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1년 09월 30일 |
---|---|
쪽수, 무게, 크기 | 416쪽 | 183*235*30mm |
ISBN13 | 9791162244753 |
ISBN10 | 1162244755 |
소문난 명강의 기화펜 증정(포인트 차감, 한정수량)
출간일 | 2021년 09월 30일 |
---|---|
쪽수, 무게, 크기 | 416쪽 | 183*235*30mm |
ISBN13 | 9791162244753 |
ISBN10 | 1162244755 |
서학개미의 주린이 탈출 프로젝트! 이 책은 서학개미를 위한 미국 주식 퀀트투자 입문+실습서이다. 퀀트투자는 수학적, 통계적 기법을 활용해 투자 종목을 발굴하는 투자 방법이다. 퀀트투자 전략을 만들기 위해서는 유명한 전략들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개념을 이해하고, 어떻게 구현됐는지 기본기를 따라 하며 배워야 한다. 다만 투자 대가들의 전략을 소개한 책은 쉽게 찾아볼 수 있지만, 그 전략을 구현한 기술적인 방법을 담은 책은 매우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퀀트투자 전략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코딩이나 수학 등 부가적인 배경지식이 필요하다. 이 책은 이미 잘 알려진 투자 대가들의 전략을 소개하고 자신의 컴퓨터에서 이 전략을 구현해보며 응용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책을 따라 미국 주식 퀀트투자 과정을 배우고 나면 자신만의 투자 전략을 스스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CHAPTER 1 투자를 시작하는 당신에게 1.1 이제 벼락거지는 그만 1.2 주가는 왜 오르나? 1.3 장기투자 vs. 단기투자 1.4 미국 주식을 퀀트로 해야 하는 이유 1.5 퀀트 분석은 도깨비 방망이가 아니다 CHAPTER 2 일단 해보자 2.1 퀀트머신 준비 2.2 시세 가져오기 2.3 주가 분석 2.4 백테스팅 2.5 투자 성과분석 2.6 백테스팅 결과 읽기 CHAPTER 3 단기투자의 기술 3.1 미국 차트와 한국 차트는 색깔이 반대 3.2 주가가 오르는데 왜 빨간색이지? 캔들차트 읽는 방법 3.3 주가는 움직이는 거야, 시계열 데이터와 이동평균 3.4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추세 읽기, MACD(이동평균수렴확산지수) 3.5 단기투자의 두 방향: 모멘텀 vs. 평균회귀 3.6 주가 상승 강도를 나타내는 RSI(상대강도지수) 3.7 쉬운 게 최고, 엔벨로프 3.8 변동성은 작아야 좋은가? 3.9 전통의 단타전략, 볼린저밴드 3.10 변호사가 유행시킨 단타전략, 스토캐스틱 CHAPTER 4 가치투자의 시작, 재무제표 4.1 재무제표 모르면 주식투자 절대로 하지마라? 4.2 재무제표, 핵심만 골라 읽자 4.3 기업마다 제각각인 재무제표 4.4 현재 재산 상태를 보여주는 재무상태표 4.5 들어오고 나간 돈의 내역을 보여주는 현금흐름표 4.6 그래도 시간이 부족하다면, 재무비율 CHAPTER 5 가치주를 찾는 기술 5.1 가치주란 무엇인가? 5.2 이익 대비 저평가 종목, PER(주가수익비율) 5.3 장부가치 대비 저평가 종목, PBR(주가순자산비율) 5.4 매출 대비 저평가 종목, PSR(주가매출비율) 5.5 현금흐름 대비 저평가 종목, PCR(주가현금흐름비율) 5.6 가치지표 결합하기 5.7 가치투자 4대장 콤보 5.8 실적 대비 기업가치, EV/EBITDA & EV/Sales 5.9 안전마진이 있는 그레이엄의 NCAV(청산가치) 투자법 5.10 성장주 투자가 하고싶다면, PEG(주가수익성장비율) CHAPTER 6 우량주를 찾는 기술 6.1 투자 효율이 좋은 기업, ROA(자산대비이익)와 ROE(자본대비이익) 6.2 회계사가 유행시킨 장기투자 전략, RIM(잔여이익모델) 6.3 영업 효율이 좋은 기업, GP/A 6.4 존버할 수 있는 기업, 안정성 지표 6.5 쑥쑥 자라는 기업, 성장률 지표 6.6 부지런한 기업, 회전율 지표 6.7 해자가 있는 기업, 이익률 지표 6.8 지분가치가 훼손되는 주식 CHAPTER 7 전략을 합성하는 기술 7.1 그린블라트의 마법공식 7.2 피오트로스키의 F스코어 7.3 전략 실행을 위한 필수 조건, 유동성 7.4 세상에 없던 나만의 투자 전략 만들기 CHAPTER 8 퀀트투자 시작하기 8.1 개인퀀트 vs. 기관퀀트 8.2 최적의 마켓 타이밍은 아무도 모른다 8.3 터틀의 마인드 부록 A 파이썬이 처음이라면 부록 B 핀터스텔라 라이브러리 가이드 부록 C WeBull 애플리케이션: 실시간 시세 및 페이퍼 트레이딩 가이드 부록 D 주피터랩 설치 가이드 |
● 노동 가치 하락
● 주식 시장
● 데이터 분석 & 머신 러닝
● 퀀트(quant)
● 책이 묵직하다
● 유일한 아쉬움
※ 한빛미디어 2022 도서 서평단 "나는 리뷰어다"의 일원으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퀀트 투자라는 분야에 대해서 제대로 아는 부분이 없었는데, 어떤 방식으로 주식의 많은 지표들을 설정할 수 있고, 이를 실질적인 투자와 연결할 수 있는지 파악할 수 있던 책이었던것 같아 개인적으로 매우 신선했습니다.
전반적인 주식에 대한 설명도 꽤 많이 찾아볼 수 있어, 새로운 투자 관련 지식들을 알 수 있어 재미있었습니다. 그리고 주식의 등락을 주시하고 예측할 수 있게 마련된 여러 지표들이 굉장히 인상적이었는데요. 많은 사람들의 심리와 시장 상황이 복잡하게 결합되어 있는 주식 시장에서 조금이라도 믿을만한 예측을 얻기 위해 참 많은 사람들이 고민해왔다는 것이 느껴졌습니다.
pip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퀀트 라이브러리도 꽤나 기능이 많아서 신기했습니다. 미국 주식 시장 종목 이름만 입력해도 최근 수치가 나오고 특정 지표를 쉽게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 되게 신기했어요. 코랩 환경에서도 쉽게 그래프와 데이터를 추출해낼 수 있어, 파이썬이 참 코딩 자체에 관심을 두지 않아도 쉽게 데이터와 관련된 로직들을 짤 수 있는, 굉장히 flexible하고 진입장벽이 높지 않은 언어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제가 억지스럽지 않고 실제로도 이렇게 해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저는 요즘에 돈을 어떻게 벌 수 있을지 고민이 정말 많습니다. 개발자로써 프로그래밍 공부를 잘 해서 고소득 직업을 잡는 것도 그런 일환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런데 코로나 이전 금융에 일자 무식이던 저는 코로나 이후 소위 말하는 "벼락거지"가 된 느낌을 받았습니다. 주변에선 부동산, 주식, 코인을 통해서 수 억을 벌었다는 이야기가 들려왔습니다. 조급한 마음에 친구 따라서 들어간 주식에서 -50%의 실패를 맛보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그런 실패를 한 이후 억울해졌습니다. 그래서 더 공부하고 공부하며 재태크 실력을 쌓아가고 있습니다.
제가 중점적으로 공부하는 분야는 미국 주식입니다. 다양한 미국 주식 자료를 찾아보고 있습니다. 유튜브에서는 JCTV, 소수몽키를 열심히 보고 있고 책으로는 유명한 피터 린치의 월가의 영웅들 부터 실전서가 될 까 궁금해서 산 미국주식 무작정 따라하기까지 열심히 보고있습니다. 실제로 빅테크 위주로 투자를 1~2년 해보며 실전 경험을 쌓고 있구요.
책을 보던 강의를 보던 부족한게 있습니다. 그렇게 배운 내용을 써먹을 데이터가 어디있는지 어떻게 가공해서 사용하는지 잘 나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나는 이미 프로그래밍 언어를 가지고 데이터를 불러오고 편집하고 관리하는 기술을 가지고 있는데 도통 그 데이터를 어디서 받아오는지 실전 워크북이 없으니 답답할 노릇
그러던 와중에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책 리스트에 딱 내 구미를 땅기는 책이 나왔습니다. 미국 주식으로 시작하는 슬기로운 퀀트투자가 바로 그것인데요. 파이썬으로 기업 주가 관련 정보를 받아서 입맛대로 가공하는 방법을 알려준다고 합니다. (실제 매수까지 가는건 안해봤어요 ㅎㅎ)
이 책은 기존의 주식 책과는 다르게 기업의 가치, 성장주니 우량주니 하는 분류만 중요하게 다루는 책이 아닙니다. "최대의 이익은 달성하지 못하더라도 눈치 보다가 느지막히 들어가고 최고점에 가지 않았더라도 적당히 일찍 빠저나오는" 전략을 다루는 책입니다.
기존에 단기투자나 모멘텀투자에 대해서 나쁘게만 말하는 책을 보다가 이런 책을 보니 신선한 기분이 들었습니다.
아무래도 실무에 집중한 책 답게 이론보다는 구글 콜랩을 사용해 다양한 주식 투자 기법의 방법론을 적용해보고 테스트 해보는 것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그럼에도 주린이도 괜찮다고 느낀 이유는 아무래도 성공적인 주식 전략을 다루려고 하다보니 주식 투자하면 맨날 등장하는 용어를 모두 설명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그렇게 설명된 용어를 지표삼아서 주식에 투자했을 때를 시뮬레이션한 결과까지 두 눈으로 바로 확인하니 좋죠!
다만 기존에 개발을 한번도 안해보신 분들은 조금 어려울 수도 있겠다는 생각은 들었습니다. 파이썬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면 그냥 따라하는데 그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하지만 주어진 코드에서 변수를 바꾸는 수준의 응용은 바로 손쉽게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