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2년 04월 11일 |
---|---|
쪽수, 무게, 크기 | 쪽수확인중 | 크기확인중 |
발행일 | 2022년 04월 11일 |
---|---|
쪽수, 무게, 크기 | 쪽수확인중 | 크기확인중 |
먼저, 유럽의 미술관에 가려는 이들에게 오르세 미술관에 가기 전 알아두어야 할 것들 오르세 미술관의 회화 갤러리 인상주의를 향하여 Pre-Impressionism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 〈샘〉·쥘 조제프 르페브르 〈진리〉 외젠 들라크루아 〈사자 사냥〉·테오도르 샤세리오 〈고대 로마의 미온 욕실〉 오노레 도미에 〈세탁부〉 〈공화국〉 · 프랑스 미술 아카데미 · 살롱전 장 레옹 제롬 〈닭싸움을 시키는 젊은 그리스인들〉 〈베르사유에서 콩데를 접견하는 루이 14세〉 알렉상드르 카바넬 〈비너스의 탄생〉 윌리앙 아돌프 부그로 〈비너스의 탄생〉 장 바티스트 카미유 코로 〈아침, 요정들의 춤〉 〈생니콜라레자라스의 방앗간〉 장 프랑수아 밀레 〈만종〉 〈이삭 줍는 여인들〉 〈몸을 뒤로 젖히고 있는 누드〉 귀스타브 쿠르베 〈오르낭의 매장〉·토마 쿠튀르 〈쇠퇴기의 로마인들〉 귀스타브 쿠르베 〈화가의 작업실〉 〈부상당한 남자〉 귀스타브 쿠르베 〈세계의 기원〉 귀스타브 쿠르베 〈샘〉 · 낙선전 에두아르 마네 〈풀밭 위의 점심식사〉 에두아르 마네 〈피리 부는 소년〉 에두아르 마네 〈올랭피아〉 에두아르 마네 〈에밀 졸라의 초상화〉 에두아르 마네 〈발코니〉 인상주의 Impressionism 제임스 애벗 맥닐 휘슬러 〈회색과 검은색의 배열(화가 어머니의 초상화)〉 〈보라색의 변주〉 · 인상주의 베르트 모리조 〈요람〉 클로드 모네 〈개양귀비〉·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풀밭 깊숙한 곳의 길〉 클로드 모네 〈생라자르 역〉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모네의 초상화〉·클로드 모네 〈임종하는 카미유〉 〈1878년 6월 30일, 축제가 열린 몽토르게이 거리〉 클로드 모네 ‘루앙 대성당’ 연작 클로드 모네 〈수련이 있는 연못〉 〈푸른 수련〉 〈수양버들〉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물랭 드 라 갈레트의 무도회장〉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도시의 무도회〉 〈전원의 무도회〉 〈그네〉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목욕하는 여인들〉 〈햇빛 속의 누드〉 카미유 피사로 〈자화상〉 〈들판의 여인〉 〈하얀 서리〉 〈서리 내린 밭에 불을 지피는 젊은 농부(밭 태우기)〉 알프레 시슬레 〈홍수가 난 마를리 항구〉 〈눈 내리는 루브시엔〉 에드가 드가 〈발레 수업〉 〈스타(무대 위 댄서)〉 에드가 드가 〈압생트를 마시는 사람〉 〈증권 거래소에서〉 〈다림질하는 여인들〉 〈욕조〉 귀스타브 카유보트 〈대패질하는 사람들〉 〈자화상〉 〈앙리 코르디에의 초상화〉 인상주의, 그 이후 Post-Impressionism 조르주 쇠라 〈등이 보이는 모델〉 〈정면으로 서 있는 모델〉 〈서커스〉 폴 시냐크 〈우물가의 여인들〉 〈우산을 든 여인〉 〈아비뇽 교황청〉 · 인상주의를 넘어서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레크 〈몸단장〉 〈침대〉 폴 세잔 〈목 맨 사람의 집〉 폴 세잔 〈바구니가 있는 정물〉 폴 세잔 〈세잔 부인과 커피포트〉 폴 세잔 〈생트빅투아르 산〉 〈목욕하는 사람들〉 · 고갱 그리고 고흐 빈센트 반 고흐 〈론 강의 별이 빛나는 밤〉 빈센트 반 고흐 〈아를에 있는 고흐의 방〉 빈센트 반 고흐 〈자화상〉 빈센트 반 고흐 〈폴 가셰의 초상화〉 〈오베르쉬르우아즈 성당〉 폴 고갱 〈황색 그리스도가 있는 자화상〉 · 퐁타방의 화가들 폴 고갱 〈브르타뉴의 아낙네들〉 〈브르타뉴 풍경〉 폴 고갱 〈타히티의 여인들〉 〈하얀 말〉 폴 세뤼시에 〈부적〉 에밀 베르나르 〈사랑의 숲속의 마들렌〉 〈추수, 일명 브르타뉴 풍경〉 · 고갱과 나비파 에두아르 뷔야르 〈잠〉 〈식사 후〉 〈리넨 옷장〉 피에르 보나르 ‘정원의 여인’ 연작, 〈하얀 고양이〉 〈침대 위의 여인〉 오딜롱 르동 〈감은 눈〉 〈아폴론의 마차〉 피에르 퓌비 드 샤반 〈바닷가의 젊은 여인들〉 〈가난한 어부〉 귀스타브 모로 〈오르페우스〉 앙리 마티스 〈호사, 평온 그리고 관능〉·모리스 드 블라맹크 〈부지발의 레스토랑〉·앙드레 드랭 〈채링 크로스 다리〉 그림 주석 |
먼저, 유럽의 미술관에 가려는 이들에게 내셔널 갤러리에 가기 전 알아두어야 할 것들 내셔널 갤러리의 회화 갤러리 세인즈베리관(1250~1500) 마르가리토 다레초 〈옥좌에 앉아 있는 성모자상과 예수 탄생 및 성인들의 삶을 담은 장면들〉 작자 미상 〈윌턴 두 폭 그림〉 마사초 〈성모와 아기 예수〉 파올로 우첼로 〈산로마노 전투〉 로베르 캉팽 〈벽난로 앞의 성모자상〉 얀 반 에이크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화〉 로베르 캉팽 〈남자의 초상〉 〈여자의 초상〉·얀 반 에이크 〈남자의 초상(자화상)〉 페트뤼스 크리스튀스 〈젊은 남자의 초상〉·로히어르 판 데르 베이던 〈여인의 초상〉 산드로 보티첼리 〈신비한 탄생〉 레오나르도 다 빈치 〈암굴의 성모〉 알레소 발도비네티 〈노란 옷을 입은 여인의 초상〉 산드로 보티첼리 〈비너스와 마르스〉 카를로 크리벨리 〈성 미카엘〉 〈성 히에로니무스〉 〈순교자 성 베드로〉 〈성녀 루치아〉 조반니 벨리니 〈겟세마네 동산에서의 번뇌〉 안드레아 만테냐 〈겟세마네 동산에서의 번뇌〉 조반니 벨리니 〈로레단 총독의 초상화〉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그리스도의 세례〉 서관(1500~1600) 파르미자니노 〈성 히에로니무스의 환시〉 한스 홀바인 〈대사들〉 캉탱 마시 〈기괴한 노부인〉 미켈란젤로 〈맨체스터의 성모자〉 〈매장〉 라파엘로 산치오 〈교황 율리우스 2세〉 라파엘로 산치오 〈성모자상〉 〈세례자 요한과 함께하는 성모자〉 아뇰로 브론치노 〈비너스와 큐피드의 알레고리〉 틴토레토 〈은하수의 기원〉 파올로 베로네세 〈다리우스 가족〉 티치아노 베첼리오 〈벤드라민 가족〉 〈시간의 알레고리〉 요하임 베케라르 〈공기〉 〈흙〉 〈물〉 〈불〉 티치아노 베첼리오 〈푸른 소매의 남자〉 〈여인의 초상〉 〈바쿠스와 아리아드네〉 피터르 브뤼헐 〈동방박사의 경배〉 북관(1600~1700) 조지프 멀로드 윌리엄 터너 〈카르타고를 세우는 디도〉 〈운무를 헤치며 떠오르는 태양〉·클로드 로랭 〈이삭과 레베카의 결혼 풍경〉 〈시바 여왕의 승선〉 마인더르트 호베마 〈미델하르니스 길〉 암브로시우스 보스하르트 〈중국 도자기의 꽃 정물화〉 필리프 드 샹페뉴 〈리슐리외 추기경의 초상화〉 르 냉 형제 〈식탁에 있는 네 사람〉 니콜라 푸생 〈모세의 발견〉 니콜라 푸생 〈목신상 앞 바쿠스의 제전〉 〈황금 송아지 숭배〉 클로드 로랭 〈성 우르술라의 승선〉 렘브란트 하르먼스 판 레인 〈목욕하는 여인〉 〈간음한 여인〉 〈63세 때의 자화상〉 렘브란트 하르먼스 판 레인 〈벨사자르의 연회〉 피터르 더 호흐 〈델프트의 집 안마당〉 〈두 명의 남자와 술을 마시는 여인〉 요하네스 베르메르 〈버지널 앞에 선 여인〉 페테르 파울 루벤스 〈마르스에 대항해 평화를 수호하는 미네르바〉 페테르 파울 루벤스 〈삼손과 델릴라〉 〈파리스의 심판〉 디에고 벨라스케스 〈마르타와 마리아의 집에 있는 그리스도〉 디에고 벨라스케스 〈거울을 보는 비너스〉 안토니 반 다이크 〈말을 탄 찰스 1세의 초상〉 카라바조 〈세례 요한의 머리를 받는 살로메〉 카라바조 〈엠마오의 식사〉 귀도 레니 〈수산나와 장로들〉·루도비코 카라치 〈수산나와 장로들〉 안니발레 카라치 〈아피아 가도에서 성 베드로에게 나타난 그리스도(쿼바디스 도미네)〉 동관(1700~1900) 장 오노레 프라고나르 〈큐피드에게 받은 선물을 언니에게 자랑하는 프시케〉 존 컨스터블 〈건초마차〉 조지프 멀로드 윌리엄 터너 〈비, 증기, 속도(대서부철도)〉 〈전함 테메레르 호〉 토머스 게인즈버러 〈앤드루스 부부의 초상〉 윌리엄 호가스 ‘유행에 따른 결혼’ 연작 조슈아 레이놀즈 〈베나스트르 터를턴 장군〉 조반니 안토니오 카날 〈석공의 작업장〉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 〈앉아 있는 무아트시에 부인〉·외젠 들라크루아 〈십자가 위의 그리스도〉 폴 들라로슈 〈제인 그레이의 처형〉 에두아르 마네 〈튀일리 공원의 음악회〉 〈카페 콩세르에서〉 〈막시밀리안의 처형〉 클로드 오스카 모네 〈수련이 핀 연못〉 클로드 오스카 모네 〈웨스트민스터 사원 아래 템즈강〉 〈베네치아 대운하〉 〈생라자르 역사〉 오귀스트 르누아르 〈극장에서(첫 외출)〉 〈우산을 쓴 여자들〉 조르주 피에르 쇠라 〈아스니에르에서 목욕하는 사람들〉 폴 세잔 〈프로방스의 언덕길〉 〈목욕하는 사람들〉 빈센트 반 고흐 〈고흐의 의자〉 〈해바라기〉 에드가 드가 〈페르난도 서커스의 라라〉 그림 주석 |
먼저, 유럽의 미술관에 가려는 이들에게 루브르 박물관에 가기 전 알아두어야 할 것들 루브르 박물관의 회화 갤러리 드농관 Denon 산드로 보티첼리 〈자유 학예 모임 앞의 젊은 남자〉 프라 안젤리코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 산드로 보티첼리 〈세례 요한과 함께하는 성모자〉 조토 디 본도네 〈오상을 받는 성 프란체스코〉 귀도 다 시에나 〈예수의 탄생과 성전에의 봉헌〉 피사넬로 〈젊은 공주의 초상화〉·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시지스몬도 판돌포 말라테스타〉 안토넬로 다 메시나 〈남자의 초상(콘도티에레)〉 〈기둥의 예수〉 조반니 벨리니 〈십자가 처형〉 안드레아 만테냐 〈성 세바스티아누스〉 도메니코 기를란다요 〈노인과 소년〉 〈방문〉 베르나르디노 루이니 〈세례 요한의 머리를 건네받는 살로메〉·안드레아 디 솔라리오 〈세례 요한의 머리〉 라파엘로 또는 조반니 프란체스코 펜니 〈베일을 잡고 있는 성모〉 라파엘로 〈세례 요한과 함께 있는 성모자(아름다운 정원사)〉 레오나르도 다 빈치 〈페로니에르를 한 아름다운 여인〉 레오나르도 다 빈치 〈성 안나와 함께 있는 성모자〉 레오나르도 다 빈치 〈세례 요한(바쿠스)〉 〈세례 요한〉 레오나르도 다 빈치 〈모나리자〉 틴토레토 〈자화상〉 틴토레토 〈수산나와 장로들〉 파올로 베로네제 〈가나의 혼인 잔치〉 도소 도시 〈체사레 보르자의 초상화〉 티치아노 〈그리스도의 매장〉 〈가시 면류관을 쓴 그리스도〉 티치아노와 조르조네 〈전원의 합주곡〉 티치아노 〈프랑수아 1세의 초상화〉 〈장갑을 낀 남자의 초상화〉 주세페 아르침볼도 ‘사계’ 연작 폰토르모 〈성 안나와 함께 있는 성모자〉 로소 피오렌티노 〈피에타〉 카라바조 〈성모의 죽음〉 안니발레 카라치 〈성 프란체스코와 막달라 마리아가 함께하는 피에타〉 귀도 레니 〈이 사람을 보라〉 〈데이아네이라를 납치하는 켄타우로스족 네소스〉 게르치노 〈성 베드로의 눈물〉 〈나사로의 부활〉 조반니 파올로 판니니 〈고대 로마 풍경이 있는 화랑〉·카날레토 〈산 마르코 항에서 바라본 몰로〉 조슈아 레이놀즈 경 〈헤어 도련님〉 토머스 게인즈버러 〈공원에서의 대화〉 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 〈멀리 만이 보이는 강가의 풍경〉 자크 루이 다비드 〈호라티우스 형제들의 맹세〉 〈사비니 여인들의 중재〉 자크 루이 다비드 〈나폴레옹 황제의 대관식〉 외젠 들라크루아 〈사르다나팔루스의 죽음〉 〈단테와 베르길리우스〉 테오도르 제리코 〈메두사호의 뗏목〉 리슐리외관 Rechelieu 얀 반 에이크 〈수상 니콜라 롤랭의 성모〉 로히르 반 데르 바이덴과 그의 제자들 〈수태고지〉 한스 멤링 〈얀 뒤 셀리르의 두 폭 그림〉 알브레히트 뒤러 〈엉겅퀴를 든 자화상〉 쿠엔틴 메치스 〈대부업자와 그의 부인〉 페테르 파울 루벤스 〈마르세유에 도착하는 마리 드 메디시스〉 〈리옹에서 앙리 4세와 만나는 마리 드 메디시스〉 안토니 반 다이크 〈사냥 나온 찰스 1세의 초상화〉 야코프 요르단스 〈디아나의 휴식〉 〈남자의 초상〉 프란스 할스 〈류트를 연주하는 어릿광대〉 〈집시 소녀〉 유디트 레이스터르 〈즐거운 사람들〉 안젤리카 카우프만 〈크뤼데너 남작 부인과 그녀의 아들〉 렘브란트 〈베레를 쓰고 금장식을 두른 자화상〉 〈이젤 앞 자화상〉 렘브란트 〈목욕하는 밧세바〉 〈복음서 저자 마태와 천사〉 얀 페르메이르 〈천문학자〉 〈레이스 뜨는 여인〉 앙게랑 콰르통 〈빌뇌브레자비뇽의 피에타〉 장 푸케 〈샤를 7세의 초상화〉 퐁텐블로파 〈가브리엘 데스트레와 그 자매, 빌라르 공작 부인으로 추정되는 초상화〉 필리프 드 샹파뉴 〈리슐리외 추기경의 초상화〉 〈봉헌물: 카트린 아녜스 아르노 수녀와 카트린 드 생트쉬잔 드 샹파뉴 수녀〉 〈수의 위에 누워 있는 그리스도의 시신〉 시몽 부에 〈풍요의 우의화〉 니콜라 푸생 〈아르카디아에도 나는 있다〉 〈자화상〉 클로드 로랭 〈타르수스에 상륙한 클레오파트라〉 〈파리스와 오이노네가 있는 풍경〉 니콜라 푸생 ‘사계’ 연작 쉴리관 Sully 샤를 르 브룅 〈프랑스의 대법관 피에르 세기에의 초상화〉 장 앙투안 와토 〈키티라 섬의 순례〉 〈공원의 군중〉 〈피에로〉 프랑수아 부셰 〈목욕을 마치고 나가는 디아나〉 〈오달리스크〉 장 오노레 프라고나르 〈상상의 인물: 생농 수도원장〉 〈상상의 인물: 공부〉 〈목욕하는 여인들〉 〈빗장〉 장 바티스트 시메옹 샤르댕 〈가오리〉 〈식사 전 기도〉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 〈발팽송의 목욕하는 여인〉 〈터키탕〉 테오도르 루소 〈퐁텐블로 숲, 일몰〉·장 프랑수아 밀레 〈건초 묶는 사람들〉·장 바티스트 카미유 코로 〈모르트퐁텐의 추억〉 그림 주석 |
먼저, 유럽의 미술관에 가려는 이들에게 프라도 미술관에 가기 전 알아두어야 할 것들 프라도 미술관의 회화 갤러리 스페인 역사 읽기 15~16세기 이탈리아와 플랑드르 라파엘로 산치오 〈추기경〉 〈라파엘, 토비아 그리고 성 히에로니무스와 함께 있는 성모자(성모와 물고기)〉 〈갈보리 가는 길〉 프라 안젤리코 〈수태고지〉 안드레아 만테냐 〈성모 마리아의 장례식〉 안토넬로 다 메시나 〈죽은 그리스도를 안고 있는 천사〉 요하힘 파티니르 〈스틱스 강을 건너는 카론이 있는 풍경〉·요하힘 파티니르와 캉탱 마시 〈성 안토니오의 유혹〉 산드로 보티첼리 〈나스타조 델리 오네스티 이야기 첫 번째〉 〈나스타조 델리 오네스티 이야기 두 번째〉 〈나스타조 델리 오네스티 이야기 세 번째〉 페드로 베루게테 〈종교재판을 주재하는 성 도미니쿠스 데 구츠만〉 로베르 캉팽 〈세례 요한과 프란체스코파의 하인리히 폰 베를〉 〈성녀 바르바라〉 로히어르 판 데르 베이던 〈십자가에서 내리심〉 알브레히트 뒤러 〈스물여섯 살 뒤러의 초상화〉 〈아담〉 〈이브〉 한스 발둥 〈인간의 세 시기〉 〈삼미신〉 히에로니무스 보스 〈건초 수레〉 히에로니무스 보스 〈일곱 가지 죄악〉 히에로니무스 보스 〈쾌락의 정원〉 (대) 피터르 브뤼헐 〈죽음의 승리〉 안토니스 모르 〈메리 튜더의 초상화〉·알론소 산체스 코에요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 공주와 막달레나 루이스〉 16~17세기 이탈리아와 프랑스 티치아노 베첼리오 〈카를 5세의 기마상〉 티치아노 베첼리오 〈안드로스 섬의 주신 축제〉 〈비너스를 경배함〉 티치아노 베첼리오 〈황금비를 맞는 다나에〉 〈비너스와 아도니스〉 티치아노 베첼리오 〈자화상〉 카라바조 〈다윗과 골리앗〉 니콜라 푸생 〈파르나소스〉 〈다윗의 승리〉 엘 그레코와 16세기 스페인 엘 그레코 〈삼위일체〉 엘 그레코 〈수태고지〉 〈그리스도의 세례〉 〈십자가 처형〉 〈오순절〉 〈부활〉 엘 그레코 〈가슴에 손을 얹은 기사〉 〈우화〉 후안 산체스 코탄 〈사냥감과 과일, 채소가 있는 정물화〉 프란시스코 리발타 〈성 베르나르두스의 환상〉 〈천사에게 위안받는 성 프란체스코〉 리베라, 무리요, 수르바란 호세 데 리베라 〈성 필립보의 순교〉 프란시스코 데 수르바란 〈아누스 데이(하나님의 어린 양)〉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와 화가인 성 루가〉 〈성 베드로 놀라스코에게 나타난 성 베드로〉 바르톨로메 에스테반 무리요 〈무염시태〉 바르톨로메 에스테반 무리요 〈성가족〉 벨라스케스와 17세기 스페인 디에고 벨라스케스 〈시녀들〉 디에고 벨라스케스 〈바쿠스〉 디에고 벨라스케스 〈불카누스의 대장간〉 디에고 벨라스케스 〈이사벨 데 보르본의 기마상〉 〈발타사르 카를로스 왕자의 기마상〉 〈펠리페 3세의 기마상〉 〈마르그리트 왕비의 기마상〉 〈펠리페 4세의 기마상〉 〈올리바레스의 기마상〉 디에고 벨라스케스 〈펠리페 4세〉 〈왕비의 초상〉·디에고 벨라스케스와 후안 바우티스타 마르티네스 델 마소 〈도냐 마리아 마르가리타 공주〉 디에고 벨라스케스 〈이솝〉 〈광대 파블로 데 바야돌리드〉 〈바닥에 앉아 있는 난쟁이〉 디에고 벨라스케스 〈아라크네의 신화〉 디에고 벨라스케스 〈브레다의 항복〉 안토니오 데 페레다 〈제노아의 구원〉·후안 바우티스타 마이노 〈바히아 탈환〉 후안 카레뇨 데 미란다 〈괴물〉 〈괴물〉 〈마리아나 데 아우스트리아의 초상화〉 클라우디오 코에요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승리〉 〈성 루이 왕의 경배를 받는 성모자〉 루벤스와 17세기 플랑드르, 네덜란드 페테르 파울 루벤스 〈파리스의 심판〉 페테르 파울 루벤스 〈사랑의 정원〉 〈삼미신〉 (대) 얀 브뤼헐과 페테르 파울 루벤스 〈시각과 후각의 우의화〉 〈청각〉 안토니 반 다이크 〈그리스도의 체포〉 〈그리스도를 모욕함〉 〈구리뱀〉 렘브란트 하르먼스 판 레인 〈아르테미시아〉 고야와 18세기 스페인 루이스 멜렌데스 〈정물화〉 〈정물화〉 프란시스코 데 고야 〈양산〉 프란시스코 데 고야 〈부상당한 석공〉 〈겨울(눈보라)〉 〈결혼〉 〈꼭두각시〉 프란시스코 데 고야 〈카를로스 4세와 그의 가족〉 라파엘 멩스 〈파르마의 마리아 루이사의 초상〉 〈왕세자 시절의 카를로스 4세의 초상〉 프란시스코 데 고야 〈옷을 벗은 마하〉 〈옷을 입은 마하〉 프란시스코 데 고야 〈5월 2일〉 〈5월 3일〉 프란시스코 데 고야 〈사투르누스〉 그림 주석 |
먼저, 유럽의 미술관에 가려는 이들에게 바티칸 미술관에 가기 전 알아야 할 것들 피나코테카 Pinacoteca 피나코테카의 회화 갤러리 니콜로와 조반니 〈최후의 심판〉 시모네 마르티니 〈축복을 내리시는 구세주 예수〉 조토와 제자들 〈스테파네시 삼면화〉 젠틸레 다 파브리아노 〈성 니콜라오의 탄생〉 〈세 소녀에게 행한 기적〉 〈죽은 세 형제를 살리는 성 니콜라오〉 〈폭풍우 속 배를 구하는 성 니콜라오〉 프라 안젤리코 〈성 니콜라오 이야기〉 〈성 니콜라오 이야기(배를 구하는 성 니콜라오)〉 프라 필리포 리피 〈성모의 대관식〉 멜로초 다 포를리 〈바르톨로메오 플라티나를 바티칸 도서관장으로 임명하는 식스토 4세〉 멜로초 다 포를리 〈프레스코화들〉 (대) 루카스 크라나흐 〈피에타〉 카를로 크리벨리 〈피에타〉 〈성모자〉 페루지노 〈성인들과 함께하는 성모자〉 라파엘로 산치오 〈성모의 대관〉 라파엘로 산치오 〈폴리뇨의 성모〉 라파엘로 산치오 〈변용〉 조반니 벨리니 〈죽은 예수를 애도함〉 레오나르도 다빈치 〈성 예로니모〉 티치아노 베첼리오 〈성인들과 함께하는 성모자〉 파올로 베로네세 〈성녀 헬레나〉 페데리코 피오리 바로치 〈이집트로의 피난 중 휴식〉 카라바조 〈매장〉 니콜라 푸생 〈성 에라스모의 순교〉 발랑탱 드 불로뉴 〈성 프로체소와 성 마르티니아노의 순교〉 귀도 레니 〈성 베드로의 십자가 처형〉 게르치노 〈의심하는 토마스〉 〈막달라 마리아와 두 천사〉 도메니키노 〈성 예로니모의 마지막 영성체〉·피에르 프란체스코 몰라 〈성 예로니모〉 오라치오 젠틸레스키 〈홀로페르네스의 목을 들고 있는 유디트와 하녀〉 다니엘 제거스와 헨드리크 판 발렌 〈성 이냐시오와 화관〉 주세페 마리아 크레스피 〈교황 베네딕토 14세〉·카를로 마라타 〈교황 클레멘스 9세〉 페터 벤첼 〈사자와 호랑이의 싸움〉 〈표범과 얼룩말의 싸움〉 〈아담과 이브가 있는 에덴동산〉 라파엘로의 방 Stanze di Raffaelo 라파엘로의 방 회화 갤러리 - 라파엘로 산치오 - 콘스탄티누스의 방 라파엘로 산치오와 줄리오 로마노 〈십자가 현현〉·라파엘로 산치오 〈밀리우스 다리의 전투〉 라파엘로 산치오와 조반니 프란체스코 펜니 〈콘스탄티누스의 세례〉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 헬리오도루스의 방 라파엘로 산치오 〈헬리오도루스의 추방〉 라파엘로 산치오 〈볼세나의 미사〉 〈감옥에서 구출되는 베드로〉 라파엘로 산치오 〈레오와 아틸라의 만남〉 - 서명의 방 라파엘로 산치오 〈서명의 방 천장화〉 라파엘로 산치오 〈아테네 학당〉 라파엘로 산치오 〈성체 논쟁〉 라파엘로 산치오 〈파르나소스〉 라파엘로 산치오 〈정의〉 - 보르고 화재의 방 라파엘로 산치오와 제자들 〈레오 3세의 선서〉 〈카롤루스의 대관식〉 라파엘로 산치오 〈보르고 화재〉·라파엘로 산치오와 제자들 〈오스티아 전투〉 시스티나 성당 Chappella Sistina 시스티나 성당의 회화 갤러리 - 15세기 거장들이 그린 시스티나 성당의 측면 벽화 페루지노 〈예수 세례〉 〈모세의 여행〉 페루지노 〈베드로에게 열쇠를 건네시는 예수〉 산드로 보티첼리 〈코라와 다탄과 아비람을 벌함〉 산드로 보티첼리 〈유혹을 받으시는 예수〉 〈모세의 일화들〉 - 미켈란젤로의 시스티나 성당 천장화 - 미켈란젤로 미켈란젤로 〈빛과 어둠을 가르심〉 〈식물의 창조, 해와 달의 창조〉 〈땅과 물을 가르심〉 미켈란젤로 〈아담의 창조〉 미켈란젤로 〈이브의 창조〉 〈아담과 이브의 유혹과 추방〉 미켈란젤로 〈노아의 제사〉 〈대홍수〉 〈만취한 노아〉 미켈란젤로 〈다윗과 골리앗〉 〈유디트와 홀로페르네스〉 미켈란젤로 〈하만의 처벌〉 〈구리뱀〉 미켈란젤로 〈예언자 즈카르야〉 〈예언자 요나〉 〈예언자 예레미야〉 미켈란젤로 〈델포이의 무녀〉 〈쿠마이의 무녀〉 〈리비아의 무녀〉 미켈란젤로 〈히즈키야, 므나세, 아모스〉 〈살몬, 보아즈, 오벳〉 〈요시야, 여고나, 스알디엘〉 〈이새, 다윗, 솔로몬〉 〈엘르아살과 마탄〉 〈암미나답〉 미켈란젤로 〈델포이의 무녀〉 쪽 이뉴디와 청동 메달리온, 〈땅과 물을 가르심〉 쪽 이뉴디와 청동 메달리온, 〈예언자 에제키엘〉과 〈페르시아 무녀〉 사이의 청동 이뉴디 - 시스티나 성당 제단화 〈최후의 심판〉 - 반종교개혁 미켈란젤로 〈수난의 도구들〉 왼쪽 루네트, 〈수난의 도구들〉 오른쪽 루네트 미켈란젤로 〈예수와 성모 마리아〉 미켈란젤로 〈축복받은 이들〉 미켈란젤로 〈성인들〉 미켈란젤로 〈심판의 나팔을 부는 천사들〉 〈구원받은 이들〉 〈저주받은 이들〉 미켈란젤로 〈지옥의 입구〉 미켈란젤로 〈부활하는 죽은 영혼들〉 그림 주석 |
먼저, 유럽의 미술관에 가려는 이들에게 우피치 미술관에 가기 전 알아두어야 할 것들 우피치 미술관의 회화 갤러리 중세에서 르네상스로 - 피렌체와 르네상스 - 메디치 가문 피렌체 거장 〈수난부터 부활까지의 이야기가 있는 십자가〉·십자가상 거장 〈수난의 여덟 장면이 있는 십자가상〉·보나벤투라 베를링기에리 〈십자가 처형〉 조반니 치마부에 〈산타트리니타의 마에스타〉·두초 디 부오닌세냐 〈마에스타(루첼라이 성모)〉·조토 디 본도네 〈마에스타〉 조반니 델 비온도 〈세례 요한 제단화〉 시모네 마르티니와 리포 멤미 〈수태고지〉 암브로조 로렌체티 〈성전에 바침〉 로렌초 모나코와 코시모 로셀리 〈동방박사의 경배〉·젠틸레 다 파브리아노 〈동방박사의 경배〉 르네상스 미술 마솔리노 다 파니칼레 또는 페셀로 〈겸손의 마리아〉·마사초와 마솔리노 다 파니칼레 〈성 안나와 성모자〉·마사초 〈성모자〉 프라 안젤리코 〈테바이데〉 〈성모의 대관식〉 파올로 우첼로 〈산로마노 전투〉 도메니코 베네치아노 〈산타루치아데이마뇰리의 성화〉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우르비노 공작 부부의 초상화〉 프라 필리포 리피 〈두 천사와 성모자〉 〈성모자와 성인들〉 안토니오 폴라이우올로 〈헤라클레스와 안타이오스〉 〈헤라클레스와 히드라〉·안토니오 폴라이우올로와 피에로 폴라이우올로 〈포르투갈 추기경의 제단화〉 산드로 보티첼리 〈동방박사의 경배〉 산드로 보티첼리 〈봄〉 산드로 보티첼리 〈비너스의 탄생〉 산드로 보티첼리 〈팔라스와 켄타우로스〉 〈메달을 든 남자〉 산드로 보티첼리 〈모략에 빠진 아펠레스〉 휘호 판 데르 휘스 〈포르티나리 제단화〉 로히어르 판 데르 베이던 〈예수를 매장하다〉 한스 멤링 〈포르티나리 제단화〉 〈음악을 연주하는 천사들에 둘러싸인 성모〉 알브레히트 뒤러 〈동방박사의 경배〉 (대) 루카스 크라나흐 〈루터와 아내〉 〈아담과 이브〉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와 레오나르도 다빈치 〈예수 세례〉 레오나르도 다빈치 〈동방박사의 경배〉 레오나르도 다빈치 〈수태고지〉 페루지노 〈성모자와 성인들〉 〈피에타〉 미켈란젤로 〈세례 요한과 성가족(도니 톤도)〉 라파엘로 산치오 〈황금방울새와 성모〉 라파엘로 산치오 〈레오 10세의 초상〉 안드레아 델 사르토 〈하르피에의 성모〉 〈반짇고리를 든 여인의 초상〉 〈페트라르카의 책을 읽는 여인〉 조반니 벨리니 〈젊은이의 초상〉 〈성스러운 알레고리〉 안드레아 만테냐 〈예수의 승천(우피치 삼면화)〉 〈동방박사의 경배(우피치 삼면화)〉 〈할례를 받는 예수(우피치 삼면화)〉 〈카를로 데 메디치의 초상〉 〈암굴의 성모자〉 16세기 로소 피오렌티노 〈성모자와 네 성인〉 〈악기를 연주하는 아기 천사〉 로소 피오렌티노 〈이드로의 딸들을 구하는 모세〉 야코포 다 폰토르모 〈엠마오의 저녁 식사〉 야코포 다 폰토르모 〈비너스와 큐피드〉 〈성모자와 두 성인〉 〈마리아 살비아티의 초상화〉 아뇰로 브론치노 〈갑옷을 입은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의 초상화〉 〈엘레오노라 디 톨레도와 아들의 초상화〉 〈비아의 초상화〉 〈루크레치아 판치아티키의 초상화〉 〈바르톨로메오 판치아티키의 초상화〉 파르미자니노 〈성모와 성인들(성 즈카르야와 성모)〉 파르미자니노 〈긴 목의 성모〉 세바스티아노 델 피옴보 〈아도니스의 죽음〉 〈여인의 초상화〉 조르조 바사리 〈불카누스의 대장간〉 티치아노 베첼리오 〈플로라〉 〈몰타 기사의 초상화〉 〈프란체스코 마리아 델라 로베레〉 〈엘레오노라 곤차가 델라 로베레〉 티치아노 베첼리오 〈우르비노의 비너스〉 파올로 베로네제 〈아버지와 아들〉 〈성 카타리나와 성 요한과 성가족〉 〈성 유스티나의 순교〉 틴토레토 〈레다와 백조〉 퐁텐블로의 거장 〈목욕하는 두 여인〉 엘 그레코 〈사도 요한과 성 프란체스코〉 페데리코 바로치 〈만인을 위한 성모〉 〈어린 소녀의 초상화〉 〈자화상〉 로렌초 로토 〈수산나와 장로〉 바로크 미술 페테르 파울 루벤스 〈승리〉 〈전쟁〉 〈이사벨라 브란트의 초상화〉 〈자화상〉 헤릿 베르크헤이데 〈하를럼의 시장〉·카날레토 〈베네치아 두칼레 궁전〉·프란체스코 과르디 〈다리가 있는 마을의 풍경〉 가브리엘 메취 〈만돌린을 연주하는 여인〉·렘브란트 하르먼스 판 레인 〈젊은 날의 자화상〉 카라바조 〈젊은 바쿠스〉 카라바조 〈이삭의 희생〉 〈메두사〉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 〈홀로페르네스의 목을 자르는 유디트〉 그림 주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