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복음의 핵심을 간파한 견고한 책이다.” _팀 체스터 </br>-“우리 시대 가장 주목할 목회자” 티모시 켈러의 최신간</br>-신국원 교수, 팀 체스터, 폴 데이비드 트립 추천</b></br></br>인간의 본성적 상태는 교만입니다. 지나치게 부풀어 올라 터지기 일보 직전입니다. 하나님 없이 스스로 살아갈 수 있고, 하나님 외에도 삶의 목적을 삼을 만한 것이 있다는 환상으로 부풀어 있습니다. 그런데 정작 그 속은 텅 비어 있습니다. 부풀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려고 안간힘을 씁니다. 사람들의 인정과 관심을 얻으려고 늘 분주합니다. 남보다 더 잘나 보이려고 끝없이 비교하고 자신을 추켜세웁니다. 특정한 기준을 세우고 그에 맞춰 삶으로써 자존감을 높이려고 합니다. 그러나 이런 노력은 함정이요 속임수입니다. 이런 자아는 불안하고 공허합니다. </br></br>그러나 여기 믿기 어려울 정도로 자신에 관한 확신으로 가득 찬 사람이 있습니다. 바로 사도 바울입니다. 바울은 자신을 ‘가장 악한 죄인’으로 자처합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자신감이 넘칩니다. 한껏 부풀어 오르지도 위축되어 있지도 않습니다. 사람들의 인정과 관심에서 자유롭습니다. </br></br>그가 이런 복된 자유를 누릴 수 있는 비결이 무엇입니까? 바울은, 그가 이미 모든 평가와 판결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를 대신해 법정에서 재판을 받으시고 죽음으로 모든 죄값을 치르셨기 때문에, 그는 더 이상 재판 받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이것이 비단 바울만의 이야기입니까? 우리의 재판도 이미 끝났습니다. 바울과 같이 예수께서 하신 일을 근거로 우리 자신을 받아 달라고 하나님께 청하기만 하면 됩니다. 우리는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나를 심판하실 이는 [오직] 주시니라”(고전 4:4). 하나님이 내리신 최종적인 판결을 항상 기억하십시오. “너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라. 내가 너를 기뻐하노라”(막 1:11). </br>
구매복음 안에서 발견한 참된 자유
내용
평점4점
편집/디자인 평점4점YES마니아 : 플래티넘l******g|2022.09.04|추천0|댓글0리뷰제목
바울은 자신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린도교인들을 의지하지 않습니다. 그는 ‘중요한 사람’이라는 평결을 듣기 위해 그들을 찾아가지 않습니다. 자신의 정체성을 그들에게서 구하지 않았습니다. 바울은 알고 있었습니다. 특정한 기준에 맞춰 삶으로써 자긍심을 고양시키려는 노력은 함정이요 속임수라는 것을 말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바울이 자기 정체성과 자신을 바로 이해하게;
바울은 자신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린도교인들을 의지하지 않습니다. 그는 ‘중요한 사람’이라는 평결을 듣기 위해 그들을 찾아가지 않습니다. 자신의 정체성을 그들에게서 구하지 않았습니다. 바울은 알고 있었습니다. 특정한 기준에 맞춰 삶으로써 자긍심을 고양시키려는 노력은 함정이요 속임수라는 것을 말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바울이 자기 정체성과 자신을 바로 이해하게 된 자리를 발견합니다. 자, 정신을 바짝 차리십시오! 지금부터 바울은 우리가 아는 지도를 벗어나 미지의 땅으로 들어섭니다...... 바울은 죄인 중에 내가 괴수였다고 하지 않고 내가 괴수다라고 합니다. ‘내가 가장 악한 죄인이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가진 도식에는 없는 전혀 새로운 그림입니다.......너무나 정직하고 자기에게 있는 모든 종류의 도덕적 흠결을 정확히 인식하지만, 이와 같은 놀라운 평정과 담력을 가진 사람을 보지 못했습니다.......바울은 누구보다 더 자기 죄의 정체를 잘 아는 사람이었지만, 죄와 자신의 정체성을 연결 짓지 않습니다.......이 둘을 연결하기를 거절합니다.......자신을 통해 이루어진 일이 크고 대단하지만, 그것으로 자신을 규정하거나 우쭐해 하지 않습니다.......자신을 죄인의 괴수로 여기되, 부르심을 받은 일은 중단 없이 해 나갑니다.