 시대상이 책의 시대 배경은 1967년부터 1969년으로 한국전쟁이 끝난 후의 한반도 위기, 푸에블로호 사건, 베트남전쟁, 6일전쟁, 1968년 5월 혁명을 비롯한 당시 세계정세를 언급한다. “개인적인 것이 국제적인 것이다”와 같이 저자는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며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들의 억압된 잠재력에 대한 노동운동, 좌파운동, 여성운동의 관점을 반영한다. 저자의 개인적인 기록은 정치적이기도 하여 사회 일원으로서 시간과 대륙을 초월하는 사회적 참여에 동참한다.“지난 토요일 시위는 잘 진행되었다. 우리는 14명이었다. 전단지 배포 등의 일을 모두 마친 후 나는 인구가 4만 명에 육박하는 도시에 더 많은 사람이 나오지 않은 것이 조금 이상하다고 생각한다. ‘미국은 베트남에서 나가라’라고 쓰인 피켓을 들었다. 이것은 지금 유일하게 중요한 일이다.”이 책은 일반적 관점과는 또다른 계급 관점에서 노동자 삶의 경험을 그리며 문학평론가이자 작가였던 칼 벤베리의 말처럼 ‘1960년대 스웨덴 저임금 노동계급의 일상에 대해 가장 명확하며 반박의 여지가 없는 재현에 성공했다’는 평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